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D TV Live의 새로운 기능
네트워크 기능을 통한 다양한 활용 가능
네트워크 설정은 수동 및 자동으로 설정이 가능하며 별매품인 USB 무선 어댑터를 사용하면 무선 네트워크도 사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된 경우 WD TV Live는 SAMBA 서버 호스트를 지원하여 동일한 네트워크에 있는 NAS 장치나 공유 컴퓨터의 미디어 컨텐츠 액세스도 가능하다.
이밖에도 USB 드라이브, 네트워크 드라이브, 캠코더, USB 드라이브에 연결된 카메라에 저장된 파일을 복사, 이동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및 음악 감상기능
인터넷 연결시 인터넷 라디오 Live365 및 Pandora, 온라인 이미지 및 비디오 호스팅 Flickr, 온라인 비디오 공유 YouTube 등 해외 공유 사이트 컨텐츠 재생이 가능하지만, 국내 서비스는 전혀 지원하지 않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YouTube의 경우 한글 검색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한다.
DTS 코덱 지원
기존 WD TV는 DTS 라이센스를 지원하지 않아 DTS 코덱으로 만든 오디오는 자체 재생이나 다운믹스를 지원하지 않고 오직 SPDIF를 통한 패스스루로만 출력이 가능해 별도의 DTS 지원 디코더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WD TV Live는 DTS 코덱을 지원해 디코더 없이 DTS 코덱이 사용된 영상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게되었다.
더 강화된 출력지원 기능
WD TV Live, 이더넷 포트 추가와
함께 컴포넌트 출력 (Y Pb Pr) 이 추가되었으며 HDMI가 1.3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기존 WD TV HD
WD TV Live는 기존 WD TV
HD에서 출력지원으로 기존에 HDMI 1.2와 아날로그 컴포지트 출력만 지원했었던데 반해 Component 출력지원이
추가되었으며 HDMI 1.3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HDMI 1.3은 기존보다 최대 시그날 대역폭이 165MHz에서
340MHz로 두배 증가했으며, 이에따라 최대해상도도 1920 x 1200p60에서 2560x1600p75로 업그레이드되어
출력기능이 더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HDMI 1.3의 스펙을 지원하는 모니터/TV를 아직 찾기 어려워 당장
HDMI 1.3으로 업그레이된 것을 사용할 수는 없다.
WD TV Mini, WD TV Live, WD TV와의 지원표 비교
위의 표는 현재 WD에서 출시한 WD TV 플레이어 시리즈 WD TV Mini와 WD
Tv Live, WD TV의 스펙별 기능지원에 대한 차이를 표로 설명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