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AMD ATI Radeon HD 3870 X2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오버클럭 버전인 MSI Radeon
HD 3870 X2 (이하, MSI Radeon HD 3870X2 OC)를 통해 HD 3870 X2가 어떠한 특징들을
가지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오버클럭 버전, MSI Radeon HD 3870X2 OC Edition!
제품명 |
MSI 라데온 HD 3870 X2
R3870X2-T2D1G OC D3 1GB (MSI R3870X2-T2D1G-OC) |
그래픽 칩셋 |
AMD ATI Radeon HD 3870X2 (55nm, R680, RV670 x 2) |
동작 클럭 |
코어 860Mhz / 메모리 GDDR3 SDRAM 1800(900)Mhz |
메모리 정보 |
Samsung 1.0ns GDDR3 512MB
x 2/256bit x2 Memory Bus |
출력 단자 |
TV-OUT (컴포넌트 & 컴포지트 &
S-VIDEO)/
Dual-Link DVI지원 Dual DVI 포트 제공 |
인터페이스 |
PCI Express x16 |
제품 특징 |
- 320 x 2 Stream
Processor (통합 쉐이더)
- DirectX 10.1 Native 지원
- 256bit x 2 메모리 버스와 512MB x 2 (1GB) 메모리 제공
- Native CrossFire 지원 (CrossFire X 지원) - 오버클럭
버전 (코어 860/메모리
1900/쉐이더 클럭 860) |
제조사 |
MSI (http://www.msi-korea.co.kr) |
가격 |
539,000원 (2008년 2월 2일자 가격비교 사이트 기준) |
MSI의 HD 3870 X2 샘플 제품은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레퍼런스보다 높은 코어 클럭의 적용을 통해
성능을 높인 제품이며, 그 외 쿨러를 비롯한 기본적인 구성에는 차이가 없다.
MSI Radeon HD 3870 X2 OC는 오버클럭 에디션이라는 타이틀이 포함되고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은 HD 3870
X2 레퍼런스 버전과 차이 없는 쿨러와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HD 3870 X2는 RV670 코어 2개를 사용하는 만큼
이를 쿨링해 줄 수 있는 쿨러 역시 기판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HD 3870 X2의 장점 중 하나는 하나의 기판에 2개의 RV670 GPU가 통합됨에 따라 성능 향상을 위한
기술인 CrossFire를 사용하기 위해 CrossFire를 지원하는 메인보드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HD 3870/ 3850의 경우 2개를 구입해야 CrossFire 구성이 가능하고 메인보드 역시 CrossFire를
지원하는 제품을 반드시 선택해야 하므로 사실상 2중으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다.
그러나, HD 3870 X2 하나를 구입하는 비용이 글픽 카드 2개를 구입하는 비용과 같을 경우 HD 3870 X2는
메인보드가 PCI-Express x 16 슬롯만 가지고 있고 CrossFire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자체 CrossFire
구성을 지원하고 있어 충분한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 만약, 2개의 그래픽 카드와 메인보드를 구입하는 가격이 HD
3870 X2 하나를 구입하는 가격과 비슷하거나 HD 3870 X2가 더 높은 가격이라면 이 때는 오히려 2개의 그래픽
카드와 CrossFire 메인보드를 구입하는 편이 더 나을 것이다.
[8800GT 512MB 비레퍼런스/ 레퍼런스, HD3870, HD 3870 X2, 8800 Ultra]
경쟁 제품이 될 GeForce 8800 Ultra와 HD 3870, GeForce 8800GT 512MB 레퍼런스,
GeForce 8800GT 512MB 비레퍼런스 제품의 4가지 그래픽 카드들과 크기를 비교하여 보았다.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이엠텍 GeForce 8800GT 512MB 비레퍼런스, GIGABYTE 8800GT 512MB 레퍼런스, HD
3870 레퍼런스, MSI HD 3870 X2 OC, 8800 Ultra 레퍼런스가 마지막에 위치한다.)
경쟁 제품이 될 GeForce 8800 Ultra는 볼트를 고정하는 브라켓까지의 길이가 28cm로 케이스를 선택할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HD 3870 X2 역시 8800 Ultra와 같은 길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HD 3870 X2 역시 케이스를 선택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HD 3870 512MB는 GeForce 8800GT 512MB보다 약 2mm 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 24c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SLI 테스트에 사용된 이엠텍 GeForce 8800GT는
국내 첫 비 레퍼런스 8800GT! 이엠텍 8800GT HV 노블레스 512MB VF1000
기사를 통해 살펴본 비레퍼런스 제품으로 비교 제품 중 가장 짧은 약 22.7c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2개의 GPU를 쿨링할 수 있는 쿨링 솔루션 제공!
[쿨러와 가까운 GPU1에는 알루미늄 방열판/ GPU2에는 구리 방열판 사용]
Radeon HD 3870X2는 코드명 R680 즉, RV670 2개의 GPU가 하나의 기판에 사용되고 있는 만큼 이를
쿨링해줄 수 있는 쿨링 솔루션이 필요한데 이에 맞는 쿨링 솔루션이 적용되고 있다. MSI Radeon HD 3870X2
OC 버전 역시 레퍼런스에 오버클럭이 적용된 버전이기 때문에 사용되는 쿨링 솔루션은 같다.
쿨링 솔루션은 GPU 2개와 PCI-Express 브릿지인 PLX Technology의 PEX8547을 비롯하여 전원부와
모스펫 및 메모리까지 모두 쿨링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나의 GPU마다 512MB의 메모리를 구성하기 위해
그래픽 카드의 뒷면에도 메모리를 장착하고 있는 만큼 뒷면에도 메모리 쿨링과 GPU 2개 장착으로 인해 길어진 기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대가 추가되고 있다. 내부 구조는 다르나 외형으로 보았을 때는 이전의 HD 2900XT와 비슷한
모양으로 보여지고 있다.
쿨링 솔루션의 특이한 점은 쿨링 팬과 가까운 부분의 GPU와 접촉하여 발열을 해결하는 부분은 알루미늄 방열판이 후면
출력부에 가까운 GPU에는 구리 재질의 방열판이 각각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면의 GPU는 쿨링 팬과 가까워 쿨링
효율이 높으나 뒷면에 위치한 GPU는 쿨링 솔루션이 후면 배출 방식을 적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쿨링 효율이 높은 구리 재질의 방열판이 적용되고 있다. 뒤에 다루겠지만, 실제 온도에서도 후면에 배치된
GPU의 온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쿨링 솔루션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그래픽 카드의 전체 무게도
무거워지는데 그래픽 카드 설치시 무게를 견디기 위한 쿨러의 최적 조건이라고도 볼 수 있다.
6+8핀 PCIe 보조 전원 커넥터 구성!
[6+8핀 구성의 PCI-Express 보조 전원 커넥터]
[6+8핀 구성이 아닌 6+6핀 구성에서는 ATI Overdrive 비활성]
Radeon HD 3870 X2는 HD 3870/ 3850이 이전의 HD 2900XT와 달리 55nm 공정의 적용에 따라
소비전력이 감소되면서 6핀 PCI-Express 보조 전원 커넥터 하나만 장착되었던 것과 달리 RV670 코어 2개가
사용됨에 따라 소비전력이 HD 2900XT와 근접하게 되었으므로 HD 2900XT와 같이 6+8핀 PCI-Express
보조 전원 커넥터 구성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전의 HD 2900XT가 그랬듯이 Radeon HD 3870X2 역시 6+6핀 구성할 경우 오버클럭 설정과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ATI Overdrive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체 CrossFire 구성에 따라 CrossFire 커넥터는 하나만 제공!
Radeon HD 3870/ 3850은 모두 최대 4개의 그래픽 카드를 이용하여 성능을 높일 수 있는 CrossFire X
기술을 지원하는데 HD 3870 X2 역시 CrossFire X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HD 3870 X2는 HD
3870/ 3850과 달리 하나의 CrossFire 커넥터만 제공되고 있어 의아해할 수 있는데 HD 3870 X2는 HD
3870/ 3850과 달리 2개의 RV670 코어가 하나의 기판에 장착되고 내부적으로 CrossFire가 적용되고 있는
상태기 때문에 최대 4개까지 지원할 수 있는 CrossFire X 기술에 하나의 HD 3870 X2만 추가하면 되므로
하나의 커넥터만 제공된다고 볼 수 있다.
물론, HD 3870 X2를 4개 사용하면 옥타 (8) CrossFire가 가능하겠지만, 현재로서는 4개의 구성을 통한
방법의 최적화 부분을 비롯하여 대역폭 부분 등 기술적으로 8개 구성은 아직 이르다는 판단 등이 따랐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기술이 더 발전되면 8개 구성과 멀티 코어 방식 등이 적용될 것이므로 더 많은 그래픽 카드를 묶는 방식도
충분히 도입될 수 있다.
RV670 2개를 장착한 만큼 길어졌다!
[Radeon HD 3870X2 (상)/ HD 3870 (하)]
[Radeon HD 3870X2 (상)/ HD 3870 (하)]
Radeon HD 3870 X2는 HD 3870이 하나의 RV670만 사용되고 있어 전면에 메모리와 전원부 구성이 충분히
가능한 것과 달리 2개의 GPU 사용을 통해 전면에 전원부를 설치하고 각각의 GPU에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1GB 용량을 구현하기 위해 뒷면으로 메모리를 배치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또한, PCI-Express 브릿지까지 설치되었기
때문에 전원부와 이들을 위한 공간만으로도 부품 하나 빠지지 않고 꽉 찬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쿨링을 위해 새로운 쿨링 솔루션이 도입되어 있는 만큼 HD 3870과는 달리 디지털 전원부를 채택하고 있는
것도 기존과 달라진 부분이다. 전원부에서 발생하는 발열과 함께 쿨링 솔루션 장착, 그리고 전면 기판을 최대로 활용하기 위한
최적화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Radeon HD 3870 X2의 전원부는 공간 배치와 발열을 줄이기 위한 디지털 전원부인데 GPU와 메모리를 위한 1+2Phase의 전원부 구성을 하고 6+8핀 PCI-Express 보조 전원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러나, HD 3870 X2의 소비전력은
최대 196W로 나타나고 있어 HD 3870 하나가 최대 105W인 것을 고려하면 두 개를 합한 210W보다 낮기 때문에
소비전력 부분에서도 ATI PowerPlay를 비롯한 소비전력 부분에도 신경을 쓴 것으로 보여진다.
또, 앞서 언급하였듯이 PCI-Express 브릿지가 PCI-Express 1.1 규격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GPU인
RV670이 PCI-Express 2.0을 지원하여도 1.1로 동작하게 된다.
RV670 + RV670 + PEX8547 = R680!
[Radeon HD 3870 X2 (R680), RV670 x 2개와 PLX PEX8547 사용]
Radeon HD 3870 X2는 R680이라는 코드명을 갖는데 R680은 RV670 코어 2개가 사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RV670 코어가 가지는 특징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스펙상으로는 x2를 한 값으로 표기된다. RV670 코어 하나는
666million개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되고 55nm 공정이 적용된다.
또한, 2개의 GPU가 하나의 기판에
위치하고 있지만, 시스템과의 연결은 하나의 PCI-Express 버스를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GPU 간의 데이터 교환과
시스템과의 연결을 위해 이를 균형 있게 분배해줄 중간 다리 역할을 해줄 칩셋이 필요하게 되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칩셋이
PLX Technology의 PEX8547 PCI-Express 브릿지 (스위치) 칩셋이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Peer-to-Peer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통해 두 개의 GPU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하나의 화면을 렌더링
할 때 두 개의 GPU에 렌더링할 데이터를 동시에 보내줘 효율적인 처리를 할 수 있게 해준다.
통합 쉐이더 이키턱처 및 Shader Model 4.1 지원, 그리고 DirectX 10.1 최초로 지원하는 특징을
이어받는다. 또, 640 (320 x 2)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32 (16 x 2)개 ROP, 32 (16 x2) 렌더
백 엔드 유닛을 비롯하여 HDR+AA, 안티앨리어싱 기능인 24x CFAA, AVIVO HD, H.264와 VC-1 코덱을
가속하는 UVD (Unified Video Decoder), HDCP 암호화 키 테이블 포함 (CryptoROM) 및
오디오 컨트롤러 내장으로 HDMI 출력시 오디오와 영상을 동시에 출력이 가능하다.
[GPU-Z, Radeon HD 3870X2 레퍼런스 (상)/ MSI HD 3870X2 OC (하)]
GPU-Z를 통해 살펴본 HD 3870 X2 레퍼런스 버전과 MSI Radeon HD 3870X2 OC의 클럭인데 레퍼런스
HD 3870 X2와 MSI Radeon HD 3870X2 OC 모두 2D 즉, 윈도우 진입 후 아무런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GPU1과 GPU2의 클럭이 모두 다른 것이 확인되었다. GPU-Z가 아직 제대로 HD 3870 X2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값들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HD 3870/ 3850처럼 2D 모드에서는 클럭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여 HD 3870 (RV670XT) 2개를 더한 최대값인 210W보다 적은 196W의 소비전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레퍼런스 Radeon HD 3870 X2에 적용된 클럭은 코어 825/ 메모리 1800 (900)MHz이며, MSI
Radeon HD 3870X2 OC에 적용된 클럭은 코어만 기본 클럭보다 높은 860/ 메모리는 1800 (900)MHz로
같다.
메모리는 512bit (256bit x 2) 인터페이스와 1GB (512MB x 2)를 가진다.
[Radeon HD 3870 X2 GDDR3 1.0ns 1GB 사용]
레퍼런스 Radeon HD 3870 X2는 GPU 당 265bit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적용되고
512MB의 용량의 GDDR3 SDRAM이 사용되고 있어 표기에는 512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1GB의 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HD 3870과 달리 상위 제품에 HD 3870 X2에는 GDDR4 메모리가 사용되지 않고
GDDR3 메모리가 사용된 것이 의아해할 수도 있지만, 이는 경쟁사보다 빠른 출시 일정에 맞추기 위해 메모리 수급이 더
나은 GDDR3 SDRAM 메모리를 선택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GDDR3 메모리는 가격적으로도 GDDR4
메모리보다 유리하다. 해외 뉴스들에도 나타났듯이 이미 GDDR4 메모리를 장착한 버전 역시 등장할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MSI Radeon HD 3870X2 OC에 사용된 메모리는 GDDR3 SDRAM 1.0ns 속도로 동작하는 메모리로 HD
3870 X2 레퍼런스 버전에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와 속도의 차이는 없다. 그러나, HD 3870 X2 레퍼런스는 코어
클럭은 HD 3870의 775MHz보다 높은 825MHz가 적용되고 있으나 메모리는 GDDR3의 사용으로 1800
(900)MHz로 낮아져 메모리 클럭의 부족한 부분을 코어 클럭으로 만회하고 있다. (참고로 HD 3870은 GDDR4
SDRAM 0.8ns 속도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2250 (1125)MHz가 적용되며, HD 3850은 GDDR3 1.1ns
속도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1660 (830)MHz의 메모리 클럭이 적용된다.)
MSI Radeon HD 3870X2 OC는 레퍼런스 HD 3870 X2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출력부의 구성에도 차이가 없다. 출력 구성은 듀얼 DVI 출력 포트와 HDTV 출력을 위한 HDTV-Out
출력 포트로 구성된다.
두 개의 DVI 포트는 모두 30인치이상의 모니터가 지원하는 2560 x 1600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Dual-Link DVI를 비롯하여 HDCP도 2개 모두 지원한다. 함께 제공되는 DVI to HDMI
변환잭을 사용하면 HDMI 출력도 가능해진다. 이때 오디오 컨트롤러 역시 GPU에 내장되고 있는 만큼 HDMI 출력시
영상과 오디오 출력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일부 HD 3870 X2 제품의 경우 2개의 RV670 GPU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을 활용해 최대 4개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제품도 등장한 상태다.
MSI Radeon HD 3870X2 OC에 제공되는 구성물은
영문으로 구성된 Quick User's Guide 2개, 드라이버 DVD 1장, 컴포넌트 케이블, CrossFire 케이블, DVI to
HDMI 변환잭, DVI to D-SUB 변환잭 2개, PCIe 6핀 추가 전원 공급 커넥터, 6+8핀 구성을 제공하지
않는 파워 서플라이를 위해 6핀 to 8핀 변환잭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