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가 순수하게 CPU 성능을 중점을 두고 만든 FX 시리즈는 APU와 달리 그래픽 코어가 통합되어 있지 않기에 별도의 그래픽 카드 구입이 필수였다. 하지만, 솔직히 말해 일반 사용자가 3D 게임을 안한다면 외장 그래픽 카드는 물론이고 APU의 내장 그래픽 조차도 불필요하게 과한 성능이라, 괜한 돈 나가는 것 같아 속이 쓰리다.
그럼에도 어쨌든 작업 내용을 모니터에 뿌려주기 위해 그래픽 코어는 필수이기에 FX CPU 사용자는 900시리즈 칩셋과 짝을 이룰 경우 지금까지 그래픽 카드를 필수로 사야했는데, 눈을 조금만 돌려보면 비용을 아껴 더욱 고성능 CPU를 쓸 수 있는 길이 열린다.
AMD FX CPU + 메인보드 칩셋 내장 그래픽 조합
지금에 와서는 CPU안에 그래픽 코어가 통합되는 것이 당연시 되었지만, AMD가 FX와 APU로 라인업을 정리하기전, 인텔이 클락데일과 샌디브릿지를 출시하기 전까지 '내장 그래픽'이라면 하면 메인보드 칩셋에 들어간 것이 당연시 되었다.
이번에 살펴볼 기가바이트 78LMT-USB3 제이씨현 메인보드는 이렇게 전통적인 의미에서 내장 그래픽을 쓸 수 있는 AMD 760G 칩셋 기반 메인보드로, AMD의 전통적인 칩셋 - CPU 호환성을 극대화해 틈새 시장을 노리는 제품이다.
AMD 760G(좌) / AMD SB710(우)
760G 칩셋 자체는 출시된지 6년이나 되었지만 그만큼 최신 칩셋에 비해 가격면에서 이득이 있고, 하이퍼트랜스포트 버스 4400MT/s를 지원해 최신 칩셋과 비교해도 이론상 최신 FX CPU 성능 발휘에도 전혀 지장이 없는 제품이며, 760G와 짝을 이루는 사우스 브릿지로는 SB 710 칩셋이 사용되었다.
내장 그래픽을 지원하는 칩셋이 사용된 만큼 백 패널에는 해당 그래픽 코어의 출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HDMI 1.3, DVI-D, D-SUB 포트가 1개씩 제공되며, DVI-D + D-SUB/ HDMI + D-SUB 조합으로 듀얼 모니터 구성이 가능하다.
추가로 4개의 USB 2.0 포트와 PS/2 콤보 포트, 리얼텍 ALC892 코덱 기반 5.1채널 오디오 포트, VIA VL805 칩셋을 기반으로 구현된 USB 3.0 포트 2개를 비롯해, 리얼텍 기반 기가비트 LAN 기능이 제공된다.
AM3+ 소켓으로 FX CPU와 추억의 애슬론2 및 페넘2 CPU 지원
기가바이트 78LTM-USB3 제이씨현 메인보드는 AM3+ 소켓을 탑재해 최신 FX CPU 외에도, 이제는 단종된 구형 AM3 소켓의 페넘2, 애슬론 2 시리즈 CPU도 사용이 가능하며, TDP 140W CPU까지 지원하는 4+1 구성의 5페이즈 전원부에는 Low RDS(on) 모스펫과 방열판으로 발열을 잡아주고 있다.
DDR3 메모리의 정규 클럭 1333MHz를 포함해 오버클럭으로 1600MHz까지 지원하는 DDR3 메모리 슬롯 네 개는 듀얼 채널 구성과 최대 32GB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한편, 760G와 같은 시기에 출시된 SB710 칩셋이 사용된만큼 최신 칩셋 메인보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E-IDE 커넥터가 제공된다. 혹시라도 아직까지 E-IDE 기반 하드디스크나 ODD 등을 사용 중이거나 보유중인 사용자라면 메인보드 교체, 또는 구형 장비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3Gbps 대역폭 기반 6개의 SATA 포트는 RAID 0/ 1/ 10/ JBOD 구성이 가능하다.
독립형 오디오 하드웨어 존과 오디오 캐퍼시터, 전면 USB 3.0 지원
기가바이트 78LMT-USB3 제이씨현 메인보드는 mATX 폼펙터인 만큼 확장 슬롯은 해당 폼펙터의 전형적인 구성을 따르고 있다. 즉, PCIe 2.0 x16 슬롯 1개와 PCIe x1 슬롯 한 개, PCI 슬롯 한 개로 총 세 개가 제공되는 것은 전혀 특이할 바 없다.
하지만 앞서 백패널 설명을 통해서 살짝 언급했듯, 구형 칩셋이 사용되었음에도 USB 3.0을 지원하는 것은 특이한 점으로, 특히 백패널 외에도 케이스 전면 USB 3.0 포트와 연결할 수 있도록 USB 3.0 핀 헤더까지 지원되며, 브라켓 형태의 LPT와 COM 포트, 사운드 광출력을 위한 SDPIF 구성이 가능하도록 관련 핀헤더도 지원된다.
또한, 메인보드의 여타 부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독립형 오디오 회로 설계, 사운드 품질 향상을 위해 Nippon Chemicon ARE 시리즈 오디오 캐퍼시터가 사용되었다.
참고로, 메인보드 외 부속품은 2개의 SATA 케이블과 E-IDE 케이블, I/O 실드 및 드라이버와 유틸리트, 사용자 가이드의 평이한 구성을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