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 'T맵(T map)'이 전면 무료화된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장동현, 이하 SKT)는 그간 자사의 LTE 요금제 가입자 등을 대상으로만 무료 제공됐던 'T맵'을 오는 19일부터 KT, LG유플러스, 알뜰폰 등 타사 고객에게도 무료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T맵은 전체 가입자 1,800만명, 하루 이용자는 주말 기준 약 220만명에 달하는 국내 1위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로 14 년간 축적된 교통 정보와 경로 안내 노하우를 활용해 정확하고 빠른 길찾기를 제공하는 것이 큰 장점이다. 특히 세계 최초로 내비게이션을 통한 운전습관 분석 및 이와 연계한 보험상품(UBI Usage Based Insurance)을 제공해 안전 운전과 경제적 효과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서비스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그 동안 T맵은 SKT의 킬러 콘텐츠 가운데 하나로 널리 알려졌지만 SKT 가입 고객에게만 무료로 제공되고 타사 이동통신 사용자들은매월 4천원 가량의 유료 이용요금을 지불하면서 이동통신 시장에서 SKT 마케팅 차별점으로 활용되어 왔다.
SKT는 T맵이 국내 내비게이션 서비스 중 가장 많은 이용자에 기반해 보다 정확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다른 이통사 고객들로부터 무료 제공해달라는 요청이 지속 제기돼 왔다며, 이번 무료화 결정으로 유료 서비스라는 제약 조건에 묶여있던 약 2,370만명의 타사 스마트폰 이용자들과 신규 가입자들이 T맵을 무료로 쓸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기존 T맵 월평균 이용고객이 현재 800만명에서 대폭 증가해 경쟁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이용자를 뛰어넘어 플랫폼 사업자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KT는 T맵 전면 무료화 결정을 내린 이유로 ‘T맵의 플랫폼화를 통해 생활가치/IoT플랫폼 및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전기차 사업 등 잠재적 미래성장사업에 진출하기 위한 과감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T맵을 자사 고객에게만 무료로 제공하며, 강력한 마케팅 차별점으로 활용해왔던 것을 포기하는 대신, '플랫폼 개방'을 통한 차세대 플랫폼 서비스 확산 기반 및 미래 성장 동력 확보라는 과감한 도전을 택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지난해 4월 플랫폼 사업자로의 변신 선언 이후, 이번 T맵 전면개방을 통해 가입자 기반 확대로 플랫폼 사업자로의 가속화는 물론 각 플랫폼간 회원통합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T맵을 자동차에 기본 탑재하는 차량용 T맵 사업 확대도 예상했다. 그간 르노삼성자동차, 기아자동차와 계약하여 T맵을 신규 출고 차량의 내비게이션 상품으로 제공해왔으나 ‘T맵’ 이용자의 저변이 확대됨에 따라 완성차 업계와의 협력 범위도 한층 확대될 것으로 보았다.
SKT 이해열 T맵 사업본부장은 "이번 T맵 전면 무료화를 계기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최적 길안내라는 핵심기능을 지속 고도화하여 이용자가 더욱 신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T맵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이동·교통 분야에 있어 고객의 생활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오는 7월 19일 무료화 이후 통신사에 관계없이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원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아이폰 사용자는 애플 앱스토어에서 'T map'을 검색하여 다운로드받으면 무료로 쓸 수 있다. SKT는 19일 무료화에 맞춰 주행이력을 바탕으로 안전운전을 유도하는 '운전습관' 기능이 업데이트된 최신 버전을 제공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