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그래픽 카드별 가격대 성능비는?
그래픽 카드별 가격대 성능비는?
본 기사 첫 페이지에서도 언급했지만, 한정된 예산안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민감하게 여기는 것이 바로 가격대 성능비이다. 이에 따라 이번 페이지에서는 그래픽 카드의 가격으로 성능을 나눈, 별 가격대 성능비를 알아본다.
제품의 가격은 현재 다나와에 등록된 제품 중, 레퍼런스 클럭을 유지하고 테스트 제품과 동일한 종류의 메모리/ 메모리 용량을 장착한 제품을 대상으로, 4월 3일 기준 최저가를 100원 단위에서 반올림한 1000원 단위 가격으로 선정했다. 단지 지포스 GTX 260과 GTX 275, HD 4870의 경우 제품 단종과 수급 문제로 가격이 상승한 관계로 제품 수급 문제 이전의 최저 가격인 21만 8천원과 30만 3천원, 18만 7천원을 기준으로 삼았다
레퍼런스 클럭을 지원하는 제품이 없거나, 있어도 레퍼런스 제품의 판매처가 적어 구매가 어려운 G 210과 HD 4350, HD 5570은 테스트 제품과 동일 용량 메모리 용량과 클럭으로 동작하는 제품의 최저가를 택했으며, DDR2 메모리를 채택한 HD 4550은 비 레퍼런스 제품 1종 뿐이라, 그 제품의 가격을 채택했다.
GTX 480과 GTX 470은 아직 국내 출시 및 가격이 공개된 제품이 없는 관계로 가격대 성능비 계산이 불가능했음을 알린다.
지금 확인할 가격대 성능비나 다음에 살펴 볼 소비 전력당 성능비의 경우, 낮은 성능의 그래픽 카드는 대체로 가격과 소모 전력 역시 낮으므로, 성능과 가격, 소모 전력 양측이 모두 높은 경우 보다 높은 값을 기록할 수 있다. 그렇다고 상위 그래픽 카드의 실제 성능이 하위 성능 제품보다 반드시 낮은 것은 아니므로 이점을 상기하면서 결과를 확인하기 바란다.
벤치마크상의 가격대 성능비
3DMark 06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한 HD 5870을 비롯한 HD 5850, HD 5830, GTX 285, GTX 275등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가격대 성능 비에서는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반면, 8400GS와 HD 5450은 각 시리즈의 가장 낮은 등급 제품인 만큼 가격 역시 낮아 가격대 성능비도 낮게 나타났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이유로 가격대 성능비는 각 시리즈의 최상위 제품들인 HD 5870, HD 5850, GTX 285보다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나, 테스트 제품 중 중상위 성능을 기록한 9800GT가 가격대 성능비에서는 가장 높은 스코어를 기록했으며, 그 외에도 주로 10만원 대의 메인스트림 제품군들이 가격대 성능비가 높게 나타났다.
DirectX 9 기반의 3DMark 06과 달리 DirectX 10 기반의 3DMark Vatage Performance 테스트의 가격 대비 성능 비에서는 각 시리즈 제품군의 하위 제품들이 가격대 성능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DriectX 10 기반의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해 전체적인 성능 하락 폭이 커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3DMark 06에서 가격대비 성능비가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HD 5870/ GTX 285/ HD 5850등은 상대적으로 다른 제품들보다 스코어 하락폭이 낮은 모습을 보이며, 가격대 성능비가 중하위 권으로 상승했다.
상위권에서는 9800GT와 GTS250의 순위가 각각 2단계 하락했으나 여전히 상위권을 유지하고, HD 4850과 HD 4770이 1위와 2위를 차지했으며, 가격대 성능비에서는 주로 메인스트림 제품들이 중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게임에서의 가격대 성능비
테스트 게임의 프레임은 대부분 100 단위를 벗어나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대부분 10만원 이상인 제품의 가격으로 테스트 프레임 값을 나눈 값은 소숫점이 길어져 표기와 구분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각 결과값 구분의 편의를 위해 4 자리에서 반올림한 소숫점 3 자리 값을 비교했다.
실제 제품 판매가가 공개되지 않은 GTX 480을 제외하고, 56.84로 가장 높은 평균 프레임 성능을 보인 HD 5870의 경우 가격대 성능비는 0.111로 HD 4000 시리즈의 가장 하위 제품인 HD 4350의 0.116보다 낮게 나왔으나, 실제 게임에서의 HD 4350의 평균 프레임은 4.4로, HD 5870이 약 13배 높은 평균 프레임 성능을 나타낸다.
Crysis Warhead의 가격대 성능비 역시 상위권에는 3DMark 벤치마크 결과와 유사한 제품들이 포진하고 있다. 중상위권에는 주로 20만원 미만의 메인스트림 제품이, 10만원 미만의 보급형 제품들이 낮은 성능으로 인해 하위권을 차지하며, HD 5870과 GTX 285의 경우 여타 제품보다 높은 가격으로 전체적인 가격대 성능비는 저가형 제품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DirectX 10 기반의 Resident Evil 5 역시 메인스트림 제품이 중/ 상위권에, 플래그쉽 모델과 보급형 모델이 하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순위 변동은 1~2 순위 정도로 크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GTX 285와 HD 5870의 경우 높은 가격으로 인해, 가격대 성능비에서 8400 GS와 G 210, HD 5450등의 보급형 제품들과 가격대 성능비 최하위권에 자리한 모습을 보인다.
DirectX 9 기반 Batman : Arkham Asylum테스트에서 각 그래픽 카드의 가격대 성능비는 앞선 두 게임의 가격대 성능비 결과와 마찬가지로, 9800 GT와 GTS 250, HD 4800 시리즈 제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그 뒤를 ATI의 HD 4000 시리즈 상위 제품들을 비롯한 메인스트림 급 가격대 제품들의 가격대 성능비가 높게 나타나며, HD 5870은 그 가격으로 인해 Resident Evil 5 경우의 가격대 성능비 보다는 향상됐으나, 하위권과 중위권 사이에 걸친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