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GCN 기반 AMD 차기 메인스트림, Sapphire 라데온 HD 7770 GHz Edition

2012-02-24 11:00
편집부 press@bodnara.co.kr

4. 사파이어 HD 7770의 오버클럭과 온도, 소음



AMD는 Catalyst Control Center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왔다. 특히 그래픽카드의 오버클럭을 가능하게 만든 AMD OverDrive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 별도의 클럭조절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누구나 쉽게 그래픽카드를 오버클럭 할 수 있게 했고 RADEON HD 7000 시리즈 부터는 기존의 클럭과 팬 속도 조절에 이어 GPU가 소비하는 전력을 가감할 수 있는 기능까지 추가했다.

 

Sapphire HD 7770 GHz Edition도 별도의 튜닝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 없이 그래픽카드 설치와 Catalyst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누구나 쉽게 OverDrive 메뉴를 사용하여 오버클럭이 가능하다. 단. 예전처럼 자동 오버클럭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클럭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사람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도 이 기능을 통해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을 오버클럭했다.

 

오버클럭 방법은 크게 두가지다. 처음부터 높은 클럭을 셋팅해 안정화된 클럭을 찾아가는 방법이 있고 조금씩 높여가며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는 최고 클럭을 찾는 방법이 있다. GPU와 메모리, 각각 따로 테스트해서 최종 클럭을 찾는 단계도 필요한데 이런 단계들을 거쳐 필자가 결론지은 최종 결과는 GPU 클럭 1100MHz / 메모리 클럭 1350MHz다.

전원 제어 설정은 10%까지 사용해봤지만 클럭상승과 안정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같아서 기본값으로만 최종 클럭을 찾아낸 것이다.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이 이미 1GHz로 동작하고 있어서 오버클럭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28nm 공정 덕분에 발열도 적고 충분하진 않지만 조금은 성능 향상을 기대할 만한 결과이다. 실제 3DMARK11에서도 기본 상태보다 300점 정도 더 높게 나왔다.

 

사파이어 Radeon HD 7770 GHz Editon의 온도와 소음

오버클럭 테스트에 이어 FurMark를 사용하여 GPU 온도 테스트도 진행했다. 옵션은 기본 옵션이고, 온도 체크는 다른 제품과의 비교를 위해 GPU-Z의 온도 모니터링 로깅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간 체크했으며, 5분 동안의 휴식 상태와 10분 동안의 풀 부하 상태를 이어서 체크했다.

 

GPU 온도 테스트 결과다.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은 휴식 상태에서 40도 초반의 온도를 보여준 반면 테스트에 함께한 다른 그래픽카드들은 이보다 높은 온도를 기록했다. 특히 6850은 40nm 공정의 기존 세대임을 증명하듯 휴식 상태와 풀 부하 상태 모두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경쟁사의 GTX 550 Ti만이 휴식 상태에서만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와 비슷한 온도를 기록했다.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의 다른 그래픽카드보다 눈에 띄게 온도가 낮은 것은 쿨링 솔루션의 차이도 있겠지만 가장 큰 차이는 28nm 공정으로 만든 GPU라는 것이다. 이 차이가 위와 같은 차이인 것이다.

 

 

Sapphire HD 7770 GHz Edition

RADEON HD 6850

GeForce GTX 560

GeForce GTX 550 Ti

Fan Speed (%)

40

61

100

83

Fan Speed (RPM)

1774

2413

3690

3690

온도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소음에 큰 차이가 있어서 이것 또한 정리하고 넘어가겠다. 위의 표는 GPU 온도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함께 체크된 쿨링팬 속도를 비교한 것인데 보면 알겠지만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의 팬 RPM이 가장 낮고 100%를 기준으로 봤을 때도 가장 낮은 비율로 동작했다.

소음 차이를 비교할 정확한 데이타는 아니지만 Sapphire HD 7770 GHz Edition는 다른 제품과 달리 회전수가 적고 최대 회전수 대비 40% 정도만 동작하고 있으니 귀에 거슬릴 만큼의 소음을 나타내진 않을 것이다. 이와 달리 GTX 560과 550Ti는 80%가 넘는 회전수고 3690이라는 빠른 회전으로 Sapphire HD 7770 GHz Edition보다는 소음이 크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폰으로 PC 옆에서 소음을 측정한 결과 Sapphire HD 7770 GHz Edition을 장착하고 풀 부하 테스트 했을 때 57db 정도의 소음을 들려준 반면 GTX 560은 64db로 상당히 거슬리는 소음을 들려줬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로멜린디 / 12-02-24 11:28/ 신고
가격만 안정화 되면 이걸로 CF시스템 꾸며보고 싶네요. 6850으로 놀다가 기다리겠음..
DJ Desperado / 12-02-24 12:21/ 신고
국내에선 6850보다 전력소모 빼고 나은게 없음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4 13:38/ 신고
실성능은 6850과 엎치락뒤치락하는것 같은데 가격을 고려하면 6850의 압승같다는...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4 14:28/ 신고
57770도 가격 무개념이 심했지만 7770도 정말 좀 너무하다싶네요;;
로멜린디 / 12-02-24 15:21/ 신고
어차피 초기 가격이니깐요. 한 분기만 참으면 제가격 나오겠죠.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4 15:28/ 신고
가격이 좀 낮아지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제품인 듯 하네요...^^
게리킬달추종자 / 12-02-24 17:26/ 신고
해외에서도 6850에 비해서 메리트가 없다는 내용이 보이네요 ㅎㅎ;
바람공자 pdj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4 20:15/ 신고
가격만 낮춰주면 좋을듯 한데 가격대가 만만치 않을듯 하군요.
종건 whdrjs07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4 21:52/ 신고
이 가격정책은 두어달 갈려나요?
글픽은 가격변동이 너무심해 항상 신제품의 초기구입은 꺼려집니다.
끓여만든배 / 12-02-25 1:53/ 신고
제품 가격대가 15만원대 정도로 내려가면 모를까 현재 가격대로는 아쉽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공부하자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5 2:02/ 신고
기존 68x0 시리즈 재고가 소진되고
7770 의 가격도 조금 내려가면 인기를 메인 되겠죠. 성능은 그럭저럭 대체할 수준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가격이 문제죠.
늑대랑삼바를 / 12-02-25 4:05/ 신고
출시초기라 그런지 가격이 심하게 에러네요
지금도달리고있는중 / 12-02-25 11:20/ 신고
가격이 왜저러지..; 초기가 라고는 하지만 심한 뻥튀기 음..
꾸냥 / 12-02-25 12:53/ 신고
-On Mobile Mode -
700 이지만 이전 800 급 성능이라니 바꾼 아키텍처가 잘 나오긴 발 나왔네요.
하지만 역시 가격이 문제네요. 빨리 떨어져야할텐데...
BOT입니다 znzlspt1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6 15:27/ 신고
이름이 이쁘네요
iiiilillllil / 12-02-26 16:27/ 신고
잘보고갑니다
미사키 / 12-02-27 4:03/ 신고
솔직히 13~14만원까지는 떨어져야 경쟁력이 있을듯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7 11:20/ 신고
엔비디아에서 신제품이 안나오고 있으니 가격이 더 저 모양.
IT바라기 / 12-02-28 17:51/ 신고
가격이 심하게 비싸 보이네요.
PowerPC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02-29 10:38/ 신고
메인스트림 세대 교체를 위해 가격인하를 기대해 봅니다
anshigo / 12-02-29 15:48/ 신고
가격안정화 이뤄진다면 괜찮아 보입니다.
지금은 너무비싸요
아테나 / 12-03-01 10:24/ 신고
20만원 정도면 그리 만만한 돈은 아니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2/24]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2/24]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2/24]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2/24]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2/24]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2/24]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2/24]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2/24]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2/24]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2/24]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2/24]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2/24]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2/24]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2/24]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2/24]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2/24]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2/24]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2/24]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2/24]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2/24]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