quickmenu
PC 리뷰 홈  

울프데일 등장! 울프데일 vs 쿼드코어, 무엇을 선택할까?

2008-01-18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3. 테스트 시스템 및 기본 성능




 

 

 

 

 

 

여기서는 듀얼 코어와 쿼드 코어를 테스트할 시스템의 소개와 기본 성능을 비교하여 보도록 하자.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아래와 같은 환경을 구성하였다.

CPU

AMD Phenom 9500 (Quad-Core, 2.2GHz)
Intel Core2 Quad Q6600 (Quad-Core, FSB1066, 2.4GHz)
Intel Core2 Duo E8500 (Dual-Core, FSB1333, 3.16GHz)

MainBoard

AMD 790FX/ GIGABYTE GA-X38-DQ6

Chipset

AMD 790FX + SB600/ Intel X38 Express + ICH9R

RAM

Kingston PC2-9200 2GB (KHX9200D2K2/2G, 1GB X 2EA)

VGA Radeon HD3870 512MB Ref. (775/ 2250(1125)MHz)

HDD

Western Digital Raptor SATA 36GB 10000RPM
Hitachi Deskstar SATA 320GB 7200RPM

ODD

ASUS DRW-1604P (DVD RW)

OS

Windows Vista Ultimate K

DirectX

DirectX 9.0c

Chipset Patch

Intel inf 8.3.0.1013

VGA Driver

AMD ATI Catalyst 7.12
-

테스트 시스템은 앞서 소개한 쿼드 코어 CPU인 AMD Phenom 9500과 인텔의 Q6600, 그리고 듀얼 코어 CPU인 인텔 E8500의 3종을 사용하였다. AMD Phenom 9500은 이와 함께 Spider Platform으로 출시된 하이엔드 AMD 790FX + SB600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가 사용되었으며, 인텔의 듀얼 및 쿼드 코어 프로세서인 E8500과 Q6600은 인텔의 하이엔드 칩셋인 X38을 사용한 GIGABYTE GA-X38-DQ6를 테스트에 사용하였다.

메모리는 기본 성능과 오버클럭을 위해 Kingston PC2-9200 1GB 2개를 사용하여 시스템 메모리를 구성하였다. HDD는 SATA 방식 Hitachi Deskstar 320GB와 Raptor 36GB HDD 두 개를 사용하였다. 메모리 클럭은 JEDEC 규격에 포함된 DDR2 800MHz 클럭의 성능을 기본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FSB와 메모리 클럭은 Auto 설정 (CL5-5-5-18, 2T)을 이용하였다.

 

테스트에 사용된 AMD Phenom 9500, 인텔 Core2 Quad Q6600, Core2 Duo E8500은 모두 서로 다른 클럭과 가격대를 가진 제품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18만원 대부터 20만원 대의 고성능 듀얼 및 쿼드 코어를 선택하려는 사용자들이 한 번쯤 선택을 위해 고려해볼 수 있는 CPU들이라는 것을 고려하고 성능 차이를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듀얼과 쿼드 코어의 기본 CPU 성능

제품명

AMD Phenom 9500 Intel Q6600 Intel E8500
CPU 연산 성능 및 메모리 대역폭
Sandra CPU Arithmetic ALU (MIPS) 33840 44171 29172
iSSE3 (MFLOPS) 28545 30915 23319
Sandra CPU Multi-Media Int x8 iSSE3 (it/s) 84174 264773 174904
Float x4 iSSE2 (it/s) 110136 144240 91997
Sandra Memory Bandwidth Int iSSE2 (it/s) 5500 5315 6525
Float iSSE (it/s) 5517 5303 6527

듀얼 및 쿼드 코어 간의 프로세서의 기본 성능을 확인해보기 위해 기본 CPU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Sandra XII와 과학 연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한 CPU의 연산 능력을 살펴볼 수 있는 ScienceMark 2.0을 사용하였다.

Sandra XII의 CPU 연산 성능에서는 쿼드 코어인 Phenom 9500과 Q6600은 듀얼 코어인 E8500을 모두 넘어서는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Q6600은 경쟁사의 Phenom 9500과 비교하여 산술 논리 연산 부분과 부동 소수점 부분 모두 앞섰으나 부동소수점 연산 부분은 Phenom 9500이 Q6600과 비교하여 연산 성능의 차이가 많이 줄었다.

Sandra XII CPU 멀티미디어 성능에서 역시 SSE 명령어에 보다 최적화되어 있는 인텔의 듀얼 및 쿼드 코어인 E8500과 Q6600이 좋은 성능을 보여줬고 Phenom 9500은 앞서와 같이 부동 소수점 연산이 우수했다. 그러나, 듀얼 코어인 E8500은 인텔을 기준으로 쿼드 코어의 성능을 넘어서지는 못했으나 전체 클럭 향상 및 내부 개선에 의해 상당히 높은 멀티미디어 성능을 나타냈다.

메모리 대역폭은 메모리 컨트롤러가 내장된 AMD 계열이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번 결과도 65nm 공정 Q6600은 AMD Phenom 9500보다 낮은 대역폭이 나타났다. 그러나, 듀얼 코어인 E8500은 쿼드 코어인 Q6600이 FSB1066MHz보다 높은 FSB1333MHz의 적용에 따라 메모리 대역폭 역시 상승되었다. 이 부분은 이전 FSB1600과 FSB1333의 대결! Intel Core2 Extreme QX9770 vs QX9650 기사에도 나타났듯이 메모리 컨트롤러가 노스브릿지에 내장된 인텔 CPU는 FSB 증가에 따라 병목 현상이 개선되므로 메모리 대역폭 역시 증가된다. 인텔은 AMD처럼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내장되기 전까지 FSB 증가를 통한 성능 향상을 이루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다.

 

이번에는 과학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진행하는 ScienceMark 2.0의 결과를 보자. ScienceMark 2.0의 경우 부동 소수점 연산의 성능이 크게 작용하는데 쿼드 코어 부분에서는 128bit 부동 소수점 유닛을 추가한 AMD Phenom 9500이 이전의 결과들과 다르게 전반적으로 Q6600과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듀얼 코어인 E8500은 여기에서 쿼드 코어 CPU들을 제쳤는데 이는 이전에도 언급되었듯이 ScienceMark 2.0은 듀얼 코어 프로세서에 보다 최적화되어 클럭과 FSB 등이 향상된 E8500이 다른 두 쿼드 코어 프로세서들보다 유리하여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ScienceMark 2.0의 메모리 대역폭 부분 역시 FSB 향상을 보이고 있는 듀얼 코어 E8500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한 Phenom 9500은 L1과 L2 캐쉬 부분에서 Q6600보다 낮은 대역폭을 보여주었으나 메모리 대역폭 부분에서는 인텔의 듀얼과 쿼드 코어 프로세서를 제쳤다. 이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CPU에 내장된 것으로 인한 장점이다.

 

지금까지 듀얼 코어와 쿼드 코어 간의 기본 성능을 살펴보았다. 기본 성능 비교를 위해 선택된 프로그램들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으나 현재까지 멀티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게임이나 유틸리티는 아직도 많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높은 클럭의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사용하여도 게임이나 유틸리티 사용에서 좋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기본 성능 테스트 결과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45nm 공정의 E8500을 통해 45nm 공정의 인텔 듀얼과 쿼드  코어 프로세서는 공정의 개선으로 소비전력 및 발열의 감소 뿐만 아니라 내부 성능 개선으로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현재의 Q6600과 비교하여 가격과 성능 부분에서 이전보다 더 유리해졌다. 때문에 인텔의 45nm 공정 적용은 인텔이 지향하고 있는 쿼드 코어 시대를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0:14/ 신고
8190과 8200의 스펙이 동일해 보이는데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가격도 똑같네요..
pkwangn (ID) pkwang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0:40/ 신고
개인사용자는 역시 8200이 최상의 선택이 될거 같고... 멀티 프로그램 많이 돌리는 분들은 6600이 최상의 선택일거 같네요 .. 어여 엠뒤가 힘을 내기를..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0:44/ 신고
E8500은 가격이 안정화 되야 쓸만할텐데.
아직은 Q6600이 괜찮아 보입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02/ 신고
전력 측정시 CNQ 적용 안하셨나봐요?
AMD에게서 CNQ를 제하면 전력이 높은게 당연할지도.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05/ 신고
blasty 님 // 8190 에 기능이 하나 빠졌던데, 기본적으로 성능은 동일하다 봐도 될겁니다. OEM용 CPU 라고 하더군요.

현재 6550 보다 6750 이 더 인기가 좋듯이, 8200 보다는 8400 이 인기가 좋을 듯 합니다. 물론 가격이 이전 2제품을 대체하게 된다면....

현재는 쿼드 Q6600 과 듀얼 E8200 정도가 괜찮을 듯.. 물론 며칠동안 E8x00시리즈는 거품가격이 빠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2:10/ 신고
역시 일반 유저들이 사용하기에 클럭의 힘을 무시할수는 없군요 듀얼로 만족하며 시장의 기운을 기다려봐야 겠습니다.
heaye (ID) / 08-01-18 2:26/ 신고
ㅋ. 왜 안나오나 했던 벤치 .. 이제야 띄워주시는구나.. ㅠ..
heaye (ID) / 08-01-18 2:37/ 신고
그런데.. 8400 으로 했으면 99점이었을 벤치가.. 8500 으로 하는바람에. 별 쓸데없는 벤치가 된거 같네요. 8500은 35만원부근의 가격이라서 25만원대의 Q6600 이나 같은 25만원대의 E6850 과 비교할 cpu는 아니라고 봅니다.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4:26/ 신고
...쿼드 쓸 작업을 안해서리....
그것보다 0.45 2140같은거나 만들어 줬으면...
개인 사용자중 쿼드 필요한분은 좋겠군요.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5:38/ 신고
업그레이드는 하고 싶지만..
AM3가 나올때까지 기다려야 겠습니다 ㅎ
인텔과 AMD가 기사에 함께 올라오면..
언제나 암울한 내용은 AMD쪽에만 있네요.
분발해랏!
ikillyou (ID) ikillyo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8:36/ 신고
최선의 선택은 8200 인가요? 아니면 쿼드코어?
하는 일에 따라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겠군요
qp / 08-01-18 9:09/ 신고
듀얼코어 셀러론이나 45nm제품을 만들어줬으면 하는 바램.
asto2000 (ID) / 08-01-18 9:11/ 신고
Phenom 프로세서 스펙에 오타가 있네요..
Phenom 9600 L2 캐쉬가 95W로 되어 있네요...
L2 캐쉬가 2MB로 되야 되는건 아닌지요..^^"
sagfe (ID) / 08-01-18 9:20/ 신고
비교된 제품들의 가격대의 차이가 너무 심하네요. 8400과 9600으로 비교를 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asto2000 (ID) / 08-01-18 9:20/ 신고
확실히 가격대 성능비는 현재로서는 듀얼코어군요...
시간이 지나면 쿼드가 대세가 되겠죠..^^"
viper2 (ID)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0:18/ 신고
지적하신 스펙 부분 수정하였습니다.^^
w8111 (ID) / 08-01-18 10:20/ 신고
2페이지 아래쪽에..
TPD 95W(X) --> TDP 95W(O)
w8111 (ID) / 08-01-18 10:39/ 신고
E8000대 소비전력이 얼마 안하네요..
갈수록 늘어나는 전기값을 대처하기에 점점더 CPU들의 공정이 낮아지고 있는것은 너무 희소식인것 같습니다.
조금더 지나서 안정화 되면 E8400이 가격대비 최상으로 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AMD에서 트리플코어가 그때쯤이면 또 나올테니 다시한번 고민을 하게 되겠네요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0:55/ 신고
아직은 듀얼코어가 판을 치겠네요. 렌더링이나 인코딩 작업 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게 불보듯 뻔하기 때문에...
rockcd (ID) rockc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1:38/ 신고
일단은 당분간 듀얼 코어가 괜찮을 것 같네요. 쿼드 신제품 나오기 전까지는요.
ntlover71 (ID) / 08-01-18 12:39/ 신고
TMPGEnc 4.0 XPress의 경우 DivX 인코딩만 할 것이 아니라
내장 코덱인 MPEG2 인코딩을 추가로 해 주실 수 없는지요?
blackchh (ID) / 08-01-18 14:19/ 신고
45nm공정의 듀얼코어 E8400이 저정도의 성능이면 굳이 Q6600으로 갈필요가 없겠네요. 다만 45nm공정의 쿼드코어가 나오면 상황이 달라지겠지만~~~
chp61 (ID) / 08-01-18 14:31/ 신고
휴.... 페넘은 정말 안습의 안습이네요;;
빨리 45nm 공정으로 이전하고 힘을 내야할텐데 ㅡ.ㅡ
zeonis (ID) zeoni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4:38/ 신고
상당히 실용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기사로군요
듀얼과 쿼드 사이에서 고민하는 유저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네요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5:14/ 신고
45공정 듀얼코어 저정도 이면 굳이 쿼드코어로 안가도 될듯 하네요 성능도 무난하고 괜찮네요 !
글좀쉽게 / 08-01-18 15:45/ 신고
전력을 얼마나 쓴다는 건가? 상대적인 거 말고, 전기 소모량 좀 알려주지,,그리고 기존 싱글코어와 비교해서 얼마나 많이 쓰는지도...저것만 봐선 전혀 감이 안온다
happygump (ID) / 08-01-18 15:49/ 신고
현재로서는 듀얼코어 페넘이 가장 좋은 선택 같네요. E8500은 부담스럽지만 E8200정도만 되도 보급형으로 괜찮죠.
athlon88 (ID) / 08-01-18 16:04/ 신고
아몬드 힘내랏!
godanhan (ID) / 08-01-18 16:19/ 신고
6300 사용자라 아무래도 이 다음 세대쯤에 업그레이드를 고려해야겠군요. 지금 새로 구매한다면 8400이 좋아 보이는데 가격이 좀만 더 빠지면 좋겠네요.
jung21 (ID) / 08-01-18 16:48/ 신고
20일 이후가 기대 됩니다. 빨리 공시가대로 떨어져야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겠네요.
kama136 (ID) / 08-01-18 16:49/ 신고
해외 벤치마크를 보면 이번에 출시된 E8xxx시리즈들의 경우 소비전력이 40w이하인것 같더군요. e8400구입해서 기본전압으로 오버하면 3.6ghz는 기본인만큼 가격만 안정화된다면 메리트가 있네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7:36/ 신고
CPU기사 나올때마다 계속 안쓰러워지는 AMD군요. 울트데일은 소비전력이나 발열도 낮고 성능도 좋으니 가격만 떨어지면 듀얼쪽에서는 다시금 넘버원으로 등극할듯 하네요.
deejf / 08-01-18 18:11/ 신고
지금 AMD의 상황은 옛날 인텔 펜티엄 d 시절보다 더 암울하죠- 인텔은 공공기관 무식 공무원이라는 펜티엄 빠돌이라도 있지만 AMD는 그렇지 않으니....

쿼드코어 활용하는 법 알려드리자면 A.V.A플레이하면서 가상pc로 파일공유 시키면 쿼드코어 다 활용합니다. 흐흐흐 이때 64비트환경이라면 메모리 8기가바이트는 필수.(비스타64 1.5G, A.V.A 1.8G, 가상pc 0.5~1G) 게다가 인코딩까지 돌리면....-_ㅡ;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8:26/ 신고
음...AMD 아쉬움만 남긴 결과네요.

그나저나 일단 요크필드의 필요성은 없다고 봅니다. 전력 감소면에서는 구입할만 한 것이겠지만 일반적으로 지금쓰는 듀얼코어 콘로 면 충분하기때문에 굳이 무리해서 바꿀이유는 없어 보이네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8:28/ 신고
AMD 언제분발할지...;;
jin2006 (ID) / 08-01-18 18:58/ 신고
인텔이 잡은 승기를 잘 이끌어 가네요.
amd 가 좀 멋진 경쟁을 해 줬으면 합니다.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9:01/ 신고
이럴수가 코어2듀오 8500이 매력있네....가격 하락하면 냅다 질러야지..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9:26/ 신고
선택에 고민이 많아졌네요.
저렴한 가격에 엠당의 쿼드냐.
다소 비싸지만 인텔의 듀얼이냐..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20:41/ 신고
역시 듀얼이지만 쿼드도 2년정도 내에는 일반컴터 구입목록에 오를듯합니다..
gimjeong (ID) / 08-01-19 9:12/ 신고
약간 미래를 생각하고 많이 오버 하는게 아니라면 쿼드가 좋을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도 쿼드에 관심이 좀 있네요.
가격이 비싸서 그렇지..
yewtree923 (ID) yewtree9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9 23:17/ 신고
인텔의 승리? 압승? 뭐 어느 정도 예상된 수치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페놈에
성능이 기대이하네요 ㅠㅠ 가격만 안정화되면 구입할만한 가치는 충분해
보입니다 ㅎㅎ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20 13:06/ 신고
지금 당장은 리뷰대로 보면 E8500이 매력이있군요,가격이 좀더 내려야겠지만...
soohan (ID) soo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21 16:25/ 신고
제가 지금 쿼드 코어 cpu를 사용하고 있는데 듀얼 코어와 비교해서 큰 성능향상은 없네요. 메모리도 풀뱅크로 채워서 사용합니다. 아직까지 큰 메리트는 없는 듯 합니다.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21 18:54/ 신고
소비전력면에서 인텔이 훨씬 유리하군요.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22 15:25/ 신고
45nm 듀얼코어 성능이 장난 아니네요. 클럭빨이라고 해야할까..
temz (ID) / 08-01-23 10:53/ 신고
8400이 가격이 착해지기만을 기다립니다. 근데 쿼드는 보통 어느 용도로 사용는 편인지 정확히 설명좀 해주실분 ^^ 계신가요 ㅎㅎ
tntt / 08-01-28 13:17/ 신고
저는 30인치 2560*1600 해상도를 쓰는데 쿼드코어가 위력을 더 발휘하나요?
emirin1984 (ID) emirin198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3-07 11:28/ 신고
빨리 페넘이 안정되길 바래봅니다..
TLB버그만 없으면 지금 가격으로 봐서는 충분히 페넘을 선택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그것뿐만이 아니라서 아직은 망설여지네요

요즘 ATI가 분발하고 있는데 AMD도 좀 분발해줬으면 좋겠습니다..
dragface (ID) / 08-03-09 1:41/ 신고
역시 E8XXX가 가격문제만 해결되면 가장 현실적이군요.
그나저나 페넘은 언제 안습의 상황에서 벗어날런지...힘내라 아몬드 ㅠㅠ
dgtel (ID) / 08-03-10 8:07/ 신고
B3가 나오면 좀 나아질려나..
지금 상황으로써는 배수클락을 풀고 가격을 내린다 해도 스치면 한방감이니 승부가 안되는 상황이군요.
암울한 암드..-_-;
park1672 / 08-03-10 9:21/ 신고
흠 / 08-04-09 2:10/ 신고
현제 가격비슷한 8400 이랑 비교를해주시지 8500이랑 비교해주셧내요..
dna2k (ID) dna2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12 7:54/ 신고
Q6600 사서 3.0으로 기본전압으로 쓰시면 가장 좋은 성능 내실수있습니다.AMD가 Q6600한테 발리는 사실은 뭐 어쩔수없으니깐요 물론 울프데일 도 오버 잘되지만 초코파이 쿨러로는 무리가 있고 사제쿨러를 또 사야 되죠. E4600계열 신제품 쿨러는
초코파이가 아니고 빅파이 크기더군요;; Q6600정품의 경우 그대로 예전 크기 입니다.
여비 / 08-07-16 12:10/ 신고
오버 안하시구 E8400과 기가바이트 EP-35 조합은 10W 이내로 CPU 전압을 먹습니다..제가 지금 사용중..오버 안하시고 스탠다드하게 쓰실분들은 E8400 쓰세요..멀티코어 프로그램 아니면 E8400에 다 발립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1/18]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1/18]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1/18]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1/18]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1/18]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1/18]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1/18]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1/18]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1/18]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1/18]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1/18]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1/18]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1/18]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1/18]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1/18]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1/18]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1/18]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1/18]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1/18]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1/18]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