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다양한 편의성에 가격도 낮췄다! ZALMAN GS1000

2008-09-01 1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확장성과 편의성, 가격을 고려한 잘만의 절충형 케이스 등장!

잘만은 쿨링 솔루션과 케이스 제품군도 꾸준하게 소개하고 있는데 케이스 제품군은 알루미늄 재질의 사용과 다양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확장성과 편의성을 높인 대신 기존에 나와있는 경쟁 튜닝 케이스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다.

튜닝 케이스 자체가 튜닝이나 오버클럭 등 쿨링과 특별함을 가진 케이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이 아닐 경우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고가의 케이스 제품군으로 보여지는데 일반 사용자들 중에서도 튜닝과 쿨링을 위해 고급형 제품을 구입하려는 사용자들이 늘어나면서 튜닝 케이스 시장도 조금은 넓어지게 되는데 잘만의 튜닝 케이스들의 경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정도의 비용이 소요되므로 구매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다.

이러한 결과 잘만 제품보다는 조금 더 저렴하게 시장에 나온 경쟁사의 튜닝 케이스 제품군들을 구입할 수밖에 없다. 잘만 역시 이를 고려하여 고급형 위주에서 보다 많은 사용자층을 공략하기 위해 튜닝보다는 쿨링과 확장성, 편의성을 살리면서 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승부하는 빅타워형 케이스를 내놓았다.

오늘 살펴볼 제품이 바로 잘만의 저렴(?)해진 빅타워형 케이스로 확장성과 편의성을 비롯하여 가격도 잘만의 기존 튜닝 케이스들보다 상당히 낮춰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게 만든 케이스다.

제품명

잘만 GS1000

인보드 지원

E-ATX/ ATX/ Micro-ATX

케이스 종류

빅타워형 케이스

색상

블랙

파워규격

ATX

쿨링

상단 : 120mm 쿨링 팬 1개 포함 (1개 기본 제공)/ 통풍구
후면 : 120mm 쿨링 팬 1개 포함/ 통풍구
하단 : 120mm 쿨링 팬 2개 장착 가능/ 통풍구

확장슬롯

PCI 슬롯 7개/ 전면 USB 2.0 x 2
Audio (HD 오디오 지원) 및 Mic In/ IEEE1394 x 1

드라이브 베이

5.25인치 : 내부 4개 (2개는 3.5인치 사용 가능)
3.5인치 : 내부 6개 (핫스왑 베이 3개 지원)

제품특징

- HDD 트레이 방식 탈부착과 핫스왑 베이 제공 (HDD 3개 장치 지원)
- 통풍을 고려한 쿨링 팬 제공 및 상단/ 하단/ 후면 통풍구 구성

- 3.5인치 베이 부분은 디자인 일치를 위해 미닫이 방식 적용
-
알루미늄 재질로 쿨링 효율 증대

크기

585 (D) x 520 (H) x 220 (H)mm

제조사

잘만 (http://www.zalman.co.kr)/ 권장 소비자가격 : 179,000원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1:35/ 신고
가격이 내려서 저렴해 진 가격이 얼마죠 ^^?
설계는 도특하네요. 서버용 케이스로도 좋아보이고 HDD 설치하는 것고 선정리도 고려됐고
ainomusume (ID) ainomusu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1:37/ 신고
20만원안쪽일듯한...
설계나 사용법 등은 좋아보이네요...
yookj79 (ID)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1:44/ 신고
잘만 가격성향으로 봐서는 30~40정도 될것같은데요..
하드를 저렇게 끼우나했더니.. 전면으로 뺄수가 있네요
하드쿨링은 측면에서해주려나요?
gazaaja (ID) / 08-09-01 12:09/ 신고
잘만의 특성을 고려하면 대체적으로 가격이 착한편이 아니기 때문에 가격은 싸면 20만원 전후 , 비싸도 20만원대일것 같네요. 빅타워 쓰시는분들은 꽤나 고사양이나, 오버나 많은 확장성에 매력에 빠져서, 쓰시는분들일텐데, 적어도 발열에 대한 보안이 조금 적다고 생각이 듭니다.
통풍구가 보통 대다수의 케이스에 있는 후면에 기본적으로 잇고, 상단부에 있는 통풍구, 로는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됩니다. 적어도 측면부와 전면부 에도 에어홀이 잇어야 된다고 생각되는데,,, 조립편의성은 좋지만,, 잘만의 기존 케이스에 비해서는 확실히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되네요
psywind (ID)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2:28/ 신고
내부가 넓긴 넓군요. 아무래도 가격대도 좀 높을 듯한데
하드베이부분이 일체형이라 좀 걸리네요
vobavoba (ID)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2:28/ 신고
저렴한게 얼마일지...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2:30/ 신고
잘만이 아닌 다른 브랜드로 나왔어도 가격이 꽤 나갈 제품이겠군요. 아직 정확한 가격언급이 되어있지 않지만.... 스펙표에 가격이 있군요. 179,000원
일반 사용자들이 탐내기에는 힘든 가격대일 것으로 보입니다. 하드 핫스왑.. 관련장치를 많이 사용하는 이들에게는 매력인 기능이겠군요.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3:48/ 신고
하나 있으면 10년은 사용할 수 있겠네요. 너무커서 부담스럽지만
king8407 (ID)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3:58/ 신고
잘만의 GS1000 튜닝하기에 괜찮은거 같은데.. 도난방지에는 조금 아쉽네요. 많은 하드들을 사용하면 쿨링에는 좀 힘든점도 아쉽기도 하고 케이스 내부가 넓다보니 저가형이나 보급형에 파워들중에 선들이 짧은게 있으면 장착하기에 좀 번거로움이 있네요 가격대 성능비는 괜찮은 케이스로 보여지네요.
mud0107 (ID) / 08-09-01 14:12/ 신고
179,000원이라고 스펙 나오는 부분에 보이네요!!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4:21/ 신고
얼마전에 10만원대 후반에 판매되는걸 봤는데 판매하던 업체가 사라졌네요.
10만원 후반대라면 고려해볼만한 케이스라고 생각되는데 평가가 그리 좋지않는게 걸립니다.
음.. / 08-09-01 14:58/ 신고
벌써 공구 이벤트가 2주전에 끝난 상태죠.. 지금은 물량이 없어서 못파는 듯하지만요..
그때 샀었는데 152000원이었습니다.. 시중가는 디나와에 16만원대 정도로 나왔던걸로 기억하네요..
그리고 내부 알루미늄 아닙니다.. 완전 스틸이구요..
알루미늄은 옆판하고 하드 베이 도어에만 있어요..
솔직히 옆판 그냥 스틸로 하는게 낫지 싶은데.. 너무 얇고 촐랑대서 말이죠..
robfight (ID) robfigh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5:14/ 신고
다 좋은데 쫌 아쉬운건 하드쿨링이 잘 안될거 같네요 ^^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5:58/ 신고
너무 커서 방에 들어가기도 힘들겠네요. 결론은 너무크다. 물론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서 고급스러워 보이기는 합니다.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5:58/ 신고
간만에 보는 풀타워 케이스네요. 잘만의 명성대로 충실한 구조인 듯 합니다만, 잘만하면 기대되던 무소음과는 거리가 좀 있을 듯 합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6:23/ 신고
확실히 튼실해 보이기는 하지만 뭐랄까.. 조립하기 힘들거 같아 보여요 ^^;
godanhan (ID) / 08-09-01 18:50/ 신고
가격이 내린 건 반가운 소식이지만 옆판 튜닝이 안됐다는 것이 조금 아쉽군요. 이 정도 가격이면 옆판 튜닝정도는 있어야 할 것 같은데... 튜닝을 고려하고 사용하기에는 다소 망설여질 것 같네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9:04/ 신고
세로로 길이가 꾀 긴듯 하네요~. ㅎㅎ 그리고 특별한 케이스 인것 같긴한데..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19:16/ 신고
빅타워니까 길죠... 옆으로도 퍼졌고...^^ 이 제품은 조립 및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주를 이루네요. 매니아 분들이 가정에서 사용하신다면 특별히 도난에 신경쓸 필요는 없을듯... 도둑이 훔쳐가면 본체를 통째로 들고가지 하드웨어 몇개만 뜯어가진 않을테니까요~^^
audwls0088 (ID) / 08-09-01 20:06/ 신고
멋있는 케이스 이군요...이런 케이스는 처음보는군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0:54/ 신고
고가의 캐비넷 장비같은 느낌이 물씬 풍기네요.
silentdo (ID) / 08-09-01 21:04/ 신고
18만원이라니.. 잘만치곤 상당히 저렴하네요-_ -a

잘만은 역시 가격땜에 구매대상에선 제외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1:30/ 신고
폐쇄된 옆면대신 상,하로된 통풍 구조를 가지고 있군요,
사용의 편리성은 높이 살만한 케이스라고 봅니다,
더구나 알루미늄의 매력도있고 핫스왑 베이도 갖추었으니까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2:36/ 신고
알루미늄이라면 상당히 고가의 케이스겠네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2:46/ 신고
여러 가지 편의성은 마음에 들지만 '풍2'로 바꾸고 다른 부품에 더 투자하는 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dgtel (ID) / 08-09-01 22:46/ 신고
기자는 HDD의 도난을 우려하는데 이런 케이스를 이용한 시스템은 거의 99% 개인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집에서 사용하는 경우 HDD를 도난당할 염려는 없다고 봅니다.
편리함에 넉넉한 내부와 적절한 가격이면 금상첨화겠군요.

제가 보기엔 오히려 케이스 상단 부분의 활용이 아쉬운데 또다른 기기를 올릴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줬어야 했는데 상단의 통풍구가 오히려 또다른 기기를 설치하기에 아쉬운 부분이 있네요.
kjh1619 (ID) kjh161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3:09/ 신고
파워 유저분들에겐 정말 매력 당기는 케이스가 될 듯 하군요. 섀시 구조도 튼튼해보이고 핫 스왑이 가능한 편리함도 묻어나고 있네요.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3:17/ 신고
물론 18만원이면 많이 싸긴한데... 다소 평범한 느낌이 드네요.
아마 0.8T알루미늄이었죠?
kumi012 (ID) kumi01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1 23:25/ 신고
무척 공간이 넓고 잘 활용될 수 있는 케이스네요.
하지만 문제는 가격이죠. 179000원이나 주고 케이스를 사기에는... 너무 비싸다는 점이 최대의 단점이네요..
theadadv (ID) / 08-09-02 0:16/ 신고
18만원 가치는 없는 듯. 9만원 쯤이면 모를까.
morrian (ID) / 08-09-02 1:43/ 신고
가격에 비해 알루미늄 구성이 부족한듯 합니다..18만원이라면 저것보다는 좀 더..
mookee (ID) mook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2 5:24/ 신고
확장성이나 편의성은 정말 좋아보이네요.
그런데 가격을 고려!했다고 하는데 18만원이란 말이 더 무섭군요^^
hahohh (ID) / 08-09-02 8:20/ 신고
nctop 꺼들이 더...나아보이네요...ㅡㅡ; 뭐랄까 지름이 임하지 못하는..무언가가....
sinsangs (ID) / 08-09-02 12:52/ 신고
외관은 제 스타일이 아니네요. 하지만, 내부의 케이블 정리 홀이나 파워와 메인보드 장착 부분의 분리, 케이스의 옆판을 열지 않고도 하드디스크를 쉽게 장탈착할 수 있도록 된 점이 돋보이네요. 그리고 일반 사용자들에게는 여전히 고가이지만, 케이스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는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제품이 되겠네요.
mhk92 (ID) mhk9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2 12:56/ 신고
전제적인 설계는 좋아 보이는데 기사 리뷰를 보면 조금 단점이 있는 것 같네요. 가격 다운을 위해 알루미늄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네요. 리안리의 알루미늄 케이스 중 저렴한 놈들이 더 좋게 보이는 느낌;;; 그래도 '잘만'이니깐 뭐 ㅎㅎ;
junclassic23 (ID) / 08-09-02 13:19/ 신고
역시 케이스는 큰게 쵝오~~
핫스왑 / 08-09-02 14:32/ 신고
핫스왑되는 빅타워기종은 대부분 업체에서 사용합니다.
도난이 걱정되는건 당연하죠.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4 4:02/ 신고
케이스의 완성도는 높지만 결국은 가격에 비해 거품이 아직 많은듯 하네요
글쎄 / 08-09-05 8:47/ 신고
이번 케이스도 디자인이 A급은 아닌 것 같습니다. 케이스가 기능도 중요하지만 디자인이 좋아야 할텐데.. 고급스럽지가 않고 통일성 없고 조잡해 보이는 디자인입니다.
 / 08-09-05 21:47/ 신고
와 리플 쭉 읽어봤는데 대부분 너무 짜시네...ㅎㅎㅎ
전 빅타워 선호족인데 핫스왑 3개 짜리 주고 저정도 제품 퀄리티면 거져 주는거란 생각이 드는데요......
지금쓰는 케이스 13만원주고 산거 생각하면 그때 저제품 있었으면 20만원 주고라도 샀을텐데....
빅타워 저정도 퀄리티 나오는제품 다나와에 없던데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5 22:38/ 신고
뭔가 할려고 햇는데 많이 아쉽습니다..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9-07 16:36/ 신고
케이스도 고급형으로 하나 쓰면 좋죠...완성도가 높은 부분인데, 아쉬운 점들이 좀 눈에 띄네요
ko78th (ID) / 08-09-09 20:41/ 신고
한 3주 전인가 공구로 15만2천원에 판매했었습니다. 브레인박스랑 피시비에서요.
저는 피시비에서 하나 구입해서 잘 쓰고 있습니다. 빅타워에 15만원이면 상당히 싸다고 생각되어 그만..
jun1023 (ID) / 08-09-12 8:26/ 신고
전체적으로 많은 부분을 배려한 빅타워네요..
peterki1 (ID) / 08-11-06 23:43/ 신고
기존 게이밍케이스 시리즈와는..

너무나도 다른 성향이기에 ^^; 아직은 지켜보렵니다
qocjswo (ID) qocjsw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11-14 22:44/ 신고
빅타워는 가격이 비싸군요..ㅎㅎ
전 그냥 타워형으로..ㅎ
험블빈 / 10-02-13 10:48/ 신고
오옷~ 빅타워인데도 디자인이 멋지고 튜닝가능성이 무궁무진해보이는군요. 철판을 좀 더 두껍게 해주거나 상단에 무엇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해주시면 더 좋겠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9/01]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국내 출시  
[09/01] 기가바이트와 ZOTAC의 LP형 지포스 RTX 5060 실물 공개  
[09/01] 틱톡, '틱톡샵 활용한 글로벌 확장' 세미나 개최  
[09/01]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 다나와배 대학최강전, 5월 24일 결승전 생중계 진행  
[09/01] 엘가토, 컴퓨텍스에서 스트림덱 에브리웨어 전략 공개  
[09/01] 인텔 제온 6 프로세서 신제품 3종 출시, GPU 가속 AI 성능 극대화  
[09/01] HPE, 엔비디아와의 협업으로 AI 팩토리 포트폴리오 강화  
[09/01] Xbox, 고전 명작 담은 ‘레트로 클래식’ 컬렉션 공개  
[09/01] 후지필름, 필름 감성의 하프 프레임 디지털카메라 X half 발표  
[09/01] 프로젝터매니아 빔톨 스페이스쉽 디자인이 독보적인 미니빔 출시!  
[09/01]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사전등록 시작  
[09/01] MSI, 2025 플레이엑스포 부스 오픈..'게이밍 AI 체험존' 본격 운영  
[09/01] ‘에오스 블랙’ 1주년 기념 전야제 업데이트 실시!  
[09/01] 클래식 파밍 MMORPG ‘아드’ 정식 서비스 개시  
[09/01] 넥슨, ‘어둠의전설’, ‘기사단 임무’ 업데이트 실시!  
[09/01] 웹젠, ‘뮤 모나크’ 최대 레벨 확장 업데이트  
[09/01]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6주년 그랜드 페스티벌 업데이트 실시  
[09/01] 마이크로닉스, 컴퓨텍스 2025서 전략 신제품 공개  
[09/01] ‘플레이투게더’, ‘드래곤빌리지’와 두 번째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  
[09/01] 유니씨앤씨, '프리미엄의 진수' 삼성 갤럭시북5 프로, 5월 23일 아울렛위크 쇼핑 LIVE 진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