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내장 그래픽 메인보드 23종 비교 벤치마크

2009-08-31 00: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9. 3D 벤치마크 성능 비교




3D 벤치마크 성능 비교


(그래프가 길수록 좋음)

3DMark06 벤치마크 결과를 살펴보면 AMD 790GX가 2572점으로 1등을 차지했고, 인텔 플랫폼으로 출시된 지포스 9400이 2479점으로 1위에 근접한 2위 자리에 올랐다. 1, 2위와 비교해 동작 클럭이 떨어지는 지포스 9300 및 AMD 780G/785G가 2000점을 넘으면서 상위권에 포진했고, 지포스 8000 및 엔포스 780a SLI는 AMD 780V/760G과 같은 라인을 형성했다.

인텔 G4x 시리즈는 자사의 G3x 칩셋 뿐만 아니라 AMD/엔비디아에서 만든 이전 세대 내장 그래픽 칩셋들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지만 현재 판매 중인 최신 사양의 칩셋들보다는 한 수 아래의 3D 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DMark06

Total

SM2.0

SM3.0

CPU

AMD Athlon II X2 250 (AM2+)

AMD 790GX

2572

819

1049

2434

AMD 785G

2095

663

841

2411

AMD 780G SP

2105

683

829

2375

AMD 780G

2095

662

842

2283

AMD 780V

1669

516

669

2381

AMD 760G

1668

516

668

2411

AMD 740G

492

226

-

2377

AMD 690G

459

210

-

2317

NVIDIA
GeForce 8300

1695

576

627

2413

GeForce 8200

1580

534

585

2376

GeForce 8100

1622

551

599

2420

nForce 780a SLI

1622

557

592

2390

GeForce 7050PV

447

159

148

2326

GeForce 7025

458

164

151

2391

GeForce 6100

456

164

150

2395

Intel Pentium Dual-Core E6300 (LGA775)

Intel G45

1422

444

559

2371

Intel G43

1352

423

529

2379

Intel G41

1344

471

525

2376

Intel G33

380

174

-

2352

Intel G31

380

174

-

2361

NVIDIA
GeForce 9400

2479

849

944

2496

GeForce 9300

2251

770

849

2474

GeForce 7050

518

185

172

2529

3DMark06 벤치마크 결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AMD 740G/690G와 인텔 G33/G31은 이전 세대 칩셋들로 쉐이더 모델 3.0(SM3.0)을 지원하지 못해 테스트 결과가 나오지 못했으나, 이전 세대에서도 SM3.0 지원을 표방해온 엔비디아 칩셋들은 구세대 제품들고 SM3.0 테스트가 가능했다.

다만 성능에 있어서는 SM3.0 지원 여부에 관계없이 엔비디아, AMD, 인텔 모두 근래에 판매되는 내장 그래픽보다 낮은 사양을 보여 실제 게임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지포스 7/6 시리즈가 딱히 더 낫다고 할 수는 없었다.

 

CineBench R10 벤치마크


(그래프가 길수록 좋음)

다이렉트X가 아닌 OpenGL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CineBench R10 벤치마크를 통해서 OpenGL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엔비디아 지포스 9000 시리즈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AMD 플랫폼용 지포스 8000 시리즈와 엔포스 780a SLI도 AMD 칩셋들 사이사이에 들어가는 등 OpenGL 테스트 결과는 전체적으로 엔비디아의 선전 및 AMD와의 혼전으로 나타났다.

인텔 G4x 시리즈는 CineBench R10의 OpenGL 테스트에서는 기존 G3x 계열과 별반 차이가 없는 결과를 기록했으며, 이는 AMD 740G/690G와도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AMD용으로 나온 엔비디아 지포스 7/6 시리즈들은 OpenGL 테스트에서 1000점대로 지포스 9400의 약 1/3 정도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GPU Caps Viewer를 통해 살펴보면 엔비디아 지포스 9/8 시리즈는 OpenGL 3.1을, AMD 780 시리즈는 OpenGL 2.1, 인텔 G4x 시리즈는 OpenGL 2.0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온다)

 

StarTales 벤치마크


(그래프가 길수록 좋음)

엔비디아의 물리연산 기능인 PhysX를 지원해 PhysX 성능을 알아보기 위한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는 StarTales 벤치마크로 평균 프레임을 측정해보았다. PhysX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더 높은 성능이 나올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지포스 9400/9300 시리즈가 예상대로 평균 9~10 프레임에 가까운 성능을 냈던 것과 달리 지포스 8000 시리즈와 엔포스 780a SLI는 AMD 790/780 시리즈보다도 낮은 프레임을 기록했다.

엔비디아 지포스 9400의 코어/쉐이더 클럭이 높긴 하지만 지포스 9300과 AMD 플랫폼용 지포스 8300을 비교하면 물리적인 스펙에서는 지포스 8000 시리즈가 9300보다 낮은 성능을 낼 이유가 없다.

다만 GPU Caps Viewer를 실행해 엔비디아 내장 그래픽 칩셋들의 CUDA 지원 여부를 확인했을 때, 지포스 9400/9300은 멀티프로세서 숫자가 2개로 나오는 것과 달리 나머지 AMD 플랫폼용 지포스 8000 및 엔포스 780a SLI는 멀티프로세서 숫자가 1개로 나오기 때문에 실제 CUDA 지원에 사용되는 프로세서 숫자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AMD 740G/690G StarTales 테스트 화면

한편, StarTales 벤치마크에서 AMD 740G/690G 칩셋은 벤치마크 실행까지는 가능했지만, 쉐이더 모델 3.0(SM3.0)을 지원하지 못하고 SM 2.0b까지만 지원할 수 있어 위의 화면처럼 캐릭터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현상을 보였고, 인텔 G33/31 칩셋은 아예 테스트를 할 수 없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지나가다 / 09-08-31 1:23/ 신고
전력소모도 측정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지만...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8:11/ 신고
Geforce 8200이상이나 780G 이상에서는 저해상도로 대부분의 게임을 할 수 있겠네요. 인텔은 많이 딸리고 .
smilewy (ID) / 09-08-31 8:47/ 신고
내장 그래픽 메인보드로 조립할분은 참고하면 좋을듯 싶군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9:37/ 신고
저주받은 칩셋 750a SLI..; 8000번대는 성능이 거의 비슷하니 그정도인듯.. 생각보다 쓸만해요. 역시 내장그래픽의 강자는 AMD 780G/790GX ;; NVIDIA 9000번대는 가격대가 높아서 별도 그래픽카드 구매하는게 나아보이네요. 물론 전력소모는 별도 카드가 더 높겠지만...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9:41/ 신고
아직은 내장 시스템으로 AMD 군요.
780G 의 아성도 점점 약해지고 있지만,
현재는 최고의 대안인듯..
특히 785G 의 경우..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9:56/ 신고
전체적인 가격대 성능비라는 측면에서는 AMD의 승리이지만, 엔비디아의 내장그래픽 성능도 상당히 좋아졌군요. 이제 일방적인 AMD의 우위는 아닌듯 합니다. 가격면에서는 엔비디아의 내장 그래픽이 워낙 비싸서 별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만.

그래도 역시 인텔의 내장 그래픽은 안습이네요...;;
bigfog (ID) bigfo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12:25/ 신고
가격대비로만 따지면, 역시 AMD군요.
엄청난 물량의 벤치 잘 보았습니다.
내장 그래픽의 총정리네요. 내장 생각하시는 분에겐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sinsangs (ID) / 09-08-31 12:57/ 신고
내장그래픽 보드를 구입할 때 아주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되겠네요. 잘 봤습니다.
seaeugsho (ID) / 09-08-31 12:59/ 신고
이런 좋은 정보을 봐서 감사. ^^ 785G 많이 기대했어는데..ㅡㅜ
790구매하긴 잘했어. ^^
ngc3500 (ID) ngc350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15:03/ 신고
사막의 샘물같은 이런 기사를 보면 보드나라만의 특징이 그대로 드러남을 느낍니다. 잘봤습니다.
jeehy (ID) jeeh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15:19/ 신고
과거 가격과 성능에서 엠디가 최고였는데
이제는 성능은 엔비댜에게 추월당한 느낌이군요.
물론 가격대 성능비를 따지면 얘기가 달라지기는 하지만요.
아직은 엠디가 최고의 내장 솔루션인거 같은데
한번 더 주춤하다가는 엠비댜에게 잡힐지도 모르겠군요.
sire999 / 09-08-31 15:51/ 신고
와우~ 멋진 벤치 잘 봤습니다 !!!
정구 / 09-08-31 16:22/ 신고
아놔 인텔 캐안습.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18:47/ 신고
예상외로 Nvidia가 게임부분에서도 꽤 선전하네요.
개인적으로는 게임은 AMD, 영상은 Nvidia 가 우세할줄 알았습니다.
AMD 내장이 예전부터 동영상 쪽으로
호환성과 안정성, 성능면에서 말들이 많았으니까요.
최초 출시때 스펙상으로 지원하는걸 못해주는 경우가 있었으니....
예상외로 가장 실망스러운 칩셋은 740/760 인것 같습니다.
vobavoba (ID)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20:00/ 신고
대박벤치네요 ㅎㅎ 780G와 785G는 역시 동일..ㅎ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21:29/ 신고
역시 보드나라답게 메인보드 관련 기사는 확실하군요. 나중에 AM2+ 소켓 메인보드를 구입할 때 참고가 될 듯 합니다.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21:52/ 신고
AMD가 확실히 보드쪽으론 선택의 폭이 넒어요..이번에
HTPC겸해서 하나조립햇는데 INTEL은 어찌나 HDMI나 DVI달린게
가격이 비싼지
사서 구성하려고치면 또 가속이 걸리고..결국 외장달앗는데
AMD가면 이런일은 없겟네요
8000시리즈이상, AMD 780시리즈이상이면 매리트잇는 제품들이네요
이영석 / 09-08-31 22:51/ 신고
음... 이야....

정말 멋진 밴치 입니다.
저도 가격 성능 다 따져보니 AMD 내장 칩셋이
최고 이더군요. HTPC구성하는데 AMD 내장을 애용합니다.

솔직히 인텔 G4시리즈는 가속도 안되고 G45는 아직도 버그가 있군요.
옛날 옛적부터 지적이 있었는데 아직도 저런거보니...
G4시리즈 내장은 확실히 몹쓸물건인건 확실하군요.

지포스는 나쁘지 않지만.... 가격이 너무비싸 열외.

AMD승.
tkdchan (ID) tkd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8-31 23:32/ 신고
정말 좋은 벤치자료네요.. 잘봤습니다.
kama136 (ID) / 09-09-01 4:59/ 신고
방대한 내장 그래픽 테스트 잘 보았습니다. 역시 AMD 플랫폼에서는 AMD 칩셋이 최고군요.
gurngi (ID) / 09-09-01 8:08/ 신고
내장보드는 역시 아직까지 엠디네요 이제 내장그래픽도 왠만한 작업은 가능하지만 그래도 외장 그래픽을 선호하는지라....
king8407 (ID)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1 14:53/ 신고
6. 테스트 메인보드 소개(2) : NVIDIA, Intel에서 >> 엔비디아 지포스 6100 사진 엑박있습니다~

내장 그래픽도 좋아지고 갈수록 좋아지니 내장으로 게임해도 괜찮겠네요.
폭풍전야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1 14:58/ 신고
저희 쪽에서는 정상적으로 표시되고 링크로도 사진이 제대로 나옵니다. 혹시 페이지 로딩이 일시적으로 안된 것인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폭풍전야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1 18:48/ 신고
엔비디아-인텔이나 AMD나 최상위 제품들의 성능은 거기서 거기네요. 다만, 가격차가 너무 크니 엔비디아-인텔 제품들은 전혀 않되겠군요. 현실적으로 선택은 오직 하나, AMD
폭풍전야 (lordstar)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1 22:36/ 신고
역시 내장그래픽은 AMD가 괜찮군요.
엔비디아는 가격만 내려간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을건데 안내리나?
폭풍전야 (udstd) / 09-09-02 9:21/ 신고
역시 인텔은 내장그래픽에서는 많이 떨어지네요.
폭풍전야 (chunsu) / 09-09-02 21:33/ 신고
내장 그래픽 메인보드 구입할때 많은 도움이 되겠네요.
흠 / 09-09-02 22:51/ 신고
9300은 19만이나 되는군요.
왜 이렇게 높지...
폭풍전야 (jackyang) jacky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3 16:40/ 신고
9300은 정말 저렇게 가격이 높다요. 내장 같지가 않아서요.
폭풍전야 (hermes) herme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3 23:04/ 신고
8000번대가 생각보다 쓸만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 높군요. ^^
그보다 9000번대는 가격대도 만만치가 않던데..
역시 내장글픽의 성능은 엔비디아인 것 같고 AMD는 좀 더 분발을 ...
폭풍전야 (ytsfft) ytsf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4 20:09/ 신고
역시 내장은 AMD라는 결론을 다시한번 확인했던것 같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폭풍전야 (ksw82) ksw8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4 21:09/ 신고
오... 수고하셨습니다. 아주 좋은 자료네요. 최상위VGA 벤치보다 오히려 이런 자료가 실용적으로 더 유용하죠...^^

약간 엔비디아에 유리한 게임으로 치우친 감이 없잖아 있습니다만,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지포스8시리즈가 실제에 비해 너무 낮게 평가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는데, 실제로는 AMD7x0에 비해 그렇게 크게 뒤쳐지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네요. 다만 AMD CPU - AMD 칩셋이라는 마켓팅상의 시너지 효과를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할 수 있지만...

그리고 근래 HD재생 테스트에서의 CPU 점유율 비교 테스트가 많은 사이트들에서 자꾸 나오는데, 솔직히 이건 좀 무의미하다고 생각됩니다. 아예 가속되고 안되고 하는 것을 구분짓는 것은 필요하고 또 IDCT 가속인지 VLD 가속인지 구분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동일한 급에서라면 몇 %의 차이를 꺼집어내는 것은 의미가 없을 듯... 환경에 따랏 CPU점유율에는 항상 조금씩 변동이 있기 마련이니까요. 그보다는 차라리 HD HQV 테스트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그런데 이렇게 많은 샘플을 일일히 HQV 테스트하는 것이 리뷰어님에게 너무 과중한 부담이 되겠군요. 이 리뷰 하나에만 매달릴 수도 없으실테니...^^;)
폭풍전야 (ohye701)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4 23:47/ 신고
음..저는 ati에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폭풍전야 (yassyy) yassy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5 11:31/ 신고
무조건 AMD .........
폭풍전야 (popman526) / 09-09-05 17:55/ 신고
정말 좋은 벤치마크입니다.
내장그래픽에대한 정보가 많이 없다보니 그냥 대충고를정도였죠.
저렴하면서도 성능좋은 메인보드를 선택할 수 있는 특급자료입니다.
폭풍전야 (enclqkd) / 09-09-05 21:10/ 신고
잘 봤습니다.
역시 인텔은 내장그래픽 성능 amd / nvidia 대비 넘사벽 수준이네요
폭풍전야 (sujecheon) sujeche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06 0:41/ 신고
인텔은 죽을 쓰는 반면 엔비디아나 AMD가 성능이 좋군요 가격대 성능비는 단연 AMD가 월등하군요
지나다 / 09-09-06 23:02/ 신고
답이 딱 나오네요. 내장그래픽이라면, 헤카 + 790gx
폭풍전야 (lomelindy) / 09-09-12 13:18/ 신고
정말 감동적인 벤치기사입니다. 보드나라가 아니면 누가 이걸 시도나 하겠어요. 그 수고와 알찬 내용에 감사.. 요즘 올라오는 보드나라 기사를 볼때마다 느끼는건 대세는 AMD군요. 물론 가격대비 성능을 따지는 저같은 유저들에겐 말이죠. 주머니가 가벼운..ㅠㅠ
폭풍전야 (marine) marin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16 22:52/ 신고
역시 내장의 최고봉 암드... 780 차세대 칩셋이 더욱 기대가 됩니다.
폭풍전야 (kmw0415) / 09-09-23 18:56/ 신고
9300gs 정도~ 내장 그랙픽 성능이 궁금했었는데..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네요..;;
폭풍전야 (lee6434) lee64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9-27 11:27/ 신고
내장은 AMD라는 인식이 Nvidia의 성능 앞에 조금 바뀌는군요.
가격대비는 아직은 AMD가 최고군요.
폭풍전야 (onlylord7) onlylord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0-01 19:02/ 신고
아직까지는AMD가 더힘을 내주네요. 와- 엔비디아도 힘을내요!
폭풍전야 (windyc) / 09-10-06 18:38/ 신고
정말 좋은 리뷰 너무 감사드립니다 ~
인텔 내장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많이 딸릴줄은 ㅋ ~
폭풍전야 (kwnation2020) kwnation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0-15 21:13/ 신고
대량의 힘든 테스트 수고하셨네요. 기사 잘봤습니다~
M2A-VM보드의 에슬론2 250의 작동이 상당히 쇼킹합니다.
실제 아수스의 지원리스트나 바이오스 업데이트 내용상 페넘2 지원은 전혀 상상도 못할 상황인데.. 좋은정보 얻고 갑니다.
혹시 M2A-VM보드의 리버젼이나 바이오스 버젼을 알 수 있을까요?
힘들겠지만 가능하면 알고 싶네요.
폭풍전야 (eye2eyes) / 09-10-21 18:49/ 신고
780G 보드를 쓰고있습니다만, 4870을 달아두다보니 CF도 못하고
내장은 그냥 묻혀 지내고 있네요. 가격대 성능비가 저리도 좋은
녀석을 말이죠 ㅎㅎ
권태군 / 09-10-23 16:59/ 신고
The Last Ramnant 같은 경우 무진장 nvidia 에 최적화 되어 있는 게임이니.. 안보고 넘어가세요 ~.
블랙맨 yeoni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0-27 13:33/ 신고
잘 봤습니다. 내장이 꾸준히 발전해도 내장은 내장일뿐이란 생각이...
아라키스 alakis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1-02 18:43/ 신고
스펙에는 DG41 이 하드웨어 가속이 지원이 안되는 것으로 표기가 됐는데요. 뒤에는 된다고 하신듯 한데..
제가 사용해 봐도 DG41은 하드웨어 가속이 첵크가 없어지던데요..
엄대식 zooty12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1-03 9:09/ 신고
유용한 정보네요^^
인삼우유 / 09-11-05 11:59/ 신고
아아 인텔...ㅠ_ㅠ
몰라 / 09-11-17 21:15/ 신고
790보드를 사용하고있는데 요즘 나온 게임도 옵션만 잘 조정하면 플레이하는데 지장은 없네요. 그런데 역시 내장그래픽의 한계는 어쩔수 없는것 같네요.
nifty nif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1-28 11:42/ 신고
궁금했던 정보 였는데 감사드립니다.
내장 그래픽의 성능도 궁금했고 선택시 어떤 제품을
선택하는게 좋을까 궁금했던 부분이였습니다.
유익한 정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시호 ksih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12-09 18:59/ 신고
AMD윈..
yaimma / 11-03-04 2:03/ 신고
정말 훌륭한 자료입니다.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8/31]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8/31]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8/31]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8/31]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8/31]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8/31]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8/31]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8/31]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8/31]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8/31]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8/31]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8/31]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8/31]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8/31]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8/31]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8/31]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8/31]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8/31]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8/31]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8/31]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