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2010년판 ATi/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칩셋 30종 벤치마크

2010-04-05 12:00
이상호 기자 ghostlee@bodnara.co.kr

4. 그래픽 카드별 가격대 성능비는?




그래픽 카드별 가격대 성능비는?

본 기사 첫 페이지에서도 언급했지만, 한정된 예산안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민감하게 여기는 것이 바로 가격대 성능비이다. 이에 따라 이번 페이지에서는 그래픽 카드의 가격으로 성능을 나눈, 별 가격대 성능비를 알아본다.

제품의 가격은 현재 다나와에 등록된 제품 중, 레퍼런스 클럭을 유지하고 테스트 제품과 동일한 종류의 메모리/ 메모리 용량을 장착한 제품을 대상으로, 4월 3일 기준 최저가를 100원 단위에서 반올림한 1000원 단위 가격으로 선정했다. 단지 지포스 GTX 260과 GTX 275, HD 4870의 경우 제품 단종과 수급 문제로 가격이 상승한 관계로 제품 수급 문제 이전의 최저 가격인 21만 8천원과 30만 3천원, 18만 7천원을 기준으로 삼았다

레퍼런스 클럭을 지원하는 제품이 없거나, 있어도 레퍼런스 제품의 판매처가 적어 구매가 어려운 G 210과 HD 4350, HD 5570은 테스트 제품과 동일 용량 메모리 용량과 클럭으로 동작하는 제품의 최저가를 택했으며, DDR2 메모리를 채택한 HD 4550은 비 레퍼런스 제품 1종 뿐이라, 그 제품의 가격을 채택했다.

GTX 480과 GTX 470은 아직 국내 출시 및 가격이 공개된 제품이 없는 관계로 가격대 성능비 계산이 불가능했음을 알린다.

지금 확인할 가격대 성능비나 다음에 살펴 볼 소비 전력당 성능비의 경우, 낮은 성능의 그래픽 카드는 대체로 가격과 소모 전력 역시 낮으므로, 성능과 가격, 소모 전력 양측이 모두 높은 경우 보다 높은 값을 기록할 수 있다. 그렇다고 상위 그래픽 카드의 실제 성능이 하위 성능 제품보다 반드시 낮은 것은 아니므로 이점을 상기하면서 결과를 확인하기 바란다.

 

벤치마크상의 가격대 성능비

3DMark 06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한 HD 5870을 비롯한 HD 5850, HD 5830, GTX 285, GTX 275등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가격대 성능 비에서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반면, 8400GS와 HD 5450은 각 시리즈의 가장 낮은 등급 제품인 만큼 가격 역시 낮아 가격대 성능비도 낮게 나타났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이유로 가격대 성능비는 각 시리즈의 최상위 제품들인 HD 5870, HD 5850, GTX 285보다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테스트 제품 중 중상위 성능을 기록한 9800GT가 가격대 성능비에서는 가장 높은 스코어를 기록했으며, 그 외에도 주로 10만원 대의 메인스트림 제품군들이 가격대 성능비가 높게 나타났다.

 

DirectX 9 기반의 3DMark 06과 달리 DirectX 10 기반의 3DMark Vatage Performance 테스트의 가격 대비 성능 비에서는 각 시리즈 제품군의 하위 제품들이 가격대 성능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DriectX 10 기반의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 전체적인 성능 하락 폭이 커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3DMark 06에서 가격대비 성능비가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HD 5870/ GTX 285/ HD 5850등은 상대적으로 다른 제품들보다 스코어 하락폭이 낮은 모습을 보이며, 가격대 성능비가 중하위 권으로 상승했다.

상위권에서는 9800GT와 GTS250의 순위가 각각 2단계 하락했으나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HD 4850과 HD 4770이 1위와 2위를 차지했으며, 가격대 성능비에서는 주로 메인스트림 제품들이 중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게임에서의 가격대 성능비

테스트 게임의 프레임은 대부분 100 단위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 10만원 이상인 제품의 가격으로 테스트 프레임 값을 나눈 값은 소숫점이 길어져 표기와 구분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각 결과값 구분의 편의를 위해 4 자리에서 반올림한 소숫점 3 자리 값을 비교했다.

실제 제품 판매가가 공개되지 않은 GTX 480을 제외하고, 56.84로 가장 높은 평균 프레임 성능을 보인 HD 5870의 경우 가격대 성능비는 0.111로 HD 4000 시리즈의 가장 하위 제품인 HD 4350의 0.116보다 낮게 나왔으나, 실제 게임에서의 HD 4350의 평균 프레임은 4.4로, HD 5870이 약 13배 높은 평균 프레임 성능을 나타낸다.

Crysis Warhead의 가격대 성능비 역시 상위권에는 3DMark 벤치마크 결과와 유사한 제품들이 포진하고 있다. 중상위권에는 주로 20만원 미만의 메인스트림 제품이, 10만원 미만의 보급형 제품들이 낮은 성능으로 인해 하위권을 차지하며, HD 5870과 GTX 285의 경우 여타 제품보다 높은 가격으로 전체적인 가격대 성능비는 저가형 제품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DirectX 10 기반의 Resident Evil 5 역시 메인스트림 제품이 중/ 상위권에, 플래그쉽 모델과 보급형 모델이 하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순위 변동은 1~2 순위 정도로 크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GTX 285와 HD 5870의 경우 높은 가격으로 인해, 가격대 성능비에서 8400 GS와 G 210, HD 5450등의 보급형 제품들과 가격대 성능비 최하위권에 자리한 모습을 보인다.

 

DirectX 9 기반 Batman : Arkham Asylum테스트에서 각 그래픽 카드의 가격대 성능비는 앞선 두 게임의 가격대 성능비 결과와 마찬가지로, 9800 GT와 GTS 250, HD 4800 시리즈 제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그 뒤를 ATI의 HD 4000 시리즈 상위 제품들을 비롯한 메인스트림 급 가격대 제품들의 가격대 성능비가 높게 나타나며, HD 5870은 그 가격으로 인해 Resident Evil 5 경우의 가격대 성능비 보다는 향상됐으나, 하위권과 중위권 사이에 걸친 모습이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란~ ainomusu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12:41/ 신고
오랜만에 선 리플 후 감상...^^;;;
기다리던 기사가 드디어 나왔다는...
9800이 종합 5위권이라니...ㅡㅡ;;;
진우아빠 / 10-04-05 13:34/ 신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근데 소비전력 페이지에서 "전기세"라는 말은 아닌것 같습니다.
사용한만큼 내는 것이기에 "전기요금"이 맞는 말 같습니다.
이오니카 ghostl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18:54/ 신고
지적 감사합니다. ^^;
해당 내용 수정했습니다.
Someday / 10-04-05 14:20/ 신고
지포스의 소비전력은 정말 압도적이네요;;;
진통제 robfigh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14:22/ 신고
지포스 이번 늦게 나온것도 안습인데
성능도 차이가 없고.. 문제의 전력량도 안습이고..
밀고 나갈수 밖에 없는것은 가격인가요?
정말 안습입니다. -_-;;
뒤늦게 나온것도 거시기 한데. 실 성능도 ..
참 잘했어요 / 10-04-05 15:33/ 신고
5750 1위...
저도 사용하고 있는거라 기분 좋네요
역시 좋은 카드..
내가 1등 먹은 기분입니다..
로텐부르크 / 10-04-05 16:04/ 신고
9800gt 화이팅이지만 업글하고 싶네요...
대박인생 bigfo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17:57/ 신고
엄청난 기사량에 압도당하는 기사네요.
기자님 고생하셨을 듯...
엔당은 저 전력소모를 어떻게 못하면 정말, 큰일 나겠네요.
좋은 기사 잘 보았습니다. ^^

복남 ascent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20:29/ 신고
아이들시 전력소모를 고려하면 5670이 매력있네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5 23:14/ 신고
지금 사용하는 것에 만족합니다.
하지만 여기 테스트 항목에 없는 걸 보니 조금 ㅠ.ㅠ
방민지 tbvjvsladl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0:01/ 신고
이야~ 기자님 대박!!! 멋있습니다!
연지벌레 duswl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0:08/ 신고
가려운 곳을 박박 긁어주네요.. 잘 보았습니다.^^
주동성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1:00/ 신고
5850이.. 정말 잘나오긴 잘나왔군요... ㅎ
가격이 조금만 더 착해지면 참 좋을텐데...
funnystar semilen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2:05/ 신고
초스펙타클(?)한 벤치 마크이군요...
글픽카드 선택에 고민중인 유저들에게는 백과사전이 될듯한 내용이군요.. 기자님 수고 하셨습니당....
(지포 400시리즈는 성능에 어울리는 가격과, 전력 소모라...
저같은 서민에게는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군요...)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3:55/ 신고
이거 참...;; 순위권에 들어있는 유일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가 전세대도 아닌 전전세대의 9800GT라는 것은 참 아이러니하네요.

어떻게 생각하면 9800GT가 명작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그동안 엔비디아가 참 많이 죽쒔다... 라는 생각 밖에 안드네요.

더군다나 실제 성능면에서도 5870을 압도하지 못하고 전기는 훨씬 더 많이 먹고 가격도 더 비쌀듯한(이건 나와봐야 알겠지만...) 470/480은 정말 눈물이 날 정도입니다.

이제 올 연말쯤 AMD의 새로운 그래픽카드가 나온다면 엔비디아는 안드로메다로 이사가야 하는 걸까요...?
나라말쌈에..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8:43/ 신고
역시 5000번대가 정말 잘나온 제품같네요 ㅎㅎ
이종우 / 10-04-06 9:05/ 신고
전기세 --> 전기요금이 맞습니다 (아마도 한전가족이신가보군요)
다만 국민들이 세금이라고 오인 체감하는 가장 큰 이유는
쓴 만큰 낸다고 생각하지 않게 때문일 겁니다.
즉 누진세 때문이죠.
전기세는 전기요금이 맞지만 (쓴 만큼 내는)
거기에 +알파되는 누진세는 세금이 맞습니다 (절대로 쓴 만큼 더 내는게 아니죠) 이러한 부분이 국민들이 세금으로 오인하는 원인인 것 같습니다. 누진세는 가정용 저전압 전력에 과하게 부과되어 일반 공장용이나 기업용은 누진의 폭이 크지 않습니다. 국민들만 봉인가요? ㅎㅎ
당신기억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9:25/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현재 HD 4850 사용하는데 생각보다 잘 나오네요... ^^;
그런데 HD 5770이나 HD5850이 탐이 나네요. ㅎㅎ
즐거운하루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9:28/ 신고
전체적으로 전력소모 및 성능은 ATI의 우세군요.. 한세대 뒤쳐진 9800GT가 선전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Ndivia의 설계가 기존 9800계열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점으로 보여준 듯 합니다.
좋은 기사 고맙습니다.
민물장어의꿈 / 10-04-06 10:32/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많은 양의 VGA를 테스트하느라 엄청난 시간과 공을 들였을 것 같네요. 엔비디아의 400시리즈는 늦게 출시됐음에도 경쟁제품보다 성능, 발열, 전력소모량에서 크게 앞서지 않는군요. 가격마저 큰 차이가 없다면 정말 암담할 것 같네요.
유용준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10:33/ 신고
가격대 성능비, 전력소비를 아무리 따져도 임무수행을 고려한다면
dx9에서는 gt240이상이면 되고
dx10에서는 5770이 마지선인거 같군요
벤치마크 기사는 고생하고 쓰셨을텐데
상단메뉴인것도 그렇고 약간 보기 복잡하게 작성된것같습니다
겨울이좋아 / 10-04-06 10:38/ 신고
고생많으셨겠네요. 저 많은 카드를...
9800GT사용자라 그런가 아직까지도 벤치에 이용되는걸 보니 참 끈지긴 생명력을 가졌다고 생각되네요.
nift ni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6 11:10/ 신고
수고 하셨습니다...
사용중인 카드가 그래도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네요...
로멜린디 / 10-04-06 13:54/ 신고
5750 유저로 햄볶는 기사군요 >_< 약간의 불만은 있었는데 이렇게 훌륭한 카드였을 줄이야 ㅎㅎ 하긴 가격대비/전력대비 성능으로 고민하고 고른 보람이 있네요 정말 대규모 벤치 볼때마다 역시 보드나라! 감동했습니다. 그리고 A당 만세네요 ㅋ
김경숙 / 10-04-06 16:18/ 신고
고생 엄청 하셨겠네요.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사나운 새벽 / 10-04-06 20:15/ 신고
4850과 5850의 전력소모는 의외로 거의 차이가 없군요..정말 생각치 못한 정보군요.
노랸병아리 smileman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7 9:25/ 신고
많은도움이 된것 같습니다. 지포스 제품과 같이 벤치마크도 했으면 좋았을 텐데요
김도준 / 10-04-07 11:36/ 신고
7900gt사용중인데 업글해야 겠죠? 이거면 9500gt랑 비슷하게는 나오나요?
아는남자 / 10-04-07 13:07/ 신고
기사잘 읽었습니다.
8800GT 사용자로서는 정말 교체를 망설이게 하는 제품이군요.
발매당일날 샀었는데, 정말 최고의 선택이었네요. 지금의 결과로 보았을땐 다음 카드로는 8800gt 같은 5850이 가장 유력하겠네요. 5850이 메인스트림이 되는날 교체!
아타호 / 10-04-07 13:35/ 신고
기사 잘 봤습니다.

그런데
5770 전력점수가 좀 이상하네요
9800GT하고 전력소비가 별 차이가 없는데(10w 미만)
최종점수에서는 3점이나 차이가 납니다

제가보기엔 3점이나 4점이 되야될것 같습니다
이오니카 ghostl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8 10:19/ 신고
지적 감사합니다.
관련 내용 수정했습니다.
donkey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7 13:36/ 신고
좋은벤치네요 다만 성능차는 많이나는데 가격이 10만~15만사이라서
현실에선 그닥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는것같더군요. 잘봤습니다~
안드레이셰브첸코 chcv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7 17:05/ 신고
잠깐,

라뎅 5450이 라뎅 4350보다 모든 면에서 성능이 떨어지네?

심지어 메모리가 두배인데도?
Scavenger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7 17:51/ 신고
세세한 부분까지 잘 파헤쳐주셔서 고맙습니다. 역시 평소 생각하던대로 라데온 HD 5750이 가격대 성능비 면에서 우수하군요.

8장에서 'HD 5670이 18점으로 4위, 9800 GT가 15점으로 4위'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으니 올바르게 고쳐주시기 바랍니다.
이오니카 ghostl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8 10:20/ 신고
지적 감사합니다.
잘못 표기한 내용 수정했습니다.
oasis / 10-04-07 18:40/ 신고
솔직히 5800시리즈는 넘 비싼 듯 합니다..30만원 밑으로만 떨어지면 어떻게든 구입할 용의가 있는데 이건 거의 불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07 21:33/ 신고
4770은 정말 고루고루 여러부분에서 우수하네요. 대체적으로 가격이 저렴해진 4770, 4850, 4870 의 4000대 하이엔드 제품이 우수한반면 5000대 제품은 아직 갈길이 멀고 변종 제품들은 특정부분에서만 두각을 내는 면이 짙네요. 지포스라면 9800이나 250이 성능을 감안한 우수제품인듯하네요. 이렇게 정리해서 볼 수 있으니 정말 속이 시원하군요.
파코즌 / 10-04-09 10:10/ 신고
좋은 벤치입니다.
특히 가격대성능비, 와트당성능비 비교는 아주 좋은자료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훌륭한 벤치 많이 만들어주세요
병치기 / 10-04-10 20:56/ 신고
GTX480 전력소비가 Wow ~ 네요 하,하
그래도 역시 중요한건 가격에 전기요금 적은거랄까?
서민층을 공략한 제품이 나왔으면좋겠네요

/ 아 이글을 보고나니 VGA카드를 업그레이드 하고싶습니다
근데 AGP라지요 하하하
heroleejy / 10-04-12 20:11/ 신고
최고입니다.
정말 X고생하셨네요...^^;
듀크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13 22:04/ 신고
이걸 다 테스트하느라 고생 좀 하셨겠네요.
수고하셨습니다.
김혜성 / 10-05-07 14:15/ 신고
ㅎㅎ DX10 밴티지의 가격대 성능비는 AMD가 짱먹었지만, 실제 DX10 게임에서의 가격대 성능비는 nVIDIA가 짱.
whoru deathes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5-08 22:59/ 신고
9800 GT 쓰고있는데 ㄷㄷㄷㄷ;;;; 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윤형일 / 10-05-09 22:02/ 신고
기사 잘 보았습니다. 한 개가 빠졌내요..하나 더 추가 부탁드려요. 9800GT Green 버전여. 아마 그린 버전이 공정이 개선 되고 성능은 조금 낮추고 전기는 왕창 떨어뜨린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성능 비교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슷하게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5-10 23:11/ 신고
전력소모 벤치가 가장 눈에 들어오네요.
게임프레임 뿐만이나라 전력소모도
게임에 따라 순위가 바뀔수 있다는걸 처음 알아서....
전투기 f15cc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5-11 9:25/ 신고
상당히 도움되는 기사네요
donkey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5-12 11:25/ 신고
5670도 쓸만하네요.. 그치만 가격대들이 다들 고만고만해서..
사나운 새벽 / 10-05-16 1:17/ 신고
4850 > 5850 이 진리군요. 전기료만 신경 안쓴다면..
보석 / 10-05-31 19:32/ 신고
역시 진리의 4770 이군요. 아직까지 쨍쨍합니다. 앞으로 오버해서 몇년은 더 우려먹어야지. 쩅쩅하네. 그놈의 수율만 좋았더라면...
이 4770 등장으로 아마 9800gt사골 가격다운 됐지 아마.
정승희 / 10-06-05 10:31/ 신고
수고하셨습니다.
HD 3850 3년 정도 사용중인데, 잘 돌아갑니다.
ATI글픽카드가 대세인가 보군요~^^/
w / 10-08-09 21:23/ 신고
온도까지 고려한다면 4770이 정말 최고입니다. DX 11게임이 많이 나오기 전까지는 가성비에서 4770을 넘을자는 나타나지 않을듯 하네요
김주승 kjs502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8-11 20:09/ 신고
4860은 스트림프로세서가 640sp입니다.
수정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아주 고생하셨습니다.
지오짱! / 10-08-30 15:16/ 신고
다행이다.. 5770이라.. 베스트에 5에 드니까요.. 성능은 만족합니다.
가격이 20여만원에 구매해서 비싸서 그렇지...
안녕하세요.// tol0108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9-03 10:42/ 신고
정말 작성자의 고생이 보이는 글이네요 ㅎㅎ
정말 소중한 기사내용이네요 ㅎㅎ
타박상 warn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9-08 22:21/ 신고
모든걸 종합해보면 5750이 결론으로 났네요 ^^
막걸리광 / 10-09-22 22:30/ 신고
머리아푸다 어렵네 ㅜㅜ 수고하셨습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4/05]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4/05]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4/05]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4/05]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4/05]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4/05]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4/05]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4/05]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4/05]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4/05]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4/05]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4/05]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4/05]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4/05]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4/05]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4/05]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4/05]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4/05]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4/05]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4/05]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