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디지탈 리뷰 홈  

300Mbps에 도전! 802.11n 무선 랜 가이드

2009-06-30 00: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5. 300Mbps를 위한 준비물 - 무선 공유기




802.11n을 구축할 수 있는 무선 공유기

앞에서 802.11n 무선 랜이 기존의 802.11a/b/g와 어떻게 달라졌으며 어떤 기술을 바탕으로 속도를 올렸는지를 살펴봤으니 이제는 실제로 802.11n을 사용하기 위해 어떤 장치가 필요한지 알아보기로 하자.

먼저 필요한 장치는 802.11n 규격에 맞춰진 무선 환경을 제공하는 AP(Access Point)다. 무선 랜은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연결로 동작하지 않고(물론 지원은 한다), AP를 중심으로 기기들이 연결되는 구조다 보니 AP 역할을 해줄 장치가 있어야 한다. 대부분 무선 AP 기능이 들어간 공유기를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무선 공유기가 없는 경우 특정 무선 랜을 AP 모드로 바꾸고 나머지 장치들이 그쪽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최근에는 802.11n 무선 기능을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들의 가격이 많이 내려가 단순히 유선 공유기를 구입하기보다 유무선 공유기를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

 

유선 1Gbps(1000Mbps) / 무선 300Mbps

우선 생각할 수 있는 가정용 유무선 공유기는 유선 네트워크로는 1Gbps 속도를 지원하고 무선으로는 300Mbps를 지원하는 제품이다. 이 경우 인터넷 연결이 100Mbps라고 해도 공유기를 통해 돌아가는 내부 유선 네트워크는 1Gbps로 동작해 SOHO 환경에 적합하며 무선 랜도 현재까지 802.11n 최대 속도에 해당하는 300Mbps로 동작하므로 유/무선 모두 최적의 속도로 동작하는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다.

 

802.11n 300Mbps를 지원하는 무선 제품들은 대개 3개의 안테나를 달고 나오는데 3개 모두 송신과 수신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Tx)용으로는 2개만, 수신(Rx)용으로만 3개를 쓰게 된다. 송신 안테나의 숫자가 늘어나면 그만큼 전송 속도가 빨라지지만 각각의 안테나로 보내진 신호를 다시 원래 신호로 복원할 때 더 복잡하고 많은 파워가 요구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802.11n 드래프트 2.0에 기반한 2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유선 100Mbps / 무선 300Mbps

기가비트 유선 랜을 지원하는 제품보다 저렴하면서 무선 300Mbps를 지원하는 공유기도 있다.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제품이 별로 없거나 유선 네트워크 사이에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거의 하지 않는 경우 적합하다. 무선 랜 속도는 300Mbps를 유지하고 있어 무선 위주로 네트워크를 구축한 경우 경제적인 선택이 될 것이다.

 

아직 국내 초고속 인터넷 속도는 아직까지 100Mbps 정도가 대부분이라 유선 네트워크에서 100Mbps를 지원해도 인터넷 사용에 문제가 없으며, 최대 300Mbps를 지원하는 무선 랜은 실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효율을 고려해도 초고속 인터넷에 적합하다.

 

유선 100Mbps / 무선 150Mbps

802.11n 유무선 공유기 가운데 가장 낮은 스펙은 유선 100Mbps, 무선 150Mbps를 지원하는 제품이다.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한 SISO(Single-Input Single-Output) 방식은 802.11n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MIMO를 통한 다중 공간 전송(Spatial Stream) 기술을 지원하지 못한다.

채널 본딩이 허가되지 않은 시절이었다면 무선 랜 속도는 기껏해야 802.11g보다 약간 올라간 65Mbps였겠지만, 40MHz 채널 본딩을 쓸 수 있어 안테나 하나로 150Mbps 무선 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MIMO 방식이 아닌 경우 속도 뿐만 아니라 무선 수신 거리가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는데, N104처럼 SISO 제품 중에는 수신 거리를 다른 MIMO 모델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감도를 높인 무선 안테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psywind (ID)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9:58/ 신고
요즘 무선은 정말 빨라졌죠
굳이 불편한 유선을 구축할필요가...
robfight (ID) robfigh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0:04/ 신고
저의 경우는 디링크와 인텔랜카드 조합이 좋긴하지만.. 문제는 아직도 일부 공유기에서 호환성 문제가 야기되더군요. -_-;;
ytsfft (ID) ytsf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1:15/ 신고
요즘 11n지원 공유기도 많이 저렴해 졌고 무선랜카드도 많이 저렴해 져서 무선하면 이제 11n으로 통할거 같습니다. 다만 여전히 무선보안은 조금 걱정이 됩니다. 예전보다 보안기술도 진보는 했으나 창과 방패의 끝은 늘 창이 뚫고 있으니 말입니다. 그래도 개인의 무선랜을 보안하는데 지금기술도 충분히 강력하다고 생각되지만요.^^
redcurse (ID)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3:15/ 신고
좋은기사 잘 봤습니다
그런데.. 기기 설명에 i사제품만 나오는게 좀 그렇네요 -_- (스폰기사인가?)
그리고 9페이지 테스트에 1Gbps는 좀 빼놓고 하는게 합당하지 않을까요? -0-;
topquark (ID) topquar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4:12/ 신고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I사에서 홍보용으로 많은 제품을 지원해 주셨나보네요
A사 제품도 같이 비교했으면 좋았을텐데..

보안부분의 내용이 너무 단순하게 나와있어 오해할 소지가 있네요

802.11n에서는 WLAN보안성에 대해서 보안을 해지한 상태 OPEN(MAC인증포함) 하던가
WPA-PSK(AES ONLY) / WPA2-PSK(AES ONLY) 만하도록 권장하고 있고

실제 타사 무선랜카드도 마찬가지로 WEP나 WPA-PSK(TKIP)로 사용시
802.11G급으로 속도가 떨어집니다.

관련내용도 좀더 상세히 다뤄줬으면 한데 아쉽네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4:58/ 신고
무선랜이 이제는 정말 많이 저렴해졌죠. 저도 무선사용하는데 확실히 이동형에서는 무선랜만한 것이 없는것 같네요. 더불어 N지원시에는 빠른것을 실감합니다.
king8407 (ID)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18:34/ 신고
주파수세계는 어렵네요..;; 인터넷속도테스트에서 품질측정,다운로드속도가 150mbps와 54mbps차이가 많이 나네요. 무선에서는 휴대성이 좋고 유선은 가정에서나 사무실에서는 좋은 선택이겠죠.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30 22:21/ 신고
확실히 편리함에서는 무선이, 실제 속도면에서는 유선이 아직까지는 최고인듯 합니다...
kama136 (ID) / 09-07-01 2:30/ 신고
이제 802.11 지원 제품들이 주력으로 완전히 자리잡는 것 같네요. 가격대도 그렇고 뛰어난 성능을 생각하면 장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느자구』 / 09-07-01 12:10/ 신고
인텔랜기준으로 해서.. 전 브로드컴 무선랜이라 봐도 모르겠네요.
이상하게 제 노트북은 300M로 연결이 잘 안되더군요.. 최대 275M정도만 연결되더군요.. 실제 측정해보면 다운로드는 7메가정도.. 업로드는 10메가정도 나오고..
N지원이라고 거창하게 광고하지만.. 그에관해 자세히 연결법이란걸 설명해놓든가 무슨 제한이 있다던가 하는 내용이 무선랜제조사가 밝히지않아서 사용자들만 좀 불편합니다..
kwnation2020 (ID) kwnation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1 12:16/ 신고
802.11n을 사용해본바 공유기가 무선랜카드보다 대략1m정도 높은 곳에 위치할 경우 업체에서 주장하는 실측 정상 속도를 내주는것 같더군요.
actium (ID) actiu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1 14:42/ 신고
가격만 보더라도 11n을 구입하는 것이 이득이더군요. 다만 역시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유선을 따라올 것은 없습니다. ^^;
muherga (ID) / 09-07-01 20:21/ 신고
이것 저것 따지고 쓸려면 역시 돈이 많이 드니까. 아파트 광랜이라면 돈좀 들이겠지만 주택이라면 11n 버전까지 굳이 필요할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그냥 대충 보급형 쓰는게 젤 맘 편하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vobavoba (ID)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2 1:52/ 신고
요즘은 성능도 좋아져서..벽도 왠만하면 잘통과하는듯하더군요..
rubychan (ID)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2 2:12/ 신고
무선 랜 카드만 따로 비교 벤치를 해봤으면 좋겠네요.
udstd (ID) / 09-07-02 9:56/ 신고
무선이 아무리 좋아도 속도면에서는 아직 유선이...
chunsu (ID) / 09-07-02 19:47/ 신고
300Mbps라니 성능한번 확실하네요
월바장 / 09-07-02 20:00/ 신고
무선공유기와 랜카드의 중요한 성능중 하나인 무선 송수신거리, 인식률 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점이 좀 아쉽네요 아이피타임 제품만 있는데 이들 제품들만 해도 구, 신형의 차이가 어느정도 있을텐데 ...국내 경쟁사와 외산 유무선공유기와의 비교가 아쉽습니다.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2 22:10/ 신고
이번에 꽤나 맘에드는 기사가 올라왔네요.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3 2:09/ 신고
집에 광랜이 들어오지 않는관계로 딴 세상이야기가 되어버렸네요.
노트북도 802.11g 밖에 지원이 안되는지라..
gurngi (ID) / 09-07-03 8:44/ 신고
802.11n공유기도 이제는 가격이 많이 떨어졌네요.
bom0814 (ID) / 09-07-03 11:37/ 신고
빠른 인터넷의 무선 환경 구축이 가능 하겠군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3 14:08/ 신고
당분간은 무선랜은 사용하고 싶지 않지만, 훌륭한 가이드 자료입니다.
nanocube (ID) / 09-07-03 15:10/ 신고
사는 아파트가 예전 건물이라 랜 단자가 구비 안되서 랜선 공사 하자면
귀찮기도하고 보기 안좋을것 같아서 무선랜으로 구성 해서 사용합니다.
802.11.n 으로 말이죠 유선보다 속도 떨어 지는거야 당연하지만
부팅시 무선랜 접속 프로그램이 올라 오기 까지 시간이 더 걸리는게
가끔 자증 나더군요.
ㄴㄹㄴ / 09-07-03 20:41/ 신고
제가 아피타임 n504모델을 쓰고있는데 링크속도는 270~300Mbps로 나옵니다.

속도측정을 하면 실속도는 50~60Mbps로 나오더군요 결국 공유기cpu 처리성능에 따라 속도가 결정되는것같습니다
komow (ID) komo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3 23:28/ 신고
유무선의 단적인 문제가 무선을 활성화 시키면 유선의 전송속도도 같이 떨어집니다. 유무선 공유기 무선을 비활성화 시키고 사용하다 문제가 있어 유선전용으로 바꿔서 사용하고 있내요..
saddj (ID) sadd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4 17:37/ 신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almashy (ID) / 09-07-04 17:51/ 신고
가장 궁금한건 기가비트 유무선 공유기의 유무선 성능들 입니다
몇몇 제품들 있는데 이거 테스트 좀 해줬으면 하네요
가격격차도 같은 기가비트 유무선 끼리지만 큰데 수십만원에서
수만원까지......

기가비트로 유선을 처리하면서 N급 무선까지 같이 처리를 하려면
CPU 성능이 대단해야 할듯한데 솔직히 다들 이에 미치지 못하고
실효 성능은 기가비트에 이르지 못하는게 사실 같은데

가격이 비싸지더라도 당연히 제대로된 기가비트 지원 기기가 좋겠지요
needled247 (ID) / 09-07-05 15:02/ 신고
요즘 11n 으로 집안에서 무선네트워킹을 구축하려 하고 있어서 관심있게 봤습니다. 채널본딩 기술이나 MIMO(tx-rx 개수) 때문에 11n 도 성능이 제품마다 다르다는건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2.4GHz 대역에서 비중첩 채널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는건 새롭게 알게되었네요. 그나저나 지금 11n 스펙이 현재 제품화된 Draft 2.0 을 한참 넘어 Draft 9.0 까지 나왔다니 후덜덜하군요. 정식스펙은 과연 언제 나올런지 ㅎㅎ

ps. 속도에서도 유선이 한두발짝 앞서가긴 합니다만(유선은 현재 기가빗/10기가빗이죠), 유선의 확실한 장점은 신뢰성이죠. 무선이 속도가 좋다한들 주변 간섭 요소 때문에 품질이 왔다갔다할 우려가 있는 반면에 유선은 최고의 품질을 일정하게 보장한다는거... 하지만 통상적인 인터넷 사용에서는 광랜까지 커버할 수 있는 11n 이니 부족함이 없겠고, 따라서 상당히 널리 대중화되지 않을까 싶네요.
cherrysia (ID)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6 23:20/ 신고
802.11n 무선 랜의 속도도 예전보다 좋아졌군요.
doch1 / 09-07-07 21:02/ 신고
흠. 집에서도 현재 802.11n 으로 노트북과 pc 를 각각 다른 방에서 구축해서 쓰고 있지만. 속도 만족하고 좋습니다. 다만. 가장 큰 문제점은 USB 랜카드의 호환성 문제에 피씨 OS 특성을 탄단다는 거에요. 프로그램 꼬이면 잘 끈기고 랜카드도 속도 안나고 그래요. 하지만 한 1년 정도 쓰는데 아이온도 잘 돌아가고 합니다.
windyc (ID) / 09-07-07 21:47/ 신고
기사 정말 멋있네요 ~ 이 기사 내리지 말고 오랬동안 올려놓았으면 합니다 ...
그런데 궁금한 거 한 가지요 !!!
무선도 좋고 속도도 좋지만 전자기파에 의한 인체 유해성은 없나요 ?
예전에 어디선가 무선랜 필테 신청을 받길래
무선랜의 유용성에 관한 테스트가 아닌 무선랜의 유해성에 관한 테스트로
802.11n 무선랜을 거리별로 즉 1, 2, 3, 4, 5m 등등에 생쥐를 놓고
계속해서 무선랜을 사용했을 경우 생쥐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싶다고
건의한 적이 있었는데 감감 무소식 ㅎㅎ
제발 인체에 유해하지 않았으면 해요 ! ^^
onlylord7 (ID) onlylord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8 8:17/ 신고
무선공유기중에 가장 힘있는 공유기는 어떤것일까요? 저도 무선공유기를 구입하기이전에 고민하고있습니다만, OS특성을타는게 걸림돌이 될지도..
rockcd (ID) rockc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08 11:03/ 신고
요즘 무선 인터넷 정도면.. 내부 네트워크로 대용량 전송할때는 짜증나지만. 인터넷 정도는 풀로 사용할수 있으니. 괜찮은 것 같습니다.
hidemaneda (ID) hidemaned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11 20:14/ 신고
무선을 이용하는 입장에서 도움되는 기사네요.
두군데의 무선 공유기를 사용해 봤는데 차이가 좀 나긴 하더군요.
sujecheon (ID) sujeche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7-21 14:50/ 신고
무선랜이 초당 8MB를 다운받을 수 있다니 아주 빠르네요
진사마 / 09-07-31 15:11/ 신고
감사합니다!!! 11n 접속을 위해서 WEP을 적용하면 안된다는 것을 이 기사보고 알았습니다 ㅡ.ㅡ;;
wohahawch (ID) wohahawch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29 9:35/ 신고
참고 하셔야하는것이
공유기 와 랜카드 가 같은 칩셋제품이야
속도가 제대로 나옵니다
회사 가 틀릴경우 (지금은 802.11N 규약 확정이지만)
무선 가능거리 도 줄어들고 불안한 경우가 많습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6/30]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6/30]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6/30]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6/30]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6/30]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6/30]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6/30]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6/30]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6/30]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6/30]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6/30]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6/30]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6/30]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6/30]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6/30]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6/30]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6/30]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6/30]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6/30]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6/30]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