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지포스 GTX 560 Ti vs 라데온 HD 6950 1GB, 게임 성능 한판 승부

2011-03-10 19:00
이성복 기자 pola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olabear@bodnara.co.kr

4. GTX 560 Ti vs HD 6950 1GB 성능 비교



최근 PC가 전반적으로 고사양화되고 있으며 대형 모니터가 대중화됨에 따라 보다 화려하고 세밀하며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게임들이 속속 선보이면서 시스템 요구 사항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양상은 패키지 게임뿐만 아니라 온라인 게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결국 시장에서는 DX9, DX10, DX11 기반의 게임들이 혼재하고 있어 그래픽 카드들은 각 다이렉트X 환경에 맞도록 최적화를 이뤄내고 있다.

이번 장에서는 대표적인 DX9, DX10, DX11 기반의 벤치마크 프로그램 및 게임들을 통해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았을 때와 AA/AF를 적용하였을 때 지포스 GTX 560 Ti와 라데온 HD 6950 1GB간의 성능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3DMark Vantage : DirectX 10

그래픽카드의 기본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3DMark Vantage 테스트 결과 상대적으로 낮은 해상도와 필터링이 적용되지 않은 Performance Preset(1280x1024, 1xAA, NoxAF)에서는 지포스 GTX 560 Ti가 5% 정도 앞선 성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고해상도에 필터링이 적용된 Extreme Preset(1920x1200, 4xAA, 16xAF)에서는 두 제품이 오차범위내의 동일한 성능을 제공한다.

참고로 동일한 테스트 환경에서 라데온 HD 6950 2GB 모델의 경우 Performance Preset 및 Extreme Preset의 경우 각각 19954/10401점으로 지포스 GTX 560 Ti 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DMark 11 : DirectX 11

그래픽 카드의 DirectX 11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3DMark 11의 결과를 살펴보면 Performance Preset, Extreme Preset 모두 앞서 3DMark Vantage의 테스트 결과와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기존 3DMark Vantage의 경우 물리엔진으로 PhysX가 사용되어 이를 활성화했을 경우 상대적으로 NVIDIA 그래픽 카드가 높은 스코어를 제공하였지만 3DMark 11의 경우 Bullet 물리엔진으로 변경되었다. 실제 세부 테스트중 Physics 항목을 보면 두 제품간에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xtreme Preset GeForce GTX 560 Ti Radeon HD 6950 1GB
Score 1532 1604
Graphics 1379 1443
Physics 7306 7338
Combined

1703

1809

 

Dead Space 2 : DirectX 9

데드 스페이스 2는 콘솔을 기반의 게임이지만 그래픽 관련 다양한 옵션을 갖추고 있어 자신의 사양에 맞게 최적화 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모든 옵션을 최고로 설정한 후 테스트를 한 결과 엔비디아에 최적화된 게임 답게 지포스 GTX 560 Ti가 큰폭으로 우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Mafia 2 : DirectX 9, Physx Off

NVIDIA의 GPU 가속 물리엔진인 PhysX를 지원하는 마피아2의 경우 지포스 GTX 560 Ti는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라데온 HD 6950 1GB와 동일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4xAA, 16xAF를 적용할 경우 라데온 HD 6950 1GB보다 약 7~10% 낮은 성능을 보인다.

참고로 Physx를 활성화 할 경우 두 그래픽카드 모두 전체적인 프레임 저하가 발생하지만 지포스 GTX 560 Ti는 30~40 프레임대를 유지해 충분히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물리 연산을 전적으로 CPU가 담당해야하는 라데온 HD 6950 1GB의 경우 플레이가 불가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NVIDIA의 PhysX물리 엔진은 많은 게임들에 적용되었고 올해에는 그 규모가 더욱 커질 전망이지만 현재로서는 PhysX에 대응하기 위해 AMD가 선보인 Bullet 물리엔진의 경우 이를 적용한 게임들은 찾아볼 수가 없는 상황이다.

 

Crysis 2 Demo : DirectX 9

최고의 사양을 요구했던 Crysis의 후속작으로 크라이엔진3 기반으로 개발중에 있는 크리이시스 2 데모가 최근에 공개되었다. 다만 이번에 공개된 버전은 개발 단계이기 때문에 DX11이 아닌 DX9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DX9 기반의 게임들과는 차별되는 그래픽을 선사한다.

최고 그래픽 옵션인 Hardcore로 설정한 후 Fraps를 이용해 초반 전투전의 프레임을 측정한 결과 거의 동일한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다. 차후 DX11 버전으로 패치가 되거나 세부 그래픽 옵션등이 추가될 경우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어느 한 진영에 치우치지 않는 고른 성능을 제공한다.

 

Crysis Warhead : DirectX 10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중에 하나인 Crysis Warhead는 해상도 및 필터일과 관련된 모든 테스트에서 라데온 HD 6950 1GB가 지포스 GTX 560 Ti를 앞서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필터링이 적용될수록 그 차이는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라데온 HD 6900 시리즈가 HDR+AA, 프로그래머블 CFAA를 비롯해 MLAA와 Coverage 샘플을 추가한 EQAA 기법등을 새롭게 추가해 안티앨리어싱(AA)와 비등방성필터링(AF)의 효율을 높혔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Just Cause 2 : DirectX 10

Just Cuase 2는 NVIDIA CUDA, DX10 지원을 통해 1편보다 더욱더 향상된 그래픽과 현실감 있는 액션을 제공해주는데, 타이틀 화면에서 볼 수 있듯이 NVIDIA에 보다 최적화가 되어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실제 테스트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4xAA, 16xAF 필터링과 모든 옵션을 최상으로 설정하였을 경우 지포스 GTX 560 Ti가 라데온 HD 6950 1GB에 비해 뒤쳐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물론 옵션중 Bokhe Filter/Enhanced Water Detail 항목은 NVIDIA 제품에서만 활성화가 되기 때문에 평평성을 위해 비활성화하였다.)

 

BattleField Bad Company 2 : DirectX 11

EA에서 출시된 전략 FPS 게임인 배틀필드 : 배드 컴퍼니 2는 DICE사의 Frostbite 엔진과 DX11과의 조합을 통해 높은 퀄러티와 현실감을 제공하는데 물론 그로 인해 시스템 요구 사항도 다소 높은 편이다. 4xAA 필터링 및 모든 항목을 가장높게 설정한 후의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두 제품모두 1920x1200 해상도에서도 쾌적한 플레이가 가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근소하지만 지포스 GTX 560 Ti가 1~2 프레임 정도 앞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Lost Planet 2 : DirectX 11

DX9 및 DX11을 지원하는 로스트 플래닛2의 경우 엔비디아에서 관련 벤치마크 소프트웨어를 배포했던 것을 보았을 때 엔비디아에 보다 최적화가 된 게임임을 예상할 수 있다. 실제 테스트 결과를 보았을 때에도 지포스 GTX 560 Ti가 모든 테스트에서 5~10%이상의 성능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필터링을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Tom Clancy's H.A.W.X. 2 : DirectX 11

HAWX 2 벤치마크는 엔비디아에 최적화된 게임중에 하나로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지포스 GTX 560 Ti가 라데온 HD 6950 1GB를 50% 이상 앞서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DirectX 11과 테셀레이션 성능을 살펴보는 테스트의 경우 여전히 DX11과 테셀레이션 처리가 우수한 지포스 계열이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명 5 : DirectX 11

GPU 렌더링 및 쉐이딩 성능에 의존적인 리더 벤치마크의 경우 장면에 따라 두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엎치락 뒤치락 하고 있는데 2군데를 제외하곤 평균 60프레임 이상으로 안정된 프레임을 보여주다. 모든 장면의 프레임을 평균 내보면 지포스 GTX 560 Ti가 112프레임, 라데온 HD 6950 1GB가 109 프레임으로 근소하게나마 차이를 보이고 있다.

CPU 성능에 의존하는 유닛 벤치마크의 경우 그래픽카드를 제외하고 프로세서를 비롯해 동일한 테스트 환경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그래픽카드간에 큰 성능 차이를 보인다. 아무런 렌더링을 하지 않은 경우에는 라데온 HD 6950 1GB가 큰 폭으로 앞서지만 렌더링이 적용될 경우 라데온 HD 6950 1GB는 큰 성능 하락을 보여준다. 이것이 게임이나 드라이버의 호환성 또는 최적화 문제인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현재까지는 문명5를 즐기기에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가 좀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CPU+GPU가 조합되는 Late Game 벤치마크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그림자효과와 렌더링을 적용했을 경우 지포스 GTX 560 Ti는 라데온 HD 6950 1GB에 비해 75%이상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맵의 크기가 커지고 유닛의 수가 많아 질수록 그차이는 더욱더 크게 벌어진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DirectX 11(/9)

대표적인 MMORPG인 WOW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DX9 기반이지만 최근 확장팩등에서 DX11의 몇몇 효과들이 적용되어 향상된 그래픽을 제공한다. 오그리마에서 톱니항까지의 비행시 /timetest 명령어를 통해 프레임을 측정한 결과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지포스 GTX 560 Ti가 18~20% 가량 높은 프레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주동성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0 19:42/ 신고
결과를 보니 6950이 좀 많이 아쉽네요.
성능이 문제인건지..드라이버 지원이 문제인건지..
게임 지원이 문제인건지..

성능도표와 함께 파워사용량도 함께 있었다면 더 좋았을텐데 조금 아쉽네요.
북극곰 pola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0 20:37/ 신고
이번 기사는 단순하게 3D 게이밍 성능에 대해서만 다뤄진 것이며, 이어질 2부에서는 말씀하신 부분들을 포함한 부가기능들에 대해서도 다뤄질 예정입니다.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0 21:17/ 신고
이번 턴에서는 엔비디아의 압승인 것 같군요. 개인적으로는 AMD가 5XXX의 우세를 주도적으로 끌고가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0 23:35/ 신고
하...6800시리즈 잘 뽑아놓고 이 무슨 짓인지...6950은 변신밖에;;
겨울이좋아 / 11-03-11 10:18/ 신고
560ti 유저로서 좀 뿌듯하네요(?) 다음 벤치 기다릴게요.
초보하다 / 11-03-11 14:46/ 신고
560Ti 의 압승이라고 하기에는 제가 알던 결과와는 다르네요. 위 벤치가 틀렸다는 말은 아니고요.^^ 제가 알기로는 HD6950 1GB가 종합적인 전체 성능으로는 쪼금 더 낫고 고해상도인 2560x1600에서는 확실히 좀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줬더거 같더군요..

// 지금 살펴보니 지금 벤치에 없는 메트로2033, F1 2010, 고딕4, 스토커, 매스이펙트2, Just Cause2 등의 게임에서는 확실히 HD6950 1GB가 더 좋은 모습을 보여주네요. 아 그리고 Just Cause2 결과는 좀 이상하네요. 제가 지금 파코즈에서 본 벤치랑 같은 옵션인데 결과는 반대네요. HD6950이 더 좋게 나와있거든요.

아무튼 이 벤치만 보고 허접프로그래머님처럼 560Ti가 훨씬 좋다고 오해하시는 분이 있을까봐 이렇게 글을 적네요. 게임에 따라 업치락 뒤치락이 심하며 전체적으로는 HD6950 1GB가 쪼금 더 낫다는게 중론입니다. 뭐 거기서 거기라고 봐야겠죠.ㅎㅎ

결국은 주로 하는 게임과 각 회사별 그래픽카드 자체와 가격을 따져보고 고르는게 제일 현명한 선택인거 같습니다.^^
북극곰 pola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2 11:54/ 신고
말씀하신것처럼 전체적인 성능은 비슷비슷합니다. 그리고 테스트 환경상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26인치 이하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1920x1200을 기준으로 하였기에 그 이상의 해상도는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DX9/DX10은 AMD, DX11은 NVIDIA라고 구분지을수도 없는것이 같은 DX11 지원 게임이라도 게임에 따라 서로 순위가 뒤바뀌기도 합니다. 그래서 2부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게임들을 추가로 테스트가 진행이 될 예정입니다.

그리고 Juset Cuase 2는 그래프작업시 수치가 바뀌어서 입력이 되어서 해당 부분은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로또만이살길..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1 22:00/ 신고
전체적으로 비슷하군요..
한번에 훅 간다 cdh828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2 7:47/ 신고
파코즈 벤치에서는 이렇게까지 차이가 안났던거 같은데요..ㅎ
안녕하세요.// tol0108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2 23:27/ 신고
막상막하의 성능을 보여주는군요.
잘 봤습니다. 고생 많이 하셨네요 ㅎ
지금도달리고있는중 / 11-03-13 1:22/ 신고
약간 밀리는거 같네 크흥 우짜노
580 / 11-03-13 3:40/ 신고
문명5 은 그렇다쳐도 HAWX2 까지 추가해서 560이 더 우수하다고 하는것은 좀 억지스럽네요. 그 이유는 아는 사람은 다 알지요. 리뷰어께서도 아실듯 합니다. DX11 성능을 가늠하는 3DMARK 11의 결과에서 알수 있듯이 HD6950은 DX11성능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테셀레이션만 테스트한 결과는 실제 게임과는 거리가 멉니다. 문명5,나 H.A.W.X2의 성능차이는 그래픽카드의 DX11성능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NVIDIA에 최적화한 게임이라서 프레임이 더 높게 나오는것 뿐입니다. SP자원이 여러가지에 쓰이는 게임에서는 테셀레이션에만 SP를 몰아쓸수 없기 떄문에 헤븐,3DMARK11에서 알수 있듯이 두 제품간 게임에서 테셀레이션 성능차이는 거이 없습니다. 테셀레이션만 떼어서 테스트한것은 광고성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GTX580 / 11-03-13 3:50/ 신고
예를 들어 MS의 SDK로 테셀레이션 벤치마크 결과를 보면, 페르미가 몇배나 더 높게 나옵니다. 이는 DX11성능이 아닙니다. 테셀레이션 성능입니다. 그럼 3D그래픽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벤치마크툴이나 게임에서 HD6950이 테셀레이션 성능때문에 성능이 떨어질까요? 아닙니다. 그 이유는 테셀레이션을 처리하는데는 GPU의 자원을 쓰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테셀레이터가 10개이고 쿠다코어를 테셀레이션 처리에 거이 대다수 투입가능한 환경(MS SDK벤치)에서는 테셀레이션 성능이 매우 높게 나옵니다. 그러나 테셀레이션처리 유닛(폴리모프엔진)이 10개던 100개던 쿠다코어 자원을 10%뿐이 못쓰는 제한이 생기면 테셀레이터가 1개일때와 성능차이가 안나는 경우가 생깁니다. 게임등에서 GPU의 자원은 픽셀,버텍스,지오메트리 쉐이더뿐 아니라 피직스 같은 물리엔진연산에도 동원됩니다. 테셀레이션에 분배할 자원은 무한대가 아닙니다. 테셀레이션및 DX11만의 효과를 가장 많이 쓴 벤치마크 툴인3DMARK11결과나 헤븐벤치 결과를 보면 HD6900의 테셀레이션 성능이나 DX11성능이 페르미와 별치아가 없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페르미가 DX11에서 더 강하다는 것은 틀린말입니다. 특정DX11게임이 페르미에 더 최적화되어 나왔다고 해야 옳은 표현입니다.
음 / 11-03-13 3:50/ 신고
리뷰가 왠지 엔비디아 편향적인 시각이 드네요.. 좀더 공정한 리뷰를 해주셧으면 합니다..
sk8er_8oi / 11-03-13 9:30/ 신고
문명 옵션에 따른 AMD의 성능 하락이 눈에 띄네요.
이연희 leenayou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3 14:47/ 신고
저같으면 6950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끓여만든배 / 11-03-13 19:32/ 신고
두 제품의 성능은 거의 엊비슷하다고 봐야할 듯...
버섯 c1101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14 15:46/ 신고
6950은 변신을 위한 그래픽카드 ㅋ
슬래쉬 / 11-03-15 21:18/ 신고
두 제품군 모두 좋은 성능이긴 하네요...
저에겐 모두 그림의 떡이지만 ㅠ
늑대랑삼바를 / 11-03-16 23:31/ 신고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엔비디아의 쿠다 지원소프트가 amd에 비해 많기에 유용한 경우가 많죠 성능외적인부분을봐도 엔비디아가 유리?!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3/10]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3/10]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3/10]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3/10]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3/10]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3/10]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3/10]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3/10]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3/10]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3/10]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3/10]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3/10]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03/10]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03/10]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03/10]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3/10]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03/10]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03/10]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03/10]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03/10]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