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의 의견 보기 |
|
|
skycmc (ID) / 05-03-09 11:56/
신고
|
|
coaxial은 그렇다치고 요즘 spdif는 상당히 많이 쓰는데 조금아쉽네요....
|
|
|
|
|
jungle80 (ID) / 05-03-09 11:58/
신고
|
|
글 잘 읽었습니다
새로 구입시보다 업그레이드 사용자 들에게 많이 유리할 것 같군요
요즘은 전원부 방열판도 슬슬 대세로 떠오르는 듯 합니다
저도 PATA 하드4개 사용 중이라 IDE 컨트롤러를 연결 해 사용하는 중인데 RAID 기능은 필요없어서 단순 컨트롤러만 연결해 사용중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RAID 기능은 아예 쓰지 않는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GD8보드에 컨트롤러만 내장되어 있는게 원가절감 효과도 있고 의외로 괜찮은 효과가 있을 듯 합니다
그리고 어디선가 GD8보드가 EM64T 지원을 한다고 들었는데 AG8-V도 바이오스 업 만으로 지원이 되는가요??
|
|
|
|
|
hymn1219 (ID) / 05-03-09 11:58/
신고
|
|
좋군요. 틈새를 파고든 제품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다만 IDE 컨트롤러를 끼우려거든 RAID되는 걸 했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ICH6도 레이드가 안되고 별도의 IDE컨트롤러도 레이드가 안되면 그 많은 하드는 별 시너지 효과가 없겠지요..
|
|
|
|
|
쿨~ / 05-03-09 11:59/
신고
|
|
대부분은 raid 하면 "바퀴약?" 합니다. ^^
|
|
|
|
|
jjk3540 (ID) / 05-03-09 12:23/
신고
|
|
글 잘 읽었습니다.
틈새 시장 공략을 위한 보급형 제품이군요. ^^;
인텔 사우스브릿지 칩셋 IDE 보다 안정성 좋을지 궁금합니다.
RAID 안 사용하고 IDE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유저에게 좋을듯 합니다.
|
|
|
|
|
resume (ID) / 05-03-09 12:41/
신고
|
|
guru 프로세스가 없다는 것은 좀 불만입니다만 필요없는것은 과감하게 제거하고 가격을 낮춘것은 상당한 메리트가 될 듯
|
|
|
|
|
redcomet (ID) / 05-03-09 12:51/
신고
|
|
ABIT 시리즈의 트레이드인 구루 기능이 빠진대신.....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이 이 제품의 가장큰 특징이 아닐까 합니다......
일단 이 제품은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쓰는 고급 보드라기 보다는.....
듀얼씨피유가 나오고 가격 하향 안정화 들어가기 전까지
사용하는 용도 이거나..안정성을 바라는 사무용 환경에
맞는 제품으로 그 판로를 정하고 나온 제품이므로 가격
적인 잇점을 부각 시킨 제품이라고 생각 합니다....
오래동안 쓸 제품이 아니라면...이런식의 접근방법이...
소비자한테는 더욱 유리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제품입니다....
말은 이렇게 했지만...솔직히 싼 가격에...있을 기능은
두루 가춘 가격대비 성능비가 뛰어난 제품인것 같아
맘에 드는 제품 입니다....
리뷰 잘 봤습니다...^^
|
|
|
|
|
diskfull (ID) / 05-03-09 13:02/
신고
|
|
저렴한 업글용으론 좋네요
시리얼하드구입이 필요없으니..가격적인 부담도 없구요.
아쉬운건 레이드 기능이 없다는게 좀 걸리지만.
암튼 꼭 필요한 기능만 있는 실속형제품이라는 느낌이 드는 제품이네요.
|
|
|
|
|
memphis (ID) / 05-03-09 13:08/
신고
|
|
ABiT에서 AG8을 출시하고 얼마후 보급형으로 AG8-V를 출시했지만 뭔가 아쉬운 점이 많더군요.
구루기능을 그대로 쓰지만 부족한 PATA의 갯수등....
이번에 GD8이 보완해서 나온것 같네요.
아직 PATA를 많이 사용하는 유저들에겐 좋은 선택같네요. 다만 이번에도 빠진 ABiT의 온보드 광출력 기능이 좀 아쉽네요.
|
|
|
|
|
hosinoasuka (ID) / 05-03-09 13:11/
신고
|
|
성능만과 좋은것만 뽑아놓은거 같은제품
그리고 강력한 오버클럭킹 스트립을 집어넣음으로써
불필요한 기능은 제거시키고 필요한것만 넣음으로써 좀더 싼값에 필수요소만 꼭꼭 집어넣어 사용자가 아주 만족할만한 제품
기사에서도 언급했듯이 히트싱크부분은 정말 싼게 비지떡이라는말이 무색할정도로 고급형처럼 보인다는..
그 하늘색 방열판덕분에 열걱정은 할필요가 없을거 같아요..
저같은경우는 내강사운드코덱을 별로 미덥게 생각하지 않는경우라서 내장코덱이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따로 사운드카드를 달아서 써버립니다.. 뭐 리얼텍 사운드 코덱 요즘은 좋다고하니까요.. 나쁘지는 않아요.. 백패널도 알차게 꾸며져서 보기 좋습니다. 요즘 대세라고하는 S-ATA보다는 아직은 현실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E-IDE컨틀롤러를 추가하여 장착한것도 보드제작시에 사용자를 위함이라고 볼수있겠네요..
BIOS구성 부분에서도 상당히 고급스럽게 여러가지를 컨트롤할수있게 되어있네요..
|
|
|
|
|
hosinoasuka (ID) / 05-03-09 13:11/
신고
|
|
뭐 조금은 놀랄만하군요.. 대부분 가격때문에 대충하는 경향이 없지않아 있는데.. 제품이 전원부도 충실하고 디버그 LED를 장착한것도 놀랍고.. 제품자체가 독특하다고나 할까요.. 새롭습니다. 여타 메인보드들보다요..
그리고 기사에서는 PCI-EX슬롯을 좀더늘려서 확장성을 높이는게 좋은거 같다고했는데 저는 생각이 조금은 다릅니다... 조금이라도 줄여서 싼값에 제공하는게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을해요.. 물론 확장성이 나쁘다는건 아님.. 제품 구성은 나름대로 신경을 쓴부분이있구요.
가격과 성능 실용성을 만족하는 제품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사가 타제품과 마더보드 성능테스트를 했으면 어땠을까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약간의 아쉬움이 남아요..
그래도 기사 잘봤어요 요목조목 조리있게 설명해줘서 기사를 이해하는데 쉬웠던거 같네요..
|
|
|
|
|
gt75 (ID)
/ 05-03-09 13:27/
신고
|
|
RAID 기능은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상당히 많아 보이기 때문에 저는 사용을 안합니다. RAID의 속도는 참 좋지만서도 RAID가 깨졌을 경우를 생각하면 정말 아무 생각이 안드니까요.
요즘 하드디스크도 커져서 200기가 X 2를 RAID로 구성할경우 한순간에 400기가의 데이터가 날아갈지도 모르는데 쉽게 사용하기 힘들더군요.. RAID는 복구도 거의 불가능 하니깐 말이지요..
ABIT의 경우 마음에 드는 보드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보드도 꼭필요한 기능이 다 들어있는듯해서 좋네요.
8채널 사운드는 현재 대부분의 스피커가 5.1로 나오기 때문에 큰 단점은 아닐듯 하고, 단지 아쉬운점은 기사에 적혀있는데로 PCI-E 1X 슬롯을 좀 줄이고 PCI 슬롯을 늘리는게 나을듯한 생각입니다. 아니면 PCI-E 16X 한개와 PCI-E 4X 1개를 사용한 개조된 SLI지원 메인보드를 만들어 보는건 어떨까 하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
|
|
|
|
haume / 05-03-09 13:35/
신고
|
|
630과 이보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오버가 당체 안되는군여.. 이보드로 오버하시는분
셋팅 방법좀 알려주시면 고맙겠네여..
|
|
|
|
|
onsync (ID) / 05-03-09 14:08/
신고
|
|
차츰SATA로 가고있고 저도 SATA하드를 여러게 쓰고있지만 여전히 ODD는 대부분이 PATA에 하드디스크특성상 오래쓰는거라 PATA를 늘린 생각은 좋군요. 그리고 아직 PATA하드가 싸구요..또 RAID안쓰는사람두 많구요.(이 가격대 메인보드쓰면서 RAID쓰는 유저는 별루 없을거라 봅니다^^ 즉 필요한 기능만 넣었다 볼 수 있겠군요.) 다만 오디오 입출력부분이 좀 부족한인상을 주기도하고 듀얼랜이 아닌점이 약간 저에겐 아쉽군요(-_-뭐 사람에 따라 틀리겠지만요..) 그리고... SATA케이블이랑 IDE케이블을 좀 더 끼워줬으면 하는게 아쉽습니다. IDE도 늘렸고 한데 IDE케이블이 적고 또 SATA나 PATA나 케이블가격이 크게 영향을 줄것같진 않은데 양이 좀 부족하단 생각이 듭니다.
|
|
|
|
|
never5028 (ID) / 05-03-09 14:54/
신고
|
|
가격이 문제라고 봅니다. 정말 컴퓨터에 그리 관심없는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는 하드디스크 타입보다는 용량이 선택의 기준이 되거든요. 제가 보기엔 메인 업글하기엔 딱인데요..
|
|
|
|
|
hyukdesign (ID)
/ 05-03-09 15:16/
신고
|
|
장점이 많은 제품 같습니다.히트싱크로 소음을 없애고,인텔 기가비트랜칩 장착,추가 PATA IDE 지원이 제일 마음에 드네요.
본문에도 있지만,PCI 일반 슬롯을 더 늘렸다면 보드의 컨셉이 더 완벽해지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가격도 저렴한 편이라 괜찮은 보드라고 할수 있겠네요.
|
|
|
|
|
patent07 (ID) / 05-03-09 15:28/
신고
|
|
폭풍전야님께서 마지막에 정리하듯이 저두 인텔의 기가비트랜을 좀더 선호하는 편입니다.
NF7시리즈 보드를 사용중인데 이넘의 보드의 랜은 여간해서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포기입니다.
하지만 GD8의 랜이 인텔사라는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네요.
IDE장치가 총3개이다보니 주변장치를 많이 달수 있다는 이점과 보드에 팬이아닌 방열판만으로 열문제를 해결했다는게 돋보이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다나와를 찾아보니 약10만원 초반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정도 스펙에 이정도 가격이면 괜찮은듯 하네요.
|
|
|
|
|
yookj79 (ID)
/ 05-03-09 15:34/
신고
|
|
솔직히 S-ATA 2가 나오기전까진 별로속도 차이도 없고
좋은점이라곤 선정리 하나밖에 없는것같습니다
기존에 쓰던하드도 혼용이 되고, odd주렁주렁달고
있는분들은 확실히 나을것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RW, CD, HDD1, HDD2 이렇게 쓰느라
IDE포트가 많이 필요한데 역시 소비자 심리를
잘아는군요 ^^
|
|
|
|
|
ehudryu (ID) / 05-03-09 15:42/
신고
|
|
기존 915칩셋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했군요...
기본의 충실하기도해서 나름대로 구미가 댕기네요..
|
|
|
|
|
sunyata (ID) / 05-03-09 15:45/
신고
|
|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출시된 제품같군요. 여러부가기능을 제외하고 업그레이드에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들을 위한 PATA HDD지원과 DDR RAM 지원, 인텔 내장랜, 방열판 장착등이 장점이자 특징으로 보여집니다.
반면 오버클럭을 위한 바이오스 옵션의 부족은 Abit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며 이왕 ALC658이 아닌 HD오디오 지원규격의 코덱을 장착했더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
|
|
|
mystory (ID)
/ 05-03-09 15:52/
신고
|
|
개인적으로 이것저것 주렁주렁 달린 것보다는 꼭 필요한 기능만 있는 보드를 좋아합니다..
레이드 기능도 사용할 일이 없더군요. 그냥 하드 확장용 ^^
|
|
|
|
|
iuno79 (ID) / 05-03-09 16:13/
신고
|
|
S-ATA가 앞으로의 대세이지만, 아직은 IDE랑 속도차이는 별루없는 것 같은데..그래서 이런 보드도 출시되는 것이겠지요..뭐...선택의 폭을 넓혀주니까 좋네요..
Guru칩셋이 빠진건 좀 아쉽네요..웬지 허전한 느낌이..
|
|
|
|
|
crazyits (ID) / 05-03-09 16:28/
신고
|
|
글 잘봤습니다.
보조로 달린 IDE에 DVD-RW 또는 CD-RW등을 창착하여 테스트를 해보셨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HDD를 장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ODD때문에 정작 더 필요한 부분이 IDE인듯 합니다. ^^;
|
|
|
|
|
kangs75c (ID) / 05-03-09 16:39/
신고
|
|
약간은 쌩뚱맞는 제품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별도의 컨트롤러를 달바엔 가격도 얼마 차이나지 않으니까 기왕에 레이드를 지원하는 PROMISE칩셋이나 실리콘 이미지사의 침셋을 달았더라면 더 좋았을걸 그랬군요. 요즘 PATA제품을 5개이상 달아서 사용하는 유저가 과연 몇이나 될러는지 의심스럽군요..그리고,지금은 ABIT메인보드이 상징이 되어버린 GURU칩셋이 빠졌다는 것도 쌩뚱맞고요.
과연 얼마나 호응을 얻을지 .....
|
|
|
|
|
ilstar (ID)
/ 05-03-09 16:55/
신고
|
|
지금의 추세로 보았을때는 p-ata의 레이드 추가보다는 장점을 사타2나 ddr2를 지원하지 못한다 점이 아쉬움이 남네요..
|
|
|
|
|
freakman (ID) / 05-03-09 17:27/
신고
|
|
s-ata장치를 많이 사용하는 저에겐 알맞는 제품이군요..
꼭 필요한 기능만 넣은것 같습니다.
|
|
|
|
|
dorfor (ID) / 05-03-09 17:34/
신고
|
|
OC Strip 이라..상당히 매력적인 제품이군요.
역시나 오버클럭의 명가 아비트 답게 전원부모스펫위에도 힛싱크를 덮었고 더불어 무소음을위해 노스브릿지에 無쿨링팬 방열판만으로만 발열해소를 한점이나 심적인 만족감을 위해 사우스 까지도 방열판을 덮은점은.. 매력적으로 느껴집니다. 거기다가 경제적 사용자들을 위해 p-ata 하드를 기존 ICH6에서 지원하던 2개가 아닌 4개를 지원하는것또한.. 매우 좋아보입니다..
가격만 잘나온다면..좋겠군요 ^^
|
|
|
|
|
zwood (ID)
/ 05-03-09 17:51/
신고
|
|
일단 발열을 막기위해 단순하게 팬을 증설하는 개념이 아닌 히트싱크를 적절히 배치한 점을 높게 사고 싶습니다. 아무래도 팬이 증가하면 할수록 반대급부로 소음이 늘어나게 되는데, 노스브릿지나 전원부에 쿨러를 장착하는 요즘 추세의 보드들과 차별성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예전에 사우스브릿지에 열이 발생하여 탄 경험이 있는데, 이를 위해 히트싱크를 배치한 점은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처방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보드에서도 그 부분에 방열판을 설치했는데, 이미 장착되어 있다면 그 만큼 안정성면에서 뛰어날거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P-ATA HDD를 계속 사용하는 유저들을 배려하여 추가적으로 P-ATA를 지원하는 점도 선택시 플러스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과도한 비용의 업그레이드 보다는 기존의 하드웨어를 착실하게 이용하면서 점차적으로 바꾸어가는 것이 소비자들에게는 유리할테니까요.
전반적으로 ABIT GD8 메인보드는 유저들의 요구를 반영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
|
|
|
sunryong (ID) / 05-03-09 17:55/
신고
|
|
일반적 사용용도로의 유저로서는 pata가 추가된점이 제대로 특화된거 같네요. ieee뺀거도 그렇고...
|
|
|
|
|
coffin91 (ID) / 05-03-09 18:10/
신고
|
|
nf7-2의 대박성공덕분일까요? 한국 유통사의 요구에 따른 제품들이 종종 보이더군요. 분명 평가할만한 부분인것 같습니다.
Abit... 예~~전 bh6, nf7, 현재 nf8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만족하고있는 브랜드
|
|
|
|
|
haume / 05-03-09 18:17/
신고
|
|
오버의 명가라서 샀는데 왜 오버가 안되는건가..
시퓨가 뽈딱이라서 그런가여?
|
|
|
|
|
ascentia (ID)
/ 05-03-09 19:07/
신고
|
|
제 개인적 관점에선 그래도 915칩셋 보드 중 가장 제 요구에 맞는 보드라고 봅니다. 저소음, 인텔 기가랜 등등 말이죠.
|
|
|
|
|
masasi (ID)
/ 05-03-09 19:08/
신고
|
|
사실 기존 915 보드의 문제점 중 하나가
가지고 있는 PATA 하드를
활용할수 없다는 점이었습니다.
하나라면 문제가 없지만 3-4개 정도를 가지신 분들은
중고로 팔기도 가격차가 크니 아깝고 해서
775 소켓 865 보드를 사용하거나
기존 칩셋 제품의 CPU 업그레이드로 해결하였죠.
다만 그럴때 PCI-E VGA를 사용할수 없기에
아쉬운 감은 상당했다고 봅니다.
RAID 기능이 필요하지 않으신 분들이 훨씬 더 많으니
큰 단점으로 보이지는 않는군요.
메모리도 DDR을 지원하여
업그레이드 부담을 줄일수 있고,
DDR2가 올해 대중화될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것
같기는 하지만 865칩셋 775보드의 수명보다는
오래 사용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인텔이 듀얼코어 지원을 915/925에서 포기한 이상
굳이 미래를 대비하고 제품을 구입해야할
의미가 사라졌죠.
전원부 방열과 기가바이트랜, PATA 콘트롤러 제공등
가격대 성능과 활용도 면에서
요즘 구입하기에 가장 적당한 구성으로 보입니다.
|
|
|
|
|
youknow (ID) / 05-03-09 19:14/
신고
|
|
틈새 시장을 노린 보드 같군요...
인텔 랜 컨트롤러와 PATA 추가는 충분히 메릿을 느끼게 해줍니다.
다만 바이오스의 오버 옵션이 약한 것은 좀 아쉽군요...
|
|
|
|
|
핑클안티 / 05-03-09 19:21/
신고
|
|
리뷰 잘보았습니다^^
|
|
|
|
|
lapsody (ID) / 05-03-09 19:58/
신고
|
|
가격대비 특별한 장단점이 없는 제품인것 같으네요.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네요.
|
|
|
|
|
lighdark (ID) / 05-03-09 20:01/
신고
|
|
일단 노스브릿지가 패시브 쿨링이라는 것이 장점이고, 추가적인 IDE 콘트롤러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이 역시나 가장 큰 포인트인 듯 합니다.
저는 시스템 디스크의 경우 SATA 36GB 10Krpm 2개를 RAID 0으로 구성하고, 데이터 디스크의 경우 안정성을 위해 일반 PATA 고용량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상중인데, 915P 보드를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디스크도 SATA를 사용하거나 네트웍이 가능한 외장형으로 빼야 한다는 문제가 생깁니다. 하지만 GD8을 사용하면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니 반가운 마음이 드는군요. ^^
|
|
|
|
|
infinity9 (ID) / 05-03-09 20:38/
신고
|
|
전원부 부분은 정말 마음에 들지만.. 과연 IDE확장이 얼마나 효용성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IDE Raid1 채널 추가 되는것이 지금보다 더 효용성이 클것이라 생각됩니다. SATA Raid는 새로 구입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할테지만 아무래도 기존 하드를 이용하여 Raid를 사용하려는 유저들에겐 아쉬움이 많이 남을것 같네요.
|
|
|
|
|
ytsfft (ID)
/ 05-03-09 21:13/
신고
|
|
쿨러가 없고 방열판만으로 이루워져 소음걱정은 없이 쓰겠네요. 아직 비싼편이고 소음문제도 있는 S-ATA보다는PATA쪽에 투자하는게 더 좋군요.S-ATA2라면 모르지만 케이블의 정리외에는 별로 땡기지않은게 지금의 S-ATA니까요. 그이전에 저렇게 많이 달아버릴 일이 있을까가 의문입니다만..^^;;
ABIT제품답게 기본성능과 오버능력을 잘 맞춘제품일거라 생각되네요.
|
|
|
|
|
컴초보 / 05-03-09 21:20/
신고
|
|
컴초보가 조립을 한번해보려구 돌아다니니.. 눈이 핑핑
돌아가네요. 당췌 알수없는 내용들 뿐이라...
일주일 정도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내게 필요한
보드는 어떤것일까를 알아본결과. 이 보드만큼 적당한것이 있을까?? 더 많이 필요하지도 않고.. 필요한것만
나에게 필요한것만 딱 들어있는듯.. 가격만 맞다면.
이걸로 구입해야겠네요..
리뷰읽으면서 또 배우고 갑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
|
|
|
redcurse (ID)
/ 05-03-09 21:23/
신고
|
|
단점 해결이라고해서 925xe급으로 변모하는줄 알았더니
일반적인 기사내용이네요. IS7-II의 대를 이을 제품인데.. 모스펫 방열판에 눈에 띄고.. 그외에는 별로 달라진게 없네요. 저같이 odd주렁주렁달고 있는사람한테는 ide채널 많을수록 좋죠 ^^ 이제품의 단점이라면 pci슬롯이 2개뿐이 안된다것;
|
|
|
|
|
yoonys98 (ID) / 05-03-09 22:36/
신고
|
|
가격만 적당하다면 쓸만한 제품인듯
리뷰 잘 보았습니다.
|
|
|
|
|
okawa (ID) / 05-03-09 22:44/
신고
|
|
괜찮군요....
특히 전원부 히트싱크가 마음에 들었습니다.
|
|
|
|
|
mstyeo (ID) / 05-03-09 23:21/
신고
|
|
RAID보단 PADA기능에 충실한 제품이군요.
오버클럭의 강한 제품이니 만큼
좋은 안정성을 보여주겠죠
PCI슬롯이 상대적으로 적은듯합니다.
|
|
|
|
|
yjh7524 (ID) / 05-03-09 23:25/
신고
|
|
9xx시리즈로 넘어오면서 865,875시리즈에서 보여줬던 abit의 명성이 약간은 수그러들은것 같았는데
이번에 출시된 보드로 가격만 잡는다면 다시 is7e정도의 인기를 회복할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
|
|
|
|
checkid (ID) / 05-03-09 23:43/
신고
|
|
쿨러 없는 히트싱크에,
PATA 2채널 추가 지원에,
인텔 기가비트랜에,
대한민국 유저의 구미에 맞는 제품인 것 같습니다.
적정한 가격대로 출시된다면, 대박 상품이 될 것 같습니다.
|
|
|
|
|
goosearcht (ID) / 05-03-10 0:02/
신고
|
|
일단 HDD와 ODD를 많이 달고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유용해 보이지만, 일반적인 PC사용자들에게는 큰 메리트가 없어보이네요.
솔직히 200기가 하드가 11만원선 정도하는 현 시점에서 굳이 여러개의 하드를 달아서 사용할 이유가 없을것 같네요.(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사용자 기준입니다...^^;)
|
|
|
|
|
tusik (ID) / 05-03-10 0:10/
신고
|
|
큰 비용을 지출하지 않고도 업그레이드를 구성할수 었을것 같아 좋네여..
하드디스크를 많이 달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DDR2를 지원하지 않는게 좀 아쉽군여...
|
|
|
|
|
sm9813 (ID) / 05-03-10 1:10/
신고
|
|
꼭 필요한 기능만 넣어 가격대비성능을 높인보드!!!
한국형 보드라 해서 무엇을 보고 그런 소리를 하나 하고
무척 궁금 했습니다...^^
그런데 보니깐 잘 쓰지 않는 기능은 빼고,..한국의 특징인 다운족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하드를 맘데로 추가하여...
자료 다운에 좀더 자유로운 환경을 구축할수 있게 만든 보드군요..^^
제가 생각 하기에도...한국의 발달된 인터넷 환경에 적응하는 보드라는 생각이 드네요...^^
정말 꼭 필요한 기능만을 추가해서...가격적인 거품을 빼서...
동급 최저 가격을 만든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생각
하네요...^^
오랫만에 가격대비 성능비가 높은 제품이 나와서..정말
기쁩니다...^^
|
|
|
|
|
smile58 (ID) / 05-03-10 1:12/
신고
|
|
Abit의 장점은 뭐니뭐니해도 안정적인 오버클럭이라고 생각합니다. AMD의 NF7이 워낙 좋은 보드라 자꾸 오버클럭부분만 보게 되네요.
전체적으로 무난해 보이네요. 전원부 히트싱크도 괜찮고요. 다만 IDE를 6개씩 달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조금 어중간한 것 같습니다.
아주 고사양도 아니고 좀 특성이 없어 보이는군요.
리뷰 내용대로 업그레이드의 성격이 강한 보드같습니다.
|
|
|
|
|
jooni2 (ID) / 05-03-10 1:13/
신고
|
|
제가 제일 좋아하는 보드 회사 ABIT.
역시 ABIT는 사람을 끌리게 한다니까요 ^^
|
|
|
|
|
bitna (ID) / 05-03-10 1:31/
신고
|
|
진짜 다 마음에 드는데.. PCI 슬롯이 좀 부족한 것이 아쉽네요.. 개선된 제품이 나오면 더 좋을 듯 합니다..
|
|
|
|
|
-_- / 05-03-10 1:36/
신고
|
|
리플이벤트라 제품의 단점은 없고 죄다 장점만 언급되는 이 안타까운 현실은 어쩌리...
|
|
|
|
|
suawacs (ID) / 05-03-10 1:42/
신고
|
|
슬롯이 PCI가 2개밖에 없네요..
요즘 필요성이 줄어든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확장성을 위해서는..
DDR2 도 지원해 주웠으면..ㅋ
|
|
|
|
|
babuting (ID) / 05-03-10 2:46/
신고
|
|
리뷰 결론에서도 나왔듯이 무난한(?) 제품인듯... -_-;;;
|
|
|
|
|
tazmania (ID) / 05-03-10 5:08/
신고
|
|
타겟팅이 애매모호~하긴 한데...
의외로 저처럼 PCI슬롯을 쓰고있는 사람도 많은데
두개는 좀 적네요... 리뷰대로 하나빼고 하나 늘렸으면
개인적으로 아비트~의 구루칩셋은 약간 삽질~이란
생각을 하는데 빼길 잘했죠... 없는게 낫죠...ㅎㅎ
|
|
|
|
|
kch8950 (ID) / 05-03-10 9:10/
신고
|
|
무난하지만... 사기에는 망설여지는 보드네요..
잘 봤습니다..
|
|
|
|
|
고세욱 / 05-03-10 9:37/
신고
|
|
오버클럭을 위한 바이오스 옵션의 부족은 인텔 내장랜 장착, PATA HDD지원, 방열판 장착같은 장점들과 바꾸기엔 좀 아쉽네요. Abit 하면 역시 오버클럭인데... 과연 어떤 반응을 불러일으킬지...
|
|
|
|
|
kchoi99 (ID) / 05-03-10 9:39/
신고
|
|
메인보드에서 발생할수있는 소음을 없애기 위하여 방열판 처리한 점이 좋아보이고.. 아직도 팬3 사용하는 저로써는 업그래이드용으루 딱인듯하네요..
일주일째 적당한 보드를 찾아 헤맸는데.. 드뎌 찾았네요.. 단지 지금 업그레이를 할것인가..
아님 참은김에 조매 더 참아서 64bit지원쪽으루 가느냐의 갈림길에 서있습니다~~~ 리뷰 잘읽었구요..
수고하셨습니다.~~
|
|
|
|
|
pys485 (ID) / 05-03-10 9:48/
신고
|
|
ABIT제품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는 제품이죠..저도 총알이 충분했다면 ABIT제품으로 선택했을텐데!!!
그런데 요즘 일반하드 1개랑 ODD 1개 이렇게 사용하는 일반유저한테는 저런 다양한 옵션은 가격만 올리는 불필요한 것이라고 느껴짐!!!
차라리 단순하게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면서 안정적이고 튼튼한 제품을 만드는게 더 나을듯...
|
|
|
|
|
sunradiant (ID) / 05-03-10 10:34/
신고
|
|
아직 DDR2가 대세가 아닌만큼 915P가 좋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디스켓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FDD가 없는 저로써는 아쉽네요.
|
|
|
|
|
hgkim (ID) / 05-03-10 10:42/
신고
|
|
참 히트하길 바랍니다.
|
|
|
|
|
bersk (ID) / 05-03-10 10:48/
신고
|
|
PATA창지 보통 CDROM,DVDROM,CDRW 이정도 갖춘 사람도 상당히 있습니다. 거기에 HDD도 2개정도 갖췄다고해도 5개인데 보통의 보드로는 어림도없죠
좋은 제품이라 생각합니다 아쉬운건 매트릭스레이드군요
|
|
|
|
|
netstar7 (ID) / 05-03-10 11:24/
신고
|
|
요즘 ABIT보드답게 색깔이 참 잘어울리게 배치한것은 마음에 드는군요,
장점으로는
1. 비록 3페이즈만 충실해보이는 전원부(MOSFET 방열 판 부착등)
2. Intel 기가비트 랜칩 도입부분은 마음에 듬
3. ITE 칩을 장착한 추가하여 최대 6개까지 PATA 장착가능
4. 비교적 좋은 A/S ..
단점은
1. Raid 지원부재(IDE 칩을 Raid 지원칩이였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2. 리뷰에서도 언급하였듯이 PCI 슬롯이 2개인점
3. S/PDIF 미지(가장 아쉬운점)
전반적으로 가격대 성능비 좋은 보드라고 생각됩니다..
|
|
|
|
|
curiouss (ID) / 05-03-10 11:34/
신고
|
|
저역시...무언가 부족한 보드라는 생각이 듭니다..
Raid의 부재와 PCI슬롯 수의 부족은 PCI Express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현 상황에서 부족한 느낌이 듭니다만, 새로 시스템을 구입하시는 분들에게는 꽤 어필 할 생각이 듭니다.
|
|
|
|
|
sjd0904 (ID) / 05-03-10 12:03/
신고
|
|
약간 어정쩡한 제품 같기는 합니다.
DDR과 다수의 PATA 등등..
위에 어느 분 말씀대로 틈새 시장을 노리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AMD를 씁니다만.
인텔은 인텔칩셋을 사용한 것이 심리적인 안정감이 높은듯 합니다.
차라리 865나 915/925 시리즈에서 레퍼런스 디자인에
가까운 놈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o^;
개인적인 생각
|
|
|
|
|
emaeull (ID)
/ 05-03-10 12:58/
신고
|
|
무난한 제품인것 같은데요
PATA를 강조한 모델이군됴
SATA가 추세이것 같은데???
|
|
|
|
|
nschae (ID) / 05-03-10 14:15/
신고
|
|
기왕에 추가하는 것 raid기능까지 포함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
|
|
|
|
nonghost (ID)
/ 05-03-10 15:36/
신고
|
|
AMD에도 저런 믿음직한 메인보드가 있었으면 좋을텐데 아쉽다는 생각이 드네요. PATA SATA 모두 라이드 지원되었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
|
|
|
낭만청년 (ID) / 05-03-10 15:54/
신고
|
|
ABIT 제품을 써보진 않았지만 좋은 선택이 될 것같습니다 구입시에는...ddr램을 그대로 쓰면서 업그레이드하기엔 무난할꺼라 생각 됩니다 펜3에서 펜4 넘어오던 시기에도 소켁만 바꾸고 램을 sdr램을 그대로 채택하여서 업그레이드 사용자를 노리던 제품이 기억이 납니다
|
|
|
|
|
heimby (ID) / 05-03-10 19:14/
신고
|
|
ABIT 제품은 성능,안정성,가격 3가지를 다 갖추고 있지요.. 또한 빅빔의 A/S도 타사의 A/S보다 좋다는것이 메리트 입니다. GD8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4phase구조를 3phase로 바꾼건 좀 그렇네요..
|
|
|
|
|
lusina (ID) / 05-03-10 20:11/
신고
|
|
성능및 확장성에 그 비중을 둔거 같네요. 그런데 요즈음 SATA방식하드가 추세인거 같은데 지나치게 PATA를 강조한게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다양한 선택을 할수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무엇보다 좋은소식이 아닐까 하네요.
|
|
|
|
|
lusia (ID) / 05-03-10 21:00/
신고
|
|
PATA가 3채널이나 돼다니... 훌;;;
|
|
|
|
|
hy0415 (ID) / 05-03-10 22:42/
신고
|
|
언제나 좋은 리뷰 잘보고 갑니다...^^
|
|
|
|
|
br2019 (ID) / 05-03-10 23:03/
신고
|
|
보드나라다운 충실한 리뷰 잘 봤습니다. Abit의 보드는 타사의 보드에 비해 항상 뭔가 꽉 찬듯한 느낌을 줍니다. 보드 레이아웃에서부터 사용자 편의성 등등, 성능과 안정성은 기본적인 거고요. 아직까지는 ODD를 포함해 PATA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기에 더 끌리는 보드가 아닌가 합니다. 저도 ODD만 3개를 사용하다 보니 언제나 PATA 포트가 모자라게 되더라구요.^^
|
|
|
|
|
rockcd (ID)
/ 05-03-10 23:03/
신고
|
|
저에게는 상당히 매력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전에 에이오픈에서도 이런 컨셉의 제품이 나왔던것으로 기억합니다.(확장 IDE) 일단 IDE는.. 레이드 사용하는 사람의 수가 많지는 않기에.. 없다고 해도.. 큰 단점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역시 업글용 메인보드 같네요..
기존 컴퓨터 사용자의 경우.. IDE 하드가 한 두개 정도 나올테니.. 이러한 점을 노린것 같습니다.
|
|
|
|
|
hjw0322 (ID) / 05-03-10 23:17/
신고
|
|
지금까지 여러 보드를 사용해 왔지만
그 지원 기능들을 다 사용해 보지 못 했던것이
사실 입니다
하지만 GD8보드의 회원님들의 의견처럼 자주쓰는,
꼭 필요한 기능들을 한군데 모아논듯한 느낌이군요..
좋았던 부분으로
전원부의 경우 3패이즈로 구성이 되있지만
방열반의 적용으로 발열의 걱정을 해소했고,
SATA의 적용으로 PATA의 연결이 다소 주춤했던
점들을iTE IT8211F칩셋을 적용하여 여유러움을 준점,
그리고 아비트 보드의 경우 칩셋 쿨링펜으로 인한
소음의 문제점이 많았었던 점을 방열판만을 사용한
쿨링으로 소음을 원천 봉쇄한 점들.
마지막으로 가격대 성능비가 높을것 같은 느끼이
뇌리를 스치는군요
다소 아쉬운점이 있다면 가격을 고려해서인지
DDR을 적용했다는 점,
그리고 PCI Express 1X 슬롯 3개, PCI 슬롯 2개
인데 PCI 슬롯이 다소 부족하다는 느낌이 드는군요
좋은 사용기 잘 봤습니다
수고하세요...^^
|
|
|
|
|
bbikupig (ID) / 05-03-11 1:05/
신고
|
|
저렴한 업글용으론 좋네요
시리얼하드구입이 필요없으니..가격적인 부담도 없구요.
아쉬운건 레이드 기능이 없다는게 좀 걸리지만.
암튼 꼭 필요한 기능만 있는 실속형제품이라는 느낌이 드는 제품이네요.
|
|
|
|
|
dnqlqhdl (ID) / 05-03-11 3:39/
신고
|
|
2개 PATA장치 사용가능하지 않나요?
|
|
|
|
|
zoneandy (ID) / 05-03-11 5:03/
신고
|
|
GD8 보드 다 좋은데.. 사우스브릿지가 ICH6R에서 레이드 기능 제거된 ICH6라는게 아쉬운 단점입니다. 요즘에 SATA RAID 구성하는분들이 늘어나는 추세임을 감안할때, 또 ICH6R에서 타 컨트롤러에 비해 장점이라고 일컫는 매트릭스 레이드 가능함을 고려할때도.. 많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기존 출시된 AG8 (ICH6R) 보드가 아닌 AG8-V (ICH6)보드를 대체하는 밸류형 제품이라고 본다면.. 가격면에서 아직 AG8-V보다 높게 책정된게 좀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전반적인 보드 레이아웃에서는, 3페이즈 전원부 구성은 뭐 만족할만하고.. 특히 전원부 MOSFET 부근의 OC Strip 설치가 가장 돋보입니다. 프캇 사용시 Asus보드의 StackCool과 마찬가지로 방열, 냉각 솔류션에 큰 역할을 할거로 생각됩니다.
|
|
|
|
|
zoneandy (ID) / 05-03-11 5:03/
신고
|
|
또 ITE IT8211F PATA RAID 컨트롤러가 추가된것은 추가로 EIDE하드 4개를 더 장착가능하므로 좋아보이고.. 특히 2채널이라 채널분리가 가능하므로 EIDE RAID 구성시도 instructions 수행이 동시실행 가능하다는 점은 장점으로 보입니다. 채널 한개만 추가해서 무늬만 레이드기능 제공하는 보드와는 차별화된 모습입니다. 가격면만 좀 보급화되면 상당히 많이 팔릴 보드라 생각되네요.
|
|
|
|
|
deathesp (ID)
/ 05-03-11 8:04/
신고
|
|
S-ATA ii 가 보편되기 전에는 충분히 유용할거 같습니다.
|
|
|
|
|
netage00 (ID) / 05-03-11 12:30/
신고
|
|
전원부가 확실히 맘에 드네요.
|
|
|
|
|
용보더 / 05-03-11 14:21/
신고
|
|
PATA 하드를 가진 사용자로써 구미가 당기지 않을 수 없다.PATA 디스크를 2개나 100GB 이상 가지고 있는데 이를 버리고 sata를 다시 구매하는 것은 주머니 사정이 아니더라도 용서할 수 없는 부분이다. 게다가 기가빗 이더넷은 좋은 옵션인것 같다.
|
|
|
|
|
k9914156 (ID) / 05-03-11 16:47/
신고
|
|
음.. 괜찮아 보이네요... 무엇보다 저렴하게 나온다면 괜찮다고 생각되어지는 모델이네요...
|
|
|
|
|
superex (ID) / 05-03-11 19:39/
신고
|
|
PATA 1개의 한계를 별도의 칩셋을 통해 해결.. 국내 유저들의 입장을 잘 고려한 제품같네요.
그간 ABIT이 왠지 가격적으로 비싸지기만 하고 매리트가 없었는데.. 이렇게 하나둘씩 국내 유저에 적합한 형태의 보드가 나오는군요.
다시 기대하게 만들다니.. 너무해도 ABIT..ㅋㅋ
|
|
|
|
|
superex (ID) / 05-03-11 19:43/
신고
|
|
그리고 정담의 압박..-_-;;
왠지 모르게 요새 보드나라 리뷰나 오타가 간혹 눈에 띄네요..
|
|
|
|
|
newdaylks (ID) / 05-03-11 20:12/
신고
|
|
현재 Abit보드(SG-72:SiS661FX칩셋)사용자입니다.오버는 하지 않지만, 1년전에 구입하여 한번도 에러없이 잘 동작한걸 보면 안전성은 탁월하더군요. 그래서 아비트보드는 믿음이 갑니다.
전 개인적으로 오디오는 신경안쓰는데요, 메인보드내장 오디오는 2채널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오디오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라면 별도의 사운드카드를 장착하는 편이 시스템 효율면에도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즉, 메인보드는 기본기능에 충실해야 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오디오쪽에 신경쓰기 보다는 전원부의 부품중 쵸크코일을 좀 고급스런운 박스모양의 큐빅초크를 사용했으면 좋았을거라고 생각이 드네요^^.
|
|
|
|
|
dh444 (ID) / 05-03-11 21:22/
신고
|
|
필요로 하는 부분만 남기고 가격을 낮춘 제품을 선호합니다 더군다나 SATA방식의 하드를 쓰지 않는 사람에게 사실 기존의 i915P 메인보드로 업그레이드하기엔 부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PCI슬롯이 적은게 좀 아쉽네요
|
|
|
|
|
eventid (ID) / 05-03-11 22:45/
신고
|
|
유저들의 편의를 위해 여러부분에 신경을 쓴 흔적이 보이는군요... 실수요자들에게는 적당한 제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
|
|
|
babopj (ID) / 05-03-12 0:56/
신고
|
|
^^ 아직 제가 쓰고 있는 보드는 SATA 를 지원하지 않아서 ... 아직 사용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저같은 사용자들에게 업그레이드 할수 있는 비용을 조금이라도 아껴줄수 있는 장점이 있어 참 좋으네요. ^^
아울러 역시 아비트는 오버를 위한 보드를 많이. 만들어 주시는데요. 정말 이 제품도 오버에 신경을 많이 쓰신거 같네요. ^^
|
|
|
|
|
hermes88 (ID) / 05-03-12 1:02/
신고
|
|
그럴듯 한데 전원부가 너무 약한듯 하다.
기존 4-Phase 전원부가 3-Phase 로 바뀐것도 그렇고 이왕 3-Phase 였다면 큐빅초크를 사용했으면 하는 바램이고(메인보드 고주파음 야간에는 쥐약) IEEE1394 의 부재는 제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약점이다.
그리고 915칩셋의 약점인 pata 하드디스크 장착의 해결방법으로 pata 레이드 기능은 부적절하다. 자칫 레이드 기능으로 부팅속도나 장착시 번거로움을 싫어하는 이들도 많다는걸 감안한다면 차라리 기가바아트 제품처럼 pata 를 sata 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게 더 현명했을 것 같다.
언듯 악평뿐인듯 해도 팬의 제거로 소음문제를 해결한것과 전원부와 CPU 주변의 냉각 시스템은 훌륭하다.
|
|
|
|
|
yettie (ID) / 05-03-12 1:41/
신고
|
|
ABIT 특유의 기본기와 성능을 바탕으로 확장성에 있어서 좀 더 유연한 모습을 갖춘 제품이네요.
저처럼 다수의 ODD와 HDD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더할나위 없이 좋을 듯...
그 외 쿨러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부분도 맘에 드네요...
|
|
|
|
|
yourmunk (ID)
/ 05-03-12 3:40/
신고
|
|
레이드를 구성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하기에 괜찮은 메인보드로 생각됩니다.AG8-V 제품과 비교해서 원하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택의 폭을 높였다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
|
|
|
|
ramenman (ID)
/ 05-03-12 9:11/
신고
|
|
쿨러무상교체이벤트로 뿌렸던 바로 그 쿨러가 채용되었군요.저도 써봤는데 역시 조용하더라구요...
몇가지 스펙상 아쉬운점이 있는 GD8이네요.
Realtek ALC658온보드 칩셋성능은 그런대로 괜찮은편인데 SPDIF 광입출력기능이 제외되어서 아쉽습니다.
그리고 SATA RAID기능이 빠진것도...-_-;
물론 원가절감을 위해 뺀거겠지만...
|
|
|
|
|
ramenman (ID)
/ 05-03-12 9:14/
신고
|
|
그래도 아직 PATA장치를 많이 쓰는 유저나 저렴한 가격대의 메인보드를 찾고 있던 유저에게 호감을 살것 같군요.기가비트랜 채용이나 전원부 쿨링등 나름대로 소음과 발열에 꽤 신경을 쓴 흔적이 나타나네요.
보급형으로 쓸만할것 같습니다
|
|
|
|
|
skyforce (ID) / 05-03-12 10:52/
신고
|
|
전에 abit보드를 사용할때면 생각이 나는것은 플로피디스크케이블 컨넥터의 위치가 너무 보드의 하단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서 서버급의 큰 케이스의 경우 기본제공되는 케이블로는 연결이 곤란해서 추가 구매한적이 있는데 이번 p-ata케이블 컨넥터의 위치가 하단에 있어서 서버급 케이스라면 길이가 긴 케이블이 필요할것 같군요.
|
|
|
|
|
pkh44 / 05-03-13 1:17/
신고
|
|
|
|
|
|
|
taeki (ID)
/ 05-03-13 3:32/
신고
|
|
무난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을듯...
구냥 보급형정도인것인가..으음..;
|
|
|
|
|
chocopie0714 (ID) / 05-03-13 18:53/
신고
|
|
아비트 제품만 3개째 사용중인데 오버에 관한건 아비트가 가장 나은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다른제품을 안써봐서 다른제품은 잘모르겠네요.
쿨링팬대신 발열판 달아놓은거 너무 맘에드네요.
지금 쓰는보드가 쿨링팬이 말썽이라..;;
|
|
|
|
|
ldj43 (ID)
/ 05-03-13 22:03/
신고
|
|
소비자의 취향을 잘 반영한 제품으로 보이네요.
제품을 다양화해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를 맞춰가고 있는 점이 돋보입니다. ^^;
역시 ABIT~!
|
|
|
|
|
xsfw (ID) / 05-03-14 8:26/
신고
|
|
앞으로 이런 제품 좀 나오겠군요 아직은 SATA문제가 좀 있고 PATA가 대세이니..
|
|
|
|
|
fitagoras (ID)
/ 05-03-14 8:55/
신고
|
|
abit에서나온 이번제품은 불필요한 구성을 제외한 알찬 기능만을 제공한 실용적인 메인보드로 보입니다. 특히P-ATA채널을 추가하고,raid기능은 저같은경우도 그렇지만 사용안하고 꺼두는기능을 과감히 제외시킨점등 돋보이네요.전원부,노스,사우스브릿지등에 히트싱크채용으로 쿨링에신경쓴점이나 인텔기가비트 랜칩,사우스,노스칩셋등을 인텔제품으로 인텔프로세서 시스템구축에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는듯합니다.
|
|
|
|
|
dauphin (ID) / 05-03-14 11:49/
신고
|
|
예전에는 컴퓨터 부품 중에서 CPU, 그래픽 카드, 메모리만 보아왔는데 이 기사를 보니 메인 보드의 중요성이 새삼 인식되는군요. 집에 돌아가서 메인 보드 메뉴얼을 정독해봐야겠습니다.
|
|
|
|
|
banbajiman (ID) / 05-03-15 1:56/
신고
|
|
틈새 시장을 노린 제품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저처럼 RAID는 필요없고 P-ATA를 많이 사용해야하는 환경과 인텔 랜칩을 선호하는 사람에게는 아주 유용한 제품인 듯 합니다.
하지만, 사운드칩셋에서는 약간의 아쉬움이 남네요
|
|
|
|
|
bluepattern (ID) / 05-03-15 5:43/
신고
|
|
SATA와 ATA 중에 고르려니 얼마나 성능 차이가 나는지 모르겠네요...
|
|
|
|
|
panaryu (ID) / 05-03-15 13:06/
신고
|
|
1/5 정도의 Cost Down을 한 제품으로 소비자들에게 쉽게 다가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은 일반 유저의 경우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더라도 가격이 낮은 편이 좋으니까요
|
|
|
|
|
heedang (ID) / 05-03-15 15:52/
신고
|
|
AG8-V과GD8 을 비교해보면 같은 가격대에서 좀더 다이어트한 스펙같이보이는데요. 이왕이면 가격도 다이어트를했으면 좋았을걸 싶네요. 마지막에도 밝혔듯이 가지는잇점이라곤 P-ATA의 확정성 뿐이고 ,잘 사용안하는 옵션은 모두 제외시켜버렸지만,그래도 풀옵션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봤을때는 조금 아쉬움이 남는 메인보드인것 같네요.
|
|
|
|
|
f15cc (ID)
/ 05-03-15 17:47/
신고
|
|
이보드 상당히 메리트 있습니다.
EMT64 지원하는 보드이고요 IDE 포트가 3체널 제공되는게 장점인 보드입니다.
다소 아쉬운 부분은 IEEE-1394 포트가 없네요
다소 아쉬운 부분은 추가IDE 사용시 드라이버 인스톨 인데요 이 부분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긴 합니다만.. 조금은 번거로운 작업이 될수도 있네요 ^^:
|
|
|
|
|
pjkart (ID) / 05-03-15 17:58/
신고
|
|
일반 개인 유저들이 쓰기에는 적당한 스펙인거 같네요. 보드 바꾸면서 하드까지 몽땅 바꾸기는 일반에게 부담이 될 테니까요.요즘 대부분 ODD 두개씩은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SATA를 추가로 사더라도 기존 하드를 몇개 씩은 다 연결해 쓰고 있으니까요.
|
|
|
|
|
ssamldh / 05-03-15 18:09/
신고
|
|
리뷰에서도 언급되었듯이 그리 고가의 제품으로 나오지는 않을것을 기대가 됩니다.
무엇보다 필요한것만....개인적으로 옵이 주정주렁 달리고 잘 활용되지 않는것에 비하면 깔끔하고 좋습니다.
|
|
|
|
|
hellogang (ID) / 05-03-15 19:33/
신고
|
|
적당한 가격에 나온다면 실제로 레이드등을 구성하지 않는 대두분의 사용자들에겐 좋은 보드가 될거 같습니다
|
|
|
|
|
sizz (ID) / 05-03-15 22:21/
신고
|
|
제가 업글하러 메인보드볼때 보는 pata가 2채널 지원되는 915가 늘어나는군요 ㅋ.
|
|
|
|
|
mrpardon (ID) / 05-03-16 13:43/
신고
|
|
개인적으로 아직까지는 PATA의 실효성이 더 크게 느껴지는 터라 이런 보드가 너무 맘에 듭니다..^^ 저야 구루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별로 못느끼고, SPDIF야 전용 사운드카드(AUDIGY2 ZS)를 사용하니 필요없고 말이죠. 아쉬운 점은 전원부가 4페이즈였으면 더욱 좋았을 거라는 것인데.. 뭐 그래도 큰 결점은 아닌만큼 상당히 매력적으로 보이는 제품이네요..^^
|
|
|
|
|
korstds (ID)
/ 05-03-16 17:09/
신고
|
|
최근 나오는 제품들이 대부분 기존 PATA IDE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나와 업그레이드시 하드까지도 같이 바꾸어야 했는데 이런 식의 보드는 시스템 전체를 바꾸는게 아닌 업그레이드만 원하는 유저들에게 아주 좋은 보드라고 생각되네요. 물론 내장사운드가 6채널밖에 지원되지 않는점은 최근 시스템에서 좀 아쉬워보입니다.
|
|
|
|
|
janners / 05-03-24 10:10/
신고
|
|
대다수의 유저는 2채널 쪽을 사용합니다. 2채널 이상의 다채널을 사용하는 유저는 5.1채널이 대부분이구요. 그 이상의 다 채널을 사용하면서 - -;; 내장코덱을 쓰는 사람은 극히 드믈거라고 생각되네요. 보통 5.1 채널 어지간한것만 써도 사블이나 마야,프로디지 정도는 질러줘야 하는게 아닐까 싶네요 ㅋㅋ
|
|
|
|
|
p41giga2 (ID) / 05-03-26 14:07/
신고
|
|
이번 세미나에서 최홍덕 대리님이 말씀하셨던 보드중에 하나입니다..AMD세미나라 제품명을 말씀하시지는 않았지만...이 제품이 맞네요..
빅빔 측에서 한국 유저가 원하는 eide 포트..를 요청 해서 더 달았다고 했었던 것으로 압니다
따로 컨트롤러도 달고요...
빅빔에서는 앞으로 더 많은 한국형 제품을 출시할것이라고 말씀하셨었으니...
그것만으로도 만족할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앗 그리고 윗 분, 꼭 다체널 쓴다고 내장 사운드 안쓰는 것은 아닙니다^^;
emt64는 바이오스 업으로 지원이 되는지도 궁금하네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