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SSD 대중화의 새로운 물꼬 틀 TLC 바로알기

2012-11-15 12:00
이상호 기자 ghostlee@bodnara.co.kr

SSD 용량 확대의 새로운 돌파구, TLC(Triple Level Cell)

2011년 7월경 태국 홍수 사태는 생산 기지를 태국에 둔 IT 업계에 큰 타격을 주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분야가 PC에서 없으면 안될 하드디스크 업계로, 홍수 사태 후 하드디스크 가격이 모델에 따라 3배 이상 오르면서 일반 소비자의 하드디스크 수요가 급감하게 되었다.

 

태국 홍수로 HDD 공급에 문제가 생긴 이후 대안으로 SSD가 주목받고 있다

하드디스크 가격의 폭증은, 낸드플래시 제조업체들의 미세 공정 도입으로 가격 인하 여력이 발생한 SSD의 가격인하와 맞물려 하드디스크의 대체 수요로 SSD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속히 커지게 되었다.

하지만 홍수 피해의 여파로 하드디스크 가격이 폭증했어도 낸드 플래시를 저장소로 사용하는 SSD의 가격 대비 용량은 여전히 하드디스크에 비해 낮았기에 여전히 하드디스크를 완전히 대체하기엔 무리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보다 고용량 구현이 가능한 TLC 방식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한 SSD가 등장했는데, 이번 기사에서는 최근 SSD에 사용되면서 이슈화된 TLC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SSD 저장매채, 낸드 플래시 종류별 특징

SSD는 리테일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부터 지금까지 하드디스크 대비 가격대 용량비에서 불리한 모습을 보여왔는데, 이에 따라 대표적으로 공정 미세화를 통한 단위 면적당 저장용량 확장을 시도해 왔으며, 또 다른 방식으로는 셀 당 저장 bit를 늘리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면서 SLC와 MLC, TLC가 등장하게 되었다.

 

셀 타입별 낸드 플래시 특징 SLC MLC TLC
bit/cell 1 2 3

수명(P/E Cycles)

100,000 3,000 1,000
Read Time 25㎲ 50㎲ ~75㎲

Program(Write) Time

200㎲~300㎲

600㎲~900㎲

~900㎲~1350㎲

Erase Time 1.5ms ~ 2ms 3ms ~4.5ms

GB당 가격

$3 $0.9 $0.6

초기 낸드플래시는 FG의 상태에 따라 0과 1만을 나타내는 SLC(Single Level Cell) 타입을 기본으로했는데, SLC 타입 낸드 플래시는 각 셀별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적지만 단순히 전자의 유무로만 데이터를 판독/ 기록하므로 에러 발생 가능성이 적고, 데이터 읽고 쓰기를 위한 작업이 단순하므로 성능과 수명이 유리하다.

반면 하나의 셀에 하나의 데이터만 기록하므로 용량 확장과 가격 경쟁력이 불리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개발된 것이 하나의 셀에 2bit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MLC(Multi Level Cell)로 최근 SSD의 주력 저장 장치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1cell 당 3bit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TLC(Triple Level Cell)가 SSD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MICRON의 34nm 32Gbit TLC 낸드 플래시와 시제품 웨이퍼

MLC는 하나의 셀에 총 4가지 경우의 데이터(00, 01, 10, 11)를 기록할 수 있어 이론적으로 SLC 대비 두 배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해 용량 확장과 가격면에서 유리하나, 단순히 전자의 유무(0, 1)를 통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SLC에 비해 복잡한 컨트롤이 필요하므로 성능과 수명에서 불리하고, 에러 정정을 위한 추가적인 ECC(Error Correction Code)가 요구된다.

또한, 최근 삼성 840 시리즈에 채택되면서 널리 알려진 TLC는 총 8가지 경우로 구분된 3bit 데이터(000 ~ 111) 저장이 가능해, 이론적으로 동일면적에서 MLC 대비 용량을 50% 확장할 수 있어 SSD의 가격대 용량비 개선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TLC는 SLC나 MLC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컨트롤이 필요하며 수명 역시 SLC나 MLC에 비해 불리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이 각 타입별 낸드 플래시의 수명과 성능 차이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을 간단히 알아보겠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팝맨 / 12-11-15 13:41/ 신고
나중에는 SSD만으로 SLC는 OS용. TLC는 데이터 저장용으로 많이 이용될듯 하군요.
윈도리트윗 / 12-11-15 13:53/ 신고
거품드립을 프리미엄으로 포장하는 가격문제보다 삼성의 첫제품은 기본적으로 피하겠습니다.. 물론 삼성이 특히 심할뿐 다른 회사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삼성은 첫제품의 소비자를 유료베타테스터로 삼는 아주 오랜 관행이 있거든요..
HDD, TV, 휴대폰, 스마트폰, MP3P, 예외는 없습니다..
자동차연비처럼 SSD의 수명이란 것도 결국 실험실의 수치와 실제는 다릅니다..
겨울이좋아 / 12-11-15 14:43/ 신고
TLC가 좀 더 발전되면 단순저장용으로 사용해도 되지않을까싶네요.
정말 HDD나 광학매체를 대체하게 되는 수단이 될수도 있겠구나 싶네요.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5 14:53/ 신고
mlc가 여러모로 균형잡힌 것 같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ssd가 크게 신뢰성을 기대하기엔 힘든 매체이니 뭐 ...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5 15:03/ 신고
그런 SSD의 속사정이 있었군요. 그래서 안정성과 가격에서 840보다는 830을 추천하는 사람들이 많았던것도 그런 이유때문이었군요.
DJ Desperado / 12-11-15 16:31/ 신고
전 ssd뿐만 아니라 hybrid 하드디스크도 한번 기대해봅니다.
kimsy / 12-11-15 17:31/ 신고
-On Mobile Mode -
ssd 셀 수명이 다하면 어떻게 되나 궁금하네요
모든 셀이 균등하게 죽진 않을테니 가장 빨리 죽는 셀은 그것보단 빨리 죽겠죠
그럼 최초에 못쓰게 된 셀에 있는 데이터는 못 구할테고 관건은 데드셀 무시하고 사용 가능하느냐인데
하드같은건 배드섹터 표시하면 그부분 액세스 안하고 정상이용도 가능하던데...
ssd는 그부분에 액세스 안하길 운에 맡겨야 하는건지 아니면 그만큼 용량만 제외하고 사용가능한건지 말입니다
이오니카 ghostl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5 18:19/ 신고
SSD의 경우 쓰기/지우기 작업이 페이지/ 블록 단위로 진행되므로 보통 배드 블록 매니지먼트(Bad Block Management)라고 불리는 기능을 통해 말씀하신 문제가 생긴 셀이 포함된 블록을 관리합니다.
이 경우 오버프로비저닝에 사용된 영역을 불러와 전체 사용 가능 용량을 유지하거나, 배드 블록을 제외한 영역만 사용하는 방식을 이용하는데, SSD 제조사에 따라 방식이 다르므로 정확히 어떤 방식이 사용된다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바람공자 pdj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5 17:46/ 신고
-On Mobile Mode -
가격만 떨어진다면 tlc 도 좋은 대안이 있을듯 한데 삼성의 840의 경우 가격이 비싸다는 논란이 있는건 당연한듯 합니다.
Exynos / 12-11-15 18:01/ 신고
조금 시간이 더지나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네요
가면갈수록 미세공정의 취약점이 다들 많이 나타나는대 ㅜㅜ
종건 whdrjs07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6 0:46/ 신고
앞으로도 ssd부분에 더많은 정보를 알려주세요^^
읽어 볼수록 많이 배웁니다.
아리마퐁퐁 tototr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6 1:34/ 신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TLC면서도 가격이 조금더 비싸다는것 애매했었죠 그래서 발주 넣을때 830으로 음흐흐흐 스사모에서 내구성 테스트 진행하던데 한번 구경해 봐야 겠네요
돌아온재떨이 / 12-11-16 5:08/ 신고
궁금했던점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토피아 ljck576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6 7:33/ 신고
참으로 어렵네요. 어찌되었던.. 저장능력 증대를 위하여 개발이 수명단축으로 이어졌다는 것인데... 급하지 않은 저로써는 그냥 HDD를 사용하여야 겠네요.
ndd247 / 12-11-16 10:06/ 신고
결론은 지금 삼성 840 tlc ssd 사는 사람은 '호구' 라는거. 가격이 싸면 이해라도 하겠는데, 뻔히 성능 수명 떨어지는 tlc 가지고 프리미엄 운운하면서 비싼 가격 받아처먹고 있으니...
donkey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6 13:32/ 신고
결국 용량을 늘리기위해 모든제조사들이 다 tlc를 도입하긴할것같습니다.
용량=수명이라는 공식도 있으니 일단 초기제품 수명이 어떻게 될것인지는 관건이겠네요
꾸냥 / 12-11-17 22:58/ 신고
미세 공정이나 TLC나 가격과 용량 확대 용이긴 하지만 둘 다 이래 저래 문제가 있는거 같네요.
낸드 플래시의 특성 때문인거 같은데 어쨌든 이제 삼성이 총대 메고(?) TLC를 낸 이상 다른 곳에서도 줄줄이 나오겠죠.
다른데 것들은 좀 싸게 나오면 좋겠네요.
와카나팬 / 12-11-18 9:29/ 신고
TLC는 3bit을 1Cell에 저장하는 거라서 MLC의 2배입니다. ^^
2^3 (2의 3제곱) 이기 떄문에 3bit이라도 저장하는 내용은
000~111까지 총 0~7까지를 1Cell에 저장가능합니다. ^^;;
MLC는 2^2라 0~3까지를 1Cell에 저장하죠 ^^
Meho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18 20:56/ 신고
SSD 데이터 관리에 대한 표준이 없어서 HDD랑 달리 제조사마다 많이 차이가 있나 보네요. 하긴, OS의 스케쥴링 알고리즘이 HDD에 맞춰서 설계된 탓에 이를 SSD 컨트롤러에서 많이 해주고 있는데, OS가 나서서 중매역할을 해 준다면 좋을 것 같군요. 해당 분야 연구중에 상당히 관심이 많이 갑니다.
ndd247 / 12-11-20 18:17/ 신고
와카나팬/
뭔가 착각하신것 같은데, n bit 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 범위와 저장매체의 용량은 다른 개념이죠. 저장용량을 얘기할 때는 2 -> 3bit 는 1.5 배로 증가(50% 추가 증가)한게 맞습니다.
와카나팬 / 12-11-24 14:05/ 신고
아 죄송합니다. 제가 Address관련 접근하는 것하고 약간 착각을 했나보네요 ^^;;;
프리스트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22 10:59/ 신고
TLC는 SSD가 HDD 수준으로 가격이 내려가면 데이터 저장용으로는 쓸만할지 모르지만 수명이 짧아서 PC에 장착하고 쓰기에는..
로멜린디 / 12-11-23 11:43/ 신고
기가바이트당 가격보니 TLC를 사용한 삼성이 얼마나 폭리를 취하고 있는지 알겠네요...
몰라몰라 / 12-11-24 1:39/ 신고
PC에 장착하지 못할만큼의 수명을 가진 제품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수명이 걱정된다면 256GB이상의 고용량을 선택하시면 ^^
슈퍼굼벵이 yassy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1-24 17:09/ 신고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솔까말 / 12-11-27 11:37/ 신고
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아직 TLC는 시기상조입니다.

이번 840 과 840 pro는 혼선만 가져온 네이밍 실패로 보입니다.

TLC는 라인업을 따로 가던가 아예 850으로 분리했어야 했는데 전략 미스네요.
시골 남자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2-12-15 8:41/ 신고
TLC SSD를 더 비싸게 팔아먹는 삼성이 야속 하네요.
초보 궁구미 / 12-12-23 20:19/ 신고
수명에 관해 제가 궁금한 게 한가지가 있는데, 데이터 보존용으로만 쓰고 지웠다쓰기 반복을 안하고 그냥 꽉 채워서 블루레이 영화같은 것만 저장해놓고 플레이(읽기)만 한다면 수명 걱정은 없는 건가요?
AClass / 13-01-01 16:02/ 신고
점점 TLC제품들이 보급화되나가겠지요. 대신 대용량이 보급되나가기를 기대해봅니다.
게스트 / 13-01-04 21:05/ 신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기업체들은 항상 음흉한 면을 가지고 있죠!
처리 / 13-01-19 4:29/ 신고
이 글에선 840논프로 120G 모델 3.3년 수명이군요. 제가 본건 10년정도 되는 자료였는데 http://www.anandtech.com/show/6459/samsung-ssd-840-testing-the-endurance-of-tlc-nand 이 리플이 작성되는 시점의 840논프로의 실구매 가격은 $100 정도
슈퍼맨 / 13-02-13 0:55/ 신고
3.3년은 완전히 잘못된 정보네요 이 기사때문에 다나와가 시끄러워진게 아닌가하는 생각이드네요.....한셀만 기준으로 든것인지 뭔지 모르겠는데 보통 용도로는 10년정도 수명을 갖췄습니다만 840자체는 그런데 이글만 보면 오류가많아보입니다 정정이 필요한듯 더군다나 TLC와 eTLC는 엄연히 차이가 나는데......삼성 알바아니고요 현재 가격도 10~11만원선으로 안정화가되있는데 이상한 소문이많네요
TLC 사는 멍청이 / 13-10-31 12:52/ 신고
같은 돈 주고 TLC사는 멍청이는 되지맙시다.
삼성의 기술력은 인정하지만, 생산단가 줄였으면 소비자한테도 그에 걸맞는 가격으로 판매해야는데,
매번 폭리를...
840 PRO도 은근슬쩍 리비전 해놓고....가격은 동일하게 받으니~원!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1/15] 이 회사가 우리나라거였어? 00년대 세계적으로 유명했던, 한국계 HDD 3대장 [PC흥망사 13-1]  
[11/15] 넷마블 <제2의 나라>, ‘영혼의 고리’ 신규 지역 추가 등 업데이트 실시  
[11/15] 콕스, 통 실리콘 흡음 구조의 저소음 기계식 키보드 ‘CSK105’ 출시  
[11/15] <마블 라이벌즈> 시즌 2.5 상세 업데이트 공개  
[11/15] 제이씨현, UDEA 32형 IPS 100Hz QHD 모니터, ED3231HQ 모니터 출시!  
[11/15] RTX 50 시리즈 의외의 다크호스, GAINWARD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11/15] 그리프라인, 멀티플레이 어드벤처 게임 ‘팝유컴’ 6월 2일 정식 출시!  
[11/15] 벤큐 조위, 국내 최초 FPS 전용 프리미엄 e스포츠 PC방 ‘조위존’ 오픈  
[11/15]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1/15] 스타폴게임즈, '카오스 온라인' 정식 라이선스 게임 ‘카오스 디펜스 머지?’ 사전예약 시작  
[11/15] 마우저, 몰렉스(Molex)의 광범위한 커넥터 솔루션 포트폴리오 공급  
[11/15] 발키리, 컴퓨텍스 2025 공랭 및 수랭쿨러 신제품 공개  
[11/15] 넷마블, 신작 <왕좌의 게임: 킹스로드> 글로벌 정식출시  
[11/15] 삼성전자, 갤럭시 S25 엣지 국내 출시  
[11/15] RTX 50 시리즈 12VHPWR 커넥터 사용자 개조 사례 등장  
[11/15] 예스24, 첫 컬러 이북 리더기 '크레마 팔레트' 정식 출시  
[11/15] 블루투스 SIG, Bluetooth Asia 2025 중국 선전에서 개막  
[11/15] 기가바이트와 ZOTAC의 LP형 지포스 RTX 5060 실물 공개  
[11/15] 틱톡, '틱톡샵 활용한 글로벌 확장' 세미나 개최  
[11/15] 카카오게임즈 배틀그라운드 다나와배 대학최강전, 5월 24일 결승전 생중계 진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