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G-Star 2011 올킬한 NVIDIA, '게임은 지포스' 입증?

2011-11-25 18:00
김태근 前 기자 kod3000@bodnara.co.kr

2011년 그래픽카드 시장은 두말 할 것 없이 NVIDIA가 장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에도 NVIDIA의 지포스 시리즈와 AMD의 라데온 시리즈는 늘 비교와 경쟁 대상으로 여겨져 왔으나, '게임은 지포스'라는 인식이 암암리에 소비자들에게 각인 되면서 대부분의 게임용 PC에는 NVIDIA 지포스가 탑재되었다.

2009년도에 NVIDIA가 페르미(Fermi) 아키텍처 기반의 GTX 470/GTX 480을 발표할 당시에만 해도 NVIDIA는 발열과 소비전력 문제로 한창 욕을 먹고 있었던 반면에, AMD는 라데온 HD 5000 시리즈와 이어서 출시된 HD 6000 시리즈로 그래픽카드 시장의 주도권을 잡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었다.

그러나 2011년도에 들어서면서 AMD가 크게 선전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AMD의 점유율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GTX 560 Ti는 많은 게이머들에게 기준 GPU가 되고 있다

반면 NVIDIA는 올해 상반기 출시한 지포스 GTX 560 Ti를 비롯하여 GTX 570, GTX580 등 퍼포먼스-하이엔드 라인업에서의 당당한 입지를 굳혔다. 이후 GTX 560과 GTX 550 Ti의 출시로 그 아래단계의 라인업을 보강하고 나날이 승승장구 하고 있다.

이를 반증하듯, 다수의 그래픽카드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NVIDIA와 AMD 그래픽카드의 점유율은 업체마다 다르지만 대략 적게는 7:3 많게는 85:15정도의 비율로 압도적으로 NVIDIA 그래픽카드의 판매량이 높다고 밝히고 있다.

 


실제로 비슷한 라인업에서의 제품 성능은 큰 차이가 없다

물론 이와 같은 현상이 곧 AMD가 제품 개발에 소홀했다거나 라데온이 제품 자체의 질이 떨어진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라고 할 수 없는데,  이는 지포스와 라데온의 벤치마킹 자료를 살펴보면 각각의 라인업에서 비슷한 수치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시장이 그러하듯, 그래픽카드 시장에도 흐름이 있으며, 지금 그 흐름은 NVIDIA를 향해 흘러가고 있다. 이것은 제품을 평가하는 리뷰어들이 말해주는 벤치마크 결과가 아닌 실제로 제품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소비자들의 선택이 말해주고 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바람공자 pdj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5 18:54/ 신고
게임은 엔비댜라는 진리가 아직도 유효한가 보군요. 암드도 괜찮던데...^^
두부 / 11-11-25 19:54/ 신고
고사양 게임들은 벤치마킹해보면 비슷한 라인업에서 쥐포스가 좀더 좋은 성능을 뽑아내더라구요. 전력량은 라데온이 더 적게나오지만,
그리고 고사양 게이머들이 쥐포스를 버릴수없는
또다른 이유가 피직스X ... .아 이거 적용되는게임에서 적용하고 안하고가 정말 차이나거든요 체감이 ㄷㄷ
하지만 작업용으로는 확실이 라데온이 더 나은듯, 게임이 아닌 다른작업에서는 비슷한 성능에 전력량도 적게사용하고, 특히 Sli 보다는 CF가 효율이 훨씬 좋구요
=_=? / 11-11-25 21:00/ 신고
엔비댜가 게임사에 돈을 퍼주니 당연한거죠 ㄱ-;
게임 제작할때부터 이미 최적화 되서 나오는 셈인데요;

애초에 지금 엔비댜가 맘에 안드는건 발열이나 전력소모같은
기본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니까 싫은겁니다 ㄱ-;
김혜성 / 11-11-25 22:33/ 신고
nVIDIA것이 확실히 좋습니다.
평균프레임 값이야 nVIDIA나 AMD나 비슷하지만, 그것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능력은 nVIDIA가 좋기때문에 FPS게임쪽에서도 nVIDIA가 좋고,
또 nVIDIA는 게임사에 막대한 투자를 하죠. 때문에 신작게임이 나오면 nVIDIA꺼 쓰는 사람은 즉시 게임을 플레이 할수있는데 비해, AMD를 쓰는 사람들은 꼭 한달가량 기다려 패치가 나오길 기다려야 합니다. ㅎ결국 자잘한거 신경쓰기 싫은 사람들이 nVIDIA로 이동하게 되죠.
그래놓고 nVIDIA나 AMD가 평균프레임 비슷하다는 식의 이야기만 해서는..
김혜성 / 11-11-25 22:37/ 신고
그리고 nVIDIA가 게임사에 투자하지 않더라도, nVIDIA VGA위주로만 개발하는 게임들이 꽤 많습니다.
예를들어 플라이트시뮬레이터 라고 불리는 FSX같은거 좀 본격적으로 상용기 사서 즐기려다 보면, nVIDIA거 안쓰면 골때리는 경우 보는 수가 있고..
유명온라인게임인 WOW같은것도 마케팅은 AMD쪽과 손잡고 했지만, 권장사양같은 스펙표기를 보면 전부 nVIDIA것을 기준으로 표시되 있죠.--;.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5 23:01/ 신고
결국 AMD는 다음 세대 그래픽카드가 나와봐야 앞으로의 전망을 점쳐볼 수 있겠네요.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5 23:24/ 신고
최근 몇몇 게임들, 배필이나 레이지..특히 레이지에서 암드가 정말 문제 많았죠. 그 외에도 랜덤한 문제들은 대부분 암드 그래픽의 몫;;; 쥐포가 편하긴 편합니다.
BOT입니다 znzlspt1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6 0:51/ 신고
HD5770 쓰다가 GTX560 들어와서 한번 써 봤는데 ㅡㅡ; 모니터 색감이 급 어두워지고(게임할땐 편할지도 모르겠네요)
컴퓨터로 사진보는건 도저히 지포스로 못하겠더라구요 눈이 너무 아파요 매끄럽게 보이지도 않고 설정을 건드린것도 없는데 이미지작업은 역시 라데온이 좋은거 같아요 자 빨리 라데온도 공세에 들어갑시다 좀 ㅠ 7000 기대할게 불도저처럼만 되지 마라!
김혜성 / 11-11-27 1:12/ 신고
예전부터 AMD쓰다가 nVIDIA쓰려면 포멧한번 해줘야 했습니다.
그 까탈리스트가 제대로 삭제가 안되는 버그가 있어놔서, 한때는 포멧안해주면 아예 nVIDIA vga 드라이버가 설치자체가 안되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 / 11-11-26 11:23/ 신고
amd는 위의 의견들에 더해서, 모델 네이밍을 간단히 할 팔요가 있습니다. 6000 시리즈만 봐도 너무 복잡합니다.앞 두자리만 사용해서 69,68,67,65,6400 이런식으로 바뀌길 바랍니다. 세 자리가 변하니 비교하기가 번거롭습니다...
iiiilillllil / 11-11-26 12:33/ 신고
게임은 지포스다라는건 그들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퍼진 말이지요. 벤치 결과도 다들 자기가 보고싶은 부분만 보기 때문에 같은결과를 봐도 다른 해석이 나오고, 그 주관적인 해석으로 '게임은 지포스다'하고 확대재생산 시키는 사람들이 있을 뿐.
쪼매난이쁜이 / 11-11-26 16:27/ 신고
확대재생산 시킨다고 볼수가 없는게 여러가지 게임을 하면서 그래픽의 문제라던가 에러, 프레임 드랍률에 대해서 지포스는 크게 신경쓰지 않고 게임해도 되지만, amd 라면 신경이 쓰입니다.

왜냐면 amd 그래픽카드쓰다보면 실제로 그런 불편이 느껴질때가 종종 있기 때문인데 그런 불편을 겪어보시지 않으셨는지 확대재생산이라고 말씀을 하셨네요~

저만하더라도 컴 맞춰달라고 주문들어오면 내장그래픽 쓸거 아니면 되도록 nvidia로 맞춰줍니다. 그래야 게임문제로 뒷탈이 덜 나거든요~

현재로서는 '게임은 지포스다' 라는 말은 주관적이 아닌 객관적으로 받아들여야 할 때입니다.
김혜성 / 11-11-27 1:08/ 신고
AMD많이 팔린다고 다들 이야기 할때
아무리 세계최대게임유통망인 steam에서 nVIDIA vga점유율이 여전히 60%가 넘는다는 통계 이야길 해도, 믿질 않고 사람들은 결국 자기가 보고싶은것만 보더군요.
지금 AMD가 그나마 조금이라도 팔리는건, 게임보다는 동영상 색감 머 이런말에 혹한 사람들과 저가형사무용으로 팔리는것일뿐, 실제 게임을 주력으로 즐기는 사람들의 nVIDIA편중현상은 훨씬 심합니다. 더구나 불법복제로 게임을 즐기는 구매력 없는 청소년층보다, 자기 카드로 돈내서 정품사서 즐기는 steam같은 정품게임유통망에서의 nVIDIA 지배력이 장난이 아니죠.
iiiilillll / 11-11-26 17:02/ 신고
게임은 지포스다라는건 2900XT가 제대로 망해서 하이엔드가 없던 시절이 가장 큰 타격이었던 것 같고 이후 6000시리즈에 와서야 성능에서 Nvidia를 따라잡게 된게 다음인 것 같네요. 이미지 메이킹에서 실패.

또 Nvidia가 오랜기간동안 게임사 지원을 잘 해온것도 있겠죠.
편견의 댓가 / 11-11-26 17:57/ 신고
컴맹들에게 인텔이 먹어주는거나 똑같죠.
인텔CPU가 더 빠릅니다~ 그거 인정합니다. 그럼 그 분들이 그 빠르다는 i7사서 쓰나요? 풋.. 어차피 펜티엄, i3사서 씁니다..

라데온 7000때부터 지금은 apu3400으로 진짜 싼 구닥다리로만 써왔지만 게임에서 문제된적 한번도 없습니다. 지금은 콜 오브 듀티- 모던워페어3까지 잘 하고 있습니다~ 예전엔 AMD에선 당연히 되던 DVI도 안되는 인텔내장그래픽으로 CRT연결해 쓰면서도 자부심 느끼는 분들 예전에 참 많았죠~
김혜성 / 11-11-27 1:10/ 신고
컴맹들 때문이 아닙니다.
자기 카드로 긁는 구매력 있는 성인들, 그중에서도 정품게임만 즐기는 steam같은 전세계적인 유통망에서의 nVIDIA지배력은 오히려 더합니다.
iiiilillllil / 12-01-03 21:33/ 신고
pc 정품사용자가 '가카'하면 연상되는 숫자보다 넘을지도 의심되는 시장에서
정품구매자 비율에서 6:4가 나온다더라는
집전화로 여론조사하는것에도 못미치는 신뢰도일테고요.
스팀에서 6:4를 더한 수치라고 하셨다는건 비 스팀 시장에서는 6:4보다 못하다는 말인데 그럼 5:5수치라는 겁니까 말을 잘못 적으신겁니까
위에 어느분이 잘 설명해주셨죠. 만족도와 선호도와 품질은 별개입니다.
지포스가 더 많이 팔린다가 지포스가 게임에 더 좋다가 된다는건 언어도단입니다.
iiiilillllil / 11-11-26 18:49/ 신고
지포스2부터 이것저것 만져봤지만 라데온자체의 결함같은건 없었습니다. 까탈리스트 까탈리스트 그러는것도 언제적 이야기인데 과거에 한번 안좋게 박혔던 이미지가 지금까지 이어져오네요. 레이지야 게임자체의 문제고 하나의 케이스일 뿐이죠.
iiiilillllil / 11-11-26 18:52/ 신고
똑같은 게임을 돌려봐도 옵션에 따라 NvsA 가 달라지기도 하고 측정한 사람따라 달라지기도하는데 xx게임은, 혹은 xx상황에선 지포스가 게임에 좋다도 아니고 그냥 게임에는 지포스라고하면 웃길일이죠. 아이피니티유저로써 초고해상도때문에 A당 쓰는데 막연히 '게임에는'이라고 하면 동의못하겠네요.
iiiilillllil / 11-11-26 18:54/ 신고
이런저런 문제라는것도 내가 써봤을때 그러더라는건 신빙성이 떨어지죠. 그게 라데온이 원인이 아니었을수도 있는거고 이상이 없음에도 그렇게 느꼈을수도 있는거고, 얼마나 변수가 많은데 데이터 없이 기억으로 증명을 하자면 논쟁을 못하죠.
칵어두들두 / 11-11-26 20:19/ 신고
컴맹들에게 인텔이 먹어준다는 기분나쁘게 쓴 댓글이 있네 -_-)
지가 알면 얼마나 안다고 깝쳐 병신이

게임은 Nvidia가 확실히 유리함..
요즘 나온 게임들은 다 N당 게임...
피직스 지원은 정말 치명적이죠
Exynos / 11-11-26 21:34/ 신고
역시 게임회사들이 엔디비아 중심으로 만들어서 엔디비아쪽으로 최적화가 잘되서 성능이 잘나오는것죠 라데온은 왠지 잘안되지만 그래도 7000대에 기적?을ㅋㅋ
끓여만든배 / 11-11-27 4:32/ 신고
패키지 게임도 NVIDIA 그래픽 카드에 최적화된 게임이 많지만 국내 온라인 게임은 절대적으로 NVIDIA 제품이 유리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듯... AMD가 NVIDIA처럼 게임 개발사에 지금보다 지원을 더 많이 해주면 모를까...
오버쿨럭커 / 11-11-27 8:11/ 신고
-On Mobile Mode -
피직스때문에 게임은 엔당은 아직도 인것같습니다
라데온은 피직스없는게임에서는 좋은데 뭔가아쉬운 부가기능
iiiilillllil / 11-11-27 12:22/ 신고
그렇게 설명을 해줘도 '게임은'이라고 단순하게 쓴 사람이 또 나오는군요 ㅉㅉ 어쩌겠어요 그렇게 생각하고 살겠다는데. 아마 겨우 550급이나 쓰는 사람들이겠죠.
lightlas / 11-11-27 17:20/ 신고
그냥 애플 제품 vs 애플 외 제품의 논쟁과 비슷합니다.
상황에 따라서 어느 쪽이 유리한 경향이라는 건 나오는데,
그런 사례들을 전체적으로 묶어 놓고 보면 결국에는 양쪽이 비슷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건
유저들의 믿음이라고 밖에 설명할 수 없죠

분명히 각종 캘리브레이션, 계측 자료들 다 들이밀어 줘도
AMD 유저들은 색감은 AMD라는 믿음을 버리지 않고요
아이폰의 단점이나 문제 아무리 지적해줘도
애플유저들은 무언가 종교처럼 애플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으며
엔비디아 유저들 역시 아무리 벤치 자료, 자신의 경험
보여줘도 무조건 게임은 지포스라고 합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엔비디아 유저들 역시 예전에 3DFX유저들의
'3D는 무조건 부두'라는 편견을 상대로 싸워왔었죠.

솔직히 고객들에게 '너, 무조건 합리적으로 선택해!!'라고
강요할 순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유저들의 믿음에 대한 만족을 파는 것도 엄연히 세일즈입니다.
명품(사치품) 시장이 그런 것처럼요.
아라키스 alakis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7 20:14/ 신고
금년에 나온 대작 게임을 n사 VGA 가지고 하다가 고장이 난 경험이 몇번 있습니다. AMD EVOLVED 라는 것이 그냥 허언은 아니더군요.
아이온 테라 등 요즘 자주 하는 게임들 다 AMD EVOLVED 목록에 있는 게임들입니다.
지스타에서 게임사들이 엔사 제품을 장착한 것은 다른 이유도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엔사 제품을 90년대 부터 사용해 봤지만 요즘 AMD 제품들 뒤지지 않고 오히려 게임 진행 하는데 더 나은 면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지스타 기간중에 장착된 제품에 너무 편중한 느낌이 드는군요.
kimsy / 11-11-27 22:43/ 신고
-On Mobile Mode -
AMd가 두루두루 쓰기 좋습니다.동영상 화질이나 재생시 시피유점유율..멀티 디스플레이 외부주변기기 연동...그리고 디자이너들이 확실히 더 좋이하는사람이 많은것 같네요
게임도 무난하게 잘 됩니다만 아무래도 게임하려면 지포스 사야겠다 하는생각이 들죠 근데 솔직히 10만원대 초중반 이하는 amd가 진리인듯한데..지포스 450따위 사면서 게임은 지포스 이러는 바보들이 있죠..바보라고 해서 미안하지만..엔비디아 선호 컴맹의 예라고 볼수있죠..
당신기억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1-28 8:11/ 신고
호환성 때문에 그런가.
HD5850 잘 사용하고 있는데 ㅎㅎ
겨울이좋아 / 11-11-28 9:16/ 신고
AMD 가성비나 전력효율이 더 낫다는건 널리 알려진것이지만...
선택에 발목을 잡는건 다름아닌 X랄같은 드라이버때문일껄요.
전 그래서 알고도 안 쓰는 이유가 된 AMD....ㅡ.ㅡ;;;;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2 7:55/ 신고
지포스 쓰다가 블루스크린 등 각종 오류때문에 AMD로 옮겼더니 전혀 문제 없이 잘 사용중.
PowerPC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02 9:20/ 신고
자기 취향에 맞는 회사의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면 되겠죠
헬로베이비 / 11-12-03 2:01/ 신고
밑애 10만원대 초중반이하로 amd 사는 너도 바보 다 등신아, 450이나 10만원대 초중반이나,, 이건뭐 어차피 amd도 하이엔드가 아니라 싸구려 좃보급 쓰면서 10만원대 초중반은 amd가 진리 이딴말이나 찍싸고 ㅋㅋ 450사는사람이나 니나 똑같애 등신아 너도 amd선호 컴맹의 예 아니나 ?
엠디부심 / 11-12-03 2:03/ 신고
라데온6970 지포스gtx580ti 레퍼런스 비교시, DX11 의 고사양게임군에선 지포스가 프레임더 잘뽑아내는 벤치마킹 결과가 있읍죠. 따라서 게임은 지포스. DX9,10에서 암만 풀옵으로 게임해봐야 DX11에비하면 떡만칠뿐.
iiiilillllil / 12-01-03 21:17/ 신고
6970이면 570이랑 비교해야죠. 그리고 580ti는 뭐죠? 아마 쓰지도않는 부품이다보니 부품명도 햇갈려하시나 보네요.
6990이랑 560ti를 비교해서 6990이 좋으니 A당이 최고다하면 돌맞겠죠?
dd / 11-12-03 14:16/ 신고
저 병신은 뭔 컴맹이 인텔을 선호한다 어쩐다 개소리지 ㅋㅋ 오히려 컴터 잘 볼줄 모르고 대충 싸고 잘 굴러가는거 쓰는놈들이 암드 잘 쓰고 성능 위주로 따지는애들이 인텔 엔비쓰는편인데
박재혁 / 11-12-03 21:51/ 신고
현직 게임 개발 회사 직원입니다. ait.. catalyst 드라이버 진짜 개판입니다.
catalyst 나올때마다 두려웠는데 이젠 그려려니 ati. 포기했습니다.
lol / 11-12-03 22:51/ 신고
i7 2600k에 amd 6870x2 크파 램16gb 쓰고있는데요.
진짜 암드 까탈 드라이버 ...
배필3땜시 갈아탔는데 게임 튕기고 로딩하다가 꺼지고 블루스크린 나고 난리도 아니네요... 드라이버만 고쳐주면 좋겠음 제발 ㅠㅠ
고고학자들아 / 11-12-04 13:11/ 신고
까탈리스트 거리는데. 까탈리스트 시대가 끝난지가 언젠데. 요즘 AMD(ATI)드라이버는 안정화가 된지 한참됬습니다. 솔직히 예전 까탈리스트랑 비교할게안되죠. 벤치마킹같은 숫자놀음할려고 그래픽카드삽니까? 지포스던 라데온[레이디언]이던 잘굴러가면 장땡인거죠. 니가좋다내가좋다 부심가지고 싸우는거보니 참 답이없네요
팝맨 / 11-12-24 14:26/ 신고
나중에 업글은 엔당으로 가야할 것 같네요.
지금은 HD6850으로 만족중..ㅎ
취업열망! bodnarafworl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12-30 22:02/ 신고
n당 최적화 게임때문이 아닐까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1/25] 이 회사가 우리나라거였어? 00년대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한국계 HDD 3대장 [PC흥망사 13-1]  
[11/25] 넷마블 <제2의 나라>, ‘영혼의 고리’ 신규 지역 추가 등 업데이트 실시  
[11/25]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 출시  
[11/25] <마블 라이벌즈> 시즌 2.5 상세 업데이트 공개  
[11/25] 제이씨현, UDEA 32형 IPS 100Hz QHD 모니터, ED3231HQ 모니터 출시!  
[11/25] RTX 50 시리즈 의외의 다크호스, GAINWARD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11/25] 그리프라인, 멀티플레이 어드벤처 게임 ‘팝유컴’ 6월 2일 정식 출시!  
[11/25] 벤큐 조위, 국내 최초 FPS 전용 프리미엄 e스포츠 PC방 ‘조위존’ 오픈  
[11/25]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1/25] 스타폴게임즈,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1/25] 마우저, 몰렉스(Molex)의 광범위한 커넥터 솔루션 포트폴리오 공급  
[11/25] 발키리, 컴퓨텍스 2025 공랭 및 수랭쿨러 신제품 공개  
[11/25] 넷마블, 신작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글로벌 정식출시  
[11/25]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국내 출시  
[11/25] RTX 50 시리즈 12VHPWR 커넥터 사용자 개조 사례 등장  
[11/25] 예스24, 첫 컬러 이북 리더기 '크레마 팔레트' 정식 출시  
[11/25] 블루투스 SIG, Bluetooth Asia 2025 중국 선전에서 개막  
[11/25] 기가바이트와 ZOTAC의 LP형 지포스 RTX 5060 실물 공개  
[11/25] 틱톡, '틱톡샵 활용한 글로벌 확장' 세미나 개최  
[11/25]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 다나와배 대학최강전, 5월 24일 결승전 생중계 진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