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20 페이즈 전원부로 무장한 기가바이트 Z68X-UD5-B3

2011-08-17 11: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고급형 Z68 라인업, 기가바이트 Z68X-UD5-B3

같은 Z68 칩셋을 사용하더라도 메인보드의 컨셉에 따라 주요 기능, 설계, 부품, 기능에 차이가 있기 마련이고, 그에 따라 제품 라인업과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기가바이트에서 출시한 GA-Z68X-UD5-B3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와 Z68 칩셋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중보급형 메인보드 제품과 달리 성능과 기능 향상 쪽에 초점을 맞춘 하이엔드 모델이다.

 

Z68 그래픽 관련 기능을 빼고 고성능 설계 적용

기가바이트 GA-Z68X-UD5-B3는 32nm 공정으로 만들어진 인텔의 2세대 코어 프로세서(샌디브릿지)를 지원할 뿐만 아니라 내년에 출시될 예정인 22nm 아이비브릿지 프로세서도 지원하는 LGA1155 소켓 기반 Z68 메인보드다.

일반적인 인텔 Z68 칩셋 메인보드는 P67 칩셋의 오버클럭 기능과 H67 칩셋의 디스플레이 출력 기능을 결합한 컨셉에 인텔 스마트 리스폰스, 외장 그래픽 카드와의 스위칭을 위한 GPU 가상화 LucidVirtu가 들어가기 마련이다.

그러나 GA-Z68X-UD5-B3는 Z68의 내장 그래픽 관련 기능을 제거하는 대신, 20 페이즈(Phase) 구성의 전원부 설계와 멀티 GPU 지원, SATA/eSATA 6Gb/s와 USB 3.0 포트, 강력한 바이오스 및 유틸리티 오버클럭 기능을 넣어 Z68 고성능 오버클럭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사람에게 적합한 제품으로 등장했다.

물론 내장 그래픽 관련 기능이 필요한 사람을 위해 같은 메인보드 설계에서 내장 그래픽이 추가된 GA-Z68XP-UD5라는 모델이 존재하며, 기가바이트 국내 유통사인 제이씨현에서는 내장 그래픽이 탑재된 GA-Z68XP-UD5를 출시할 예정이다.

 

LGA1155 방식을 지원하는 인텔의 코어 i3, i5, i7 프로세서 및 샌디브릿지 기반 펜티엄 프로세서도 지원한다. 4개의 메모리 슬롯은 DDR3-1066, 1333, 1600 메모리를 공식 지원하며, 오버클럭으로 DDR3-1866/2133 메모리도 쓸 수 있다. 듀얼 채널 메모리 아키텍처 및 인텔 XMP(Extreme Memory Profile) 메모리 모듈도 지원한다.

특히, 얼마 전 기가바이트가 보도자료를 통해 자사의 6 시리즈 메인보드가 내년에 등장할 인텔의 22nm 차세대 프로세서와 PCI Express 3.0 네이티브 지원이 가능하다고 밝혔는데, GA-Z68X-UD5-B3도 그 대상 가운데 하나로 F8 바이오스 버전을 통해 22nm CPU와 PCIe 3.0을 지원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http://www.gigabyte.us/press-center/news-page.aspx?nid=1048

 

확장 슬롯 구성은 PCI Express x16 슬롯으로 보이는 슬롯이 3개, x1 슬롯이 2개, 그리고 PCI 슬롯 2개로 이뤄진다. 이 가운데 PCI Express x16 슬롯들은 사실은 x16 슬롯 1개와 x8 슬롯 1개, x4 슬롯 1개이며, 다른 2개는 그래픽 카드 장착을 위해 모양만 x16 슬롯으로 만들어졌다. 모든 PCI Express 슬롯들은 PCI Express 2.0을 지원한다.

PCI Express 2.0 x16 슬롯과 x8 슬롯을 이용해 2-Way 멀티 GPU 구축이 가능하며, AMD의 ATI CrossFireX와 엔비디아의 SLI 모두를 지원한다. 제품 박스에는 x4 슬롯까지 이용한 3-Way 멀티 GPU 구성이 가능하다고 표기되어 있지만, 홈페이지와 제품 설명서에서는 2-Way를 지원한다고 써놓은 것으로 미루어 멀티 GPU 효율이 떨어질 것을 염려해 2-Way 구성까지만 보장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GA-Z68X-UD5-B3는 인텔 Z68 칩셋을 통해 2개의 SATA 6Gb/s 포트와 4개의 SATA 3Gb/s 포트를 제공하고 있다. SATA 3.0으로도 불리는 SATA 6Gb/s 포트는 최근 전송 속도가 500MB/s대를 넘어선 신형 고성능 SSD를 이용하기 적합하며, RAID 0 모드로 구성시 SATA 3Gb/s 싱글 포트에 비해 이론상 4배까지 전송 대역폭을 올릴 수 있다.

RAID 기능은 SATA RAID 0, 1, 5, 10 모드를 지원하며, SATA 6Gb/s와 3Gb/s 포트를 섞어서 구성하거나 저장장치의 성능에 따라 RAID 속도에는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백패널 구성은 USB 2.0 포트 4개와 USB 3.0 포트 4개, eSATA/USB 콤보 포트 2개, IEEE 1394a 기본 및 미니 포트 1개씩, 키보드 마우스를 위한 PS/2 포트, S/PDIF 코엑시얼과 광 출력 단자, 기가비트 랜 포트, 아날로그 사운드 입출력 단자 등이 지원된다. eSATA/USB 콤보 포트는 SATA 6Gb/s 지원 eSATA 포트와 USB 2.0 포트로 구성되어 eSATA 또는 USB 중 어느 쪽을 연결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 제품에는 내장 그래픽 출력 포트가 빠져있지만 제이씨현을 통해 국내 출시되는 GA-Z68XP-UD5-B3에는 내장 그래픽 출력 포트가 탑재된다.

 

백패널에 다 넣지 못한 IEEE 1394 및 USB 포트는 메인보드 하단에 내부 커넥터로 제공한다. GA-Z68X-UD5-B3에는 케이스의 3.5인치 베이에 장착 가능한 USB 3.0 2포트 전면 패널이 들어있어 메인보드 하단의 내부 커넥터에 연결해 USB 3.0 포트를 케이스 전면에서도 바로 이용할 수 있다.

 

강력한 20 페이즈 전원부 구성

기가바이트 GA-Z58X-UD5-B3는 전원부와 메인보드 칩셋 히트싱크를 하나의 히트파이프로 연결한 무소음 쿨링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메인보드 칩셋과 전원부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중간에 발열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히트싱크를 추가로 달았다. 노스-사우스 브릿지로 구성되는 2칩셋 메인보드에서의 전형적인 히트싱크 구조지만, Z68 메인보드는 원칩(One Chip)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노스브릿지에 해당하는 중간 부분이 비어있다.

 

GA-Z68X-UD5-B3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하나가 메인보드의 CPU 전원부를 20 페이즈(Phase)까지 끌어올렸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모스펫(MOSFET), 드라이버 IC를 하나로 통합한 '드라이버 모스펫(Dirver MOSFET, DrMOS)'과 페리티 초크 코일을 사용했으며, 공간이 협소한 관계로 메인보드 후면까지 드라이버 모스펫이 달려있다.

 

GA-Z68X-UD5-B3 메인보드의 전원부는 Intersil ISL6366 듀얼 6 페이즈 + 1 페이즈 PWM 컨트롤러가 사용되었으며, 추가로 ISL6322G 2 페이즈 컨트롤러가 들어간다. 인텔 DrMOS 스펙을 지원하는 Vishay SiC769CD 드라이버 모스펫(DrMOS) 칩 20개가 들어가 20 페이즈 전원부로 동작한다. (최상위 모델인 GA-Z68X-UD7-B3는 전원부가 24 페이즈까지 올라간다)

전원부 페이즈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오버클럭 및 CPU 부하가 심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전원부의 발열도 분산되므로 쿨링 효율도 좋아진다.

 

기가바이트의 듀얼 CPU 파워 기술을 통해 평상시에는 10 페이즈로 동작하다가 추가적인 파워가 요구될 경우 20 페이즈로 돌아가도록 했다. 듀얼 CPU 파워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원부 컨트롤 칩셋이 ITE IT8275E다.

 

메모리 슬롯 옆에는 원형 버튼 형태의 전원 스위치가 달려있으며, 좌측으로 리셋 스위치와 CMOS 초기화 스위치가 배치되었다. 메인보드 내부에 있는 스위치는 케이스를 이용한 시스템 조립시 사용할 일이 거의 없지만, 케이스를 열고 메인보드 내부 스위치를 눌러야 하는 상황이라면 각종 커넥터가 줄줄이 얽힌 메인보드 하단보다는 메모리 슬롯 옆쪽이 공간적으로 볼 때 훨씬 낫다.

 

인텔 Z68과 다양한 온보드 기능 칩셋

인텔 Z68 Express PCH 칩셋은 소켓 LGA1155를 지원하는 인텔 칩셋 가운데 가장 최신 칩셋으로, P67의 오버클럭 기능과 H67의 내장 그래픽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또한 PCI Express 2.0 x16 Lane 제공 및 x8 + x8 Lane 분할을 지원해 AMD CrossFireX와 엔비디아 SLI 등 멀티 GPU 구성도 가능하다.

올해 초 인텔 6 시리즈 칩셋의 SATA2 결함 문제가 해결된 B3 스테핑이 적용되어 제품 이름레도 B3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SATA 6Gb/s 포트와 AHCI, NCQ, 핫 플러그, SATA RAID 기능이 들어갔다.

그 외에 Z68 칩셋 특징인 Intel Smart Response Technology로 SSD를 HDD 캐시로 활용하는 기능과, Lucid Virtu로 시스템 작업에 따라 외장과 내장 그래픽을 스위칭하는 기능도 제공된다. 다만 Lucid Virtu의 경우 GA-Z68X-UD5-B3가 내장 그래픽 관련 기능을 메인보드에서 뺀 관계로 사용하지 못한다.

 

USB 3.0 포트 4개를 제공하는 VIA의 VLI VL810 칩셋이 듀얼로 사용되었으며, 여기에 2포트 USB 3.0 기능을 갖춘 NEC D720200 칩셋이 들어가 메인보드 백패널과 하단의 내부 커넥터에서 USB 3.0 기능을 제공한다.

Marvell 88SE9128은 USB 기능이 없는 SATA 3.0(6Gb/s) 2포트 컨트롤러로, 백패널에서 eSATA/USB 콤보 포트를 제공하기 위해 장착되었다.

 

내장 사운드는 리얼텍 RTL889 오디오 칩셋을 통해 7.1채널 HD 오디오 및 S/PDIF 출력, 돌비 홈 시어터(Dolby Home Theater) 기능을 지원한다. 리얼텍 RTL8111E 칩셋을 달아 기가비트(10/100/1000M) 이더넷도 제공한다.

 

그 외에 ITE IT8728F는 전통적인 메인보드 I/O 기능 제공을 위해, ITE IT8892E는 인텔 칩셋의 PCI Express를 변환시켜 PCI 슬롯을 제공하기 위해, TI TSB43AB23은 IEEE 1394a 기능을 위해 들어갔다. 3TB 이상의 HDD 지원 및 터치 바이오스 기능을 갖춘 듀얼 바이오스가 들어간 것도 제품 특징이다.

 

기가바이트 GA-Z68X-UD5-B3의 구성물로는 메인보드와 영문 사용자 설명서, 한국어가 포함된 다국어 설치 가이드, LGA1156 CPU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경고문, 드라이버/유틸리티 DVD, SATA 데이터 케이블 4개, SLI 케이블, 3.5인치 베이용 USB 3.0 전면 패널, 백패널, 스티커 등이 제공된다.

 

 

제품명

GIGABYTE
GA-Z68X-UD5-B3

폼 팩터

ATX 규격

지원 CPU

인텔 2세대 코어 i3/i5/i7 및 샌디브릿지 펜티엄 프로세서
(LGA1155 소켓)

메인보드 칩셋

인텔 Z68 Express (PCH)

메모리

DDR3 1066/1333/1600/1866(OC)/2133(OC) 메모리 지원
4 DIMM 슬롯, 듀얼채널 메모리 지원)

확장 슬롯

PCI Express 2.0 x16 슬롯 3개(각각 x16, x8, x4로 동작)
PCI Express 2.0 x1 슬롯 2개
PCI 슬롯 2개

저장장치
인터페이스

SATA 6Gb/s 포트 2개, SATA 3Gb/s 포트 4개(Z68 PCH)
(SATA RAID 0, 1, 5, 10 지원)
eSATA 6Gb/s 포트 2개(Marvell 88SE9128)
(SATA RAID 0, 1 지원)

이더넷

Realtek RTL8111E 10/100/1000M 이더넷

오디오

Realtek RTL889 오디오 코덱
(7.1채널 HD 오디오, 돌비 홈 시어터, S/PDIF 출력)

온보드 기능

USB 2.0 포트 10개 (Z68 PCH)
USB 3.0 포트 8개(VLI VL810, Renesas D720200)
IEEE 1394a 포트 3개 (TI TSB43AB22)

제품 특징

2-Way 멀티 GPU 지원(ATI CrossFireX 및 NVIDIA SLI)
듀얼 BIOS와 3TB+ HDD 지원
하이브리드 EFI 기술 Touch BIOS 지원

20 Phase 메인보드 듀얼 CPU 전원부 구성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무소음 쿨링 솔루션 장착
전원 스위치와 리셋, CMOS Clear 스위치 내장
기가바이트 Ultra Durable 3 기술 적용
스마트 기기 빠른 충전을 위한 3X USB Power

제조사

GIGABYTE (http://www.gigabyte.com)

출고가

국내 출시 예정 없음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7 11:27/ 신고
z68임에도 내장그래픽 출력단이 없군요. 전원부가 좀 오버스럽기도하고 sata포트갯수가 아쉽네요
당신기억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7 15:43/ 신고
내가 좋아하는 기가바이트.
p55-UD3에서 멈춰 있는데.
한가지 아쉬움은 SATA포트가 내장6개뿐이라는거. 8개는 필요한데
주동성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7 17:34/ 신고
워;;; 저 전원부를 다 어따 쓴데요;;;
끓여만든배 / 11-08-18 1:14/ 신고
빵빵한 전원부에 비해서 SATA 포트가 너무 적군요. z68 칩셋의 장점인 내장 그래픽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도 그렇고...
아라키스 alakis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8 9:23/ 신고
가격이 얼마나 할가요...
부품의 수준이 정말 좋군요..
10페이즈 이상은 오버하라는 얘기로 들리구요..
아이비브릿지 까지 커버가 된다니 오랜동안 사용이 가능해 보입니다.
IT산업 / 11-08-18 12:09/ 신고
사타 포트만 조금 더 늘려줬으면 좋겠습니다.
폭풍전야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8 13:27/ 신고
기가바이트 국내 유통사인 제이씨현에서 내장 그래픽 기능이 제거되지 않은 GA-Z68XP-UD5-B3이 국내 출시될 예정이라고 전해왔습니다. 그래픽 기능이 빠진 이 제품은 국내 출시 계획이 없다고 밝혀 본문에서 관련 내용을 수정했음을 알려드립니다.
푸기기 serebe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8 16:56/ 신고
자왈.
과유불급이라...=_=
쯩교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19 20:18/ 신고
바둑판을 연상시킬만큼 전원부 한번 화려하군요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24 10:22/ 신고
색상을 너무 어둡게만 배치한듯.
PowerPC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8-24 10:40/ 신고
국내 출시 예정은 없는 제품이군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8/17] 이 회사가 우리나라거였어? 00년대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한국계 HDD 3대장 [PC흥망사 13-1]  
[08/17] 넷마블 <제2의 나라>, ‘영혼의 고리’ 신규 지역 추가 등 업데이트 실시  
[08/17]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 출시  
[08/17] <마블 라이벌즈> 시즌 2.5 상세 업데이트 공개  
[08/17] 제이씨현, UDEA 32형 IPS 100Hz QHD 모니터, ED3231HQ 모니터 출시!  
[08/17] RTX 50 시리즈 의외의 다크호스, GAINWARD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08/17] 그리프라인, 멀티플레이 어드벤처 게임 ‘팝유컴’ 6월 2일 정식 출시!  
[08/17] 벤큐 조위, 국내 최초 FPS 전용 프리미엄 e스포츠 PC방 ‘조위존’ 오픈  
[08/17]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08/17] 스타폴게임즈,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08/17] 마우저, 몰렉스(Molex)의 광범위한 커넥터 솔루션 포트폴리오 공급  
[08/17] 발키리, 컴퓨텍스 2025 공랭 및 수랭쿨러 신제품 공개  
[08/17] 넷마블, 신작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글로벌 정식출시  
[08/17]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국내 출시  
[08/17] RTX 50 시리즈 12VHPWR 커넥터 사용자 개조 사례 등장  
[08/17] 예스24, 첫 컬러 이북 리더기 '크레마 팔레트' 정식 출시  
[08/17] 블루투스 SIG, Bluetooth Asia 2025 중국 선전에서 개막  
[08/17] 기가바이트와 ZOTAC의 LP형 지포스 RTX 5060 실물 공개  
[08/17] 틱톡, '틱톡샵 활용한 글로벌 확장' 세미나 개최  
[08/17]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 다나와배 대학최강전, 5월 24일 결승전 생중계 진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