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SB533 지원을 의미하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
SIS650GL은 FSB400까지만 그리고 DDR266까지만 지원하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FSB533과
DDR333을 지원한다는 것일까. 그것의 답은 바로 클럭제너레이터에 있다. 클럭제너레이터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먼저 이 글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클럭 제너레이터 (Clock Generator)에 대해 알려주마!
왜 클럭제너레이터가 답이라는 것인가. 그 답은 매우 간단하다. FSB400의 CPU를 사용할 경우, 실제
인가되는 클럭은 100MHz라는 것은 잘 알고 계시리라 믿는다. 100MHz의 클럭을 사용할 경우 정규 PCI 클럭인 33.3MHz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1/3 디바이더를 사용해야한다. 그렇다면 당연히 FSB533 CPU를 사용하려면 실제 인가되는 클럭이
133MHz이므로 1/4 디바이더만 있으면 되는 것이 아닌가.
정규 AGP/PCI 클럭만 생성 가능하다면 FSB400이던 FSB533이던 문제될 것이 없는 것이다. 한 예로
i845D 칩셋은 SIS650GL 칩셋과 마찬가지로 공식적으로 FSB533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i845D 메인보드 중 AGP/PCI
클럭 고정이 있는 경우, FSB533 뿐만 아니라 FSB600, FSB667도 가능하다. 이는 AGP/PCI 클럭이 고정되므로 CPU
클럭 설정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MiniStar GL+는 AGP/PCI 클럭 고정 기능이 없으므로 대신 1/4 디바이더를 장착함으로서,
FSB533을 지원한다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 클럭 또한 CPU 클럭과 마찬가지로 DDR333 설정이 가능한
디바이더만 장착하면 되는데, BIOS 상의 설정으로 보아 1:1/3:4/3:5/4:3/4:5 비율 설정이 가능한 디바이더가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FSB533과 DDR333은 클럭제너레이터에 의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
|
[ 메모리
클럭제너레이터 ] |
[ AGP/PCI
클럭제너레이터 ] |
그렇다면 외부 AGP 지원은?
마지막 의문점 AGP 슬롯은 어떻게 된 것일까? 필자는 SIS650GL라는 노스브릿지부터 의심해보고 싶다.
SIS650과 SIS651은 SIS의 홈페이지에 존재하는데, 왜 SIS650GX과 SIS650GL은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과연
SIS650GL은 원래부터 AGP 슬롯을 지원하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인텔의 i845GL을 의식한 무늬한 SIS650GL인 SIS650인지말이다.
우선 SIS650GL이 정말 외부 AGP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과연 MiniStar GL+ 같은 메인보드가
탄생할 수 있었을까? 필자는 불가능하다고 본다. 노스브릿지에서 AGP 관리가 되지 않는데, 어떻게 AGP를 사용한단 말인가. 그렇다고
별도의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노스브릿지와 연결된 것도 아니고..
결국 SIS650GL이란 칩셋은 i845GL을 의식한 무늬만 SIS650GL인 SIS650으로 판단되어 진다.
아마도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AGP 슬롯을 장착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SIS650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SIS650GL이라는 칩셋을
제공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그 불문율을 ECS에서 깨버린 것인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