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물리 엔진을 가속한다! AGEIA PhysX Physics Precessor

2005-06-07 12: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AGEIA PhysX PPU와 작동 방식



 

이번 페이지에서는 E3에 선보인 샘플 보드가 어떻게 생겼고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이것이 AGEIA의 PhysX PPU다!

 

E3에 소개된 ASUS PhysX PPU 샘플 카드 (이미지 출처 : www.pcper.com)

E3에 소개된 ASUS에서 제작된 PhysX PPU를 장착한 카드의 샘플이다. 샘플 버전이기에 실제 판매될 제품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 쉽게 짐작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인 부분에서는 크게 변화가 없을 것이기 때문에 현재 보여지는 사진을 통해 실제 판매될 제품을 대략 예상해볼 수 있다.

일단 기존 그래픽 카드와는 다르게 출력을 위한 DVI나 D-SUB 포트를 포함한 출력 단자가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PhysX PPU가 과거 그래픽 카드 기술을 선두했던 3DFX의 VooDoo처럼 add-on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기존 그래픽 카드는 그대로 활용하며서 추가로 PhysX PPU를 PCI 슬롯이나 PCI-Express 슬롯에 설치하여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게임과 PhysX PPU를 연결해줄 수 있는 NovodeX라는 API를 통하여 작동하게 된다.

샘플 버전의 사진으로 미루어 보면, 기본적으로 설치는 PCI 슬롯이고 상단에 추가로 위치한 PCI-Express 슬롯에 설치할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BGA 타입의 메모리가 위치하고 있고 추가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커넥터도 위치한다. 그리고 PhysX PPU의 작동중 발생하는 발열을 해결하기 위한 쿨러도 포함되어 있다.

샘플 보드에 대해서 알려진 하드웨어 스펙은 아래와 같다.

  • 125 million 트렌지스터
  • 182 mm^2 다이 사이즈
  • 130nm TSMC 제조
  • 20W 파워 소비
  • 128MB GDDR3 메모리 사용

스펙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사용된 트렌지스터의 양은 125 million 개로 구성되고 현재 보다 낮은 공정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인 130nm 공정으로 TSMC에서 제조를 담당한다. 소비 전력은 요즘 출시되는 그래픽 카드들과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적은 전력 소비를 보이고 128MB에 이르는 BGA타입의 GDDR3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동안 CPU에서 주로 담당했던 물리 연산 부분을 하드웨어 칩셋인 PhysX PPU가 담당하여 CPU의 부하를 줄이고 보다 정교한 동작과 많은 프레임을 얻어 원활한 게임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GEIA PhysX Architecture

 

AGEIA PhysX Architecture (이미지 출처 : www.pcper.com)

AGEIA PhysX PPU는 그래픽 카드나 사운드 카드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칩셋 자체만으로는 동작을 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 처럼 이를 작동하게 해줄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를 위해 AGEIA는 NovodeX라는 API를 PhysX PPU와 함께 소개하고 있다.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게임 개발자들이 물리 엔진을 내장한 게임을 개발하였다면, 일반적인 경우 CPU에서 물리 연산 부분을 담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PhysX PPU를 사용하게 되면 물리 엔진 연산을 가능하도록 이어주는 NovodeX API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물리 엔진을 내장한 게임을 가속하여 주는 것이다. NovodeX 엔진은 PhysX PPU 하드웨어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CPU에서 이를 담당하여 최종 결과물을 내놓게 된다.

물리 엔진을 내장한 게임에 일반적인 경우 CPU에서 연산을 담당하고 CPU는 이 부분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고 다른 연산도 함께 담당하기 때문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통한 지원이 없을 경우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PhysX PPU를 사용할 경우 CPU에서 담당했던 물리 연산 부분을 처리하여 CPU의 부담을 줄이고 다른 작업을 보다 원활히 수행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보다 정교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해주고 높은 프레임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NovodeX API의 특징

NovodeX는 크게 아래와 같은 3가지의 특징을 가진다.

  • Multi-Threading 지원
  • 개선된 고속 충돌 감지 기능 지원
  • Multi-Platform 지원

첫 번째로 Multi-Threading의 지원은 CPU 기술의 발전으로 익히 알다시피 주로 서버에 사용되었던 방식인 두 개의 CPU를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이나 요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하나의 CPU에 두 개의 코어를 내장한 듀얼 코어 제품들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는 멀티 CPU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말하는 것으로 NovodeX는 기본적으로 두 개 이상의 CPU를 지원하여 CPU가 담당했던 물리 연산을 PhysX PPU가 넘겨받고 CPU들은 주요 작업들을 제어하여 보다 효율적인 게임 환경을 만들어 주게 된다.

두 번째로 개선된 고속 충돌 감지 기능을 지원한다. 기존에 사용되었던 방식보다 더 빠른 충돌 감지 기능을 지원하여 게임 상의 물리 엔진이 지원하는 충돌을 보다 빨리 인식하고 동작의 지연을 줄여 보다 사실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Multi-Platform을 지원한다. 이는 PC 게임 환경뿐만아니라 요즘 인기있는 PS 게임기들이나 XBOX 게임기들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얼마전 뉴스에 소개되어진 PS3나 XBOX 360 같은 차세대 게임기들에 탑재된 멀티 CPU들에 적용되었듯이 앞으로 발표될 새로운 게임기들에도 적용하여 PC 게임과 더불어 보다 정교한 동작들과 프레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PhysX PPU를 사용할 경우 CPU, 그래픽 카드의 역할

1. PhysX PPU의 물리 엔진 연산

  • Universal collision detection
  • Finite element analysis
  • Soft body dynamics
  • Fluid dynamics
  • Hair simulation
  • Clothing simulation

PhysX PPU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7가지를 기본적으로 가속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었다. 게임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머리 카락, 옷, 몸체 표현, 동작 중에 발생하는 충돌 감지, 제한된 요소의 분석 등의 기능인 물리 엔진의 연산을 맡는다.

2. 인공지능 및 게임 제어는 CPU

CPU는 PhysX PPU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물리 엔진 연산 부분을 담당해야 하지만 PhysX PPU를 사용할 경우 물리 엔진 연산을 담당하고 CPU는 게임 상의 인공지능 부분과 게임 전체를 제어해주면 된다.

3. 렌더링 및 디스플레이는 그래픽 카드

그래픽 카드의 경우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실제 이미지를 표현하는 기능과 이미지를 렌더링하여 실제로 볼 수 있는 화면 표현 부분을 담당하게 된다.

CPU, PhysX PPU, 그래픽 카드의 3가지가 서로의 작업을 분담하여 기존 CPU와 그래픽 카드의 부담을 줄여 화면의 동작, 충돌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통하여 프레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E3에서는 PhysX PPU를 사용하여 실제로 작동시킨 데모를 시연하였으며, 여기에서 PhysX PPU를 통한 데모 무비 몇가지를 미리 감상해 볼 수 있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민 / 05-06-07 14:08/ 신고
흐음 궁금해 하고 있었는데... (뭐 그렇게 속시원한 정보는 아니군요.. -_-)

왕창 뽀개지는 장면이 많은 RTS쪽에도 활용 가치가 높아 보이는군요.. 빨리 나와 줬으면...
용 / 05-06-07 18:35/ 신고
후에 그래픽칩에 합쳐질거 같습니다.
-_- / 05-06-08 9:16/ 신고
합체하지 않는 것이 소비자에게 이익이죠.
그래픽 카드의 경우는 계속적으로 업글이 필요하지만은
물리가속기의 경우는 사운드 카드와 비슷한 길을 가지 않을까요?
현재는 가격이 높지만은 여러 업체들에서 나오기 시작한다면 가격이 10만원 이하로 현성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deathesp (ID) deathes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5-06-08 16:48/ 신고
너무 비싸군요. 결국 합쳐질겁니다. 6년전만해도 3D카드가 기본이될지 아무도 몰랏죠. 카드한장으로
wowl95 (ID) / 05-06-08 20:15/ 신고
아직까지는 듀얼코어 프로세서 보다 더 괜찮은지 모르겠군요.. 듀얼 코어도 그것보다 성능좋은 싱글코어가 결국 더 괜찮을거 같은데...
coach (ID) / 05-06-09 0:05/ 신고
현재 게임플레이시에 듀얼코어의 효과를 못보고 있는데, 남는(?)코어하나를 PPU 역활을 하게 하는게 더 효율적이고 현실적인것 아닌가요? 물론 경제적인 추가부담도 안들겠죠. 잘 몰라서 하는말인지 모르겠으나, 듀얼코어 환경에서는 필요없는 제품 같습니다. 게임을 하면서 CPU부하가 많은 다른 작업을 하는 사람은 드문 만큼 듀얼코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게임이 나올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roach / 05-06-09 20:59/ 신고
음.. 저는 나름대로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범용으로 설계된 CPU와 PPU같이 특정 분야에 최적화된 프로세서는 성능 레벨이 다르죠. 그리고 듀얼 코어에서 하나의 코어가 PPU 역할을 해야한다면 운영체제에서도 이를 지원해야 한다는 소리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PPU를 다는게 비용이 적게 들거라고 생각됩니다.
coach (ID) / 05-06-10 11:29/ 신고
현재의 CPU가 PPU보다 물리엔진 연산능력이 떨어지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지금까지는 CPU가 물리엔진 연산 뿐아니라, 다른 작업을 동시했기때문에 전용 물리엔진 연산 유닛인 PPU가 필요하겠지만, 앞으로 나올 듀얼 CPU에서는 게임시 하나의 CPU가 놀기 때문에, 이것을 물리엔진 연산을 시키는게 낫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입니다. 듀얼CPU를 사용하면서 CPU하나를 놀릴 필요는 없으니까요. 이런건 운영체제에서 지원해줄 일이 아니라, 게임에서 지원해줄 문제로 보입니다.
coach (ID) / 05-06-10 11:49/ 신고
더욱이, 차세대 게임기인 XBOX2나 플스3에 PPU 카드가 내장되지 않고, 멀티코어 CPU 가 들어가는것을 보면 대세를 알수가 있죠.
ㅋㅋㅋ / 05-06-10 14:16/ 신고
GP(general purpose)GPU라고 openGL 계열 에서 만들구 있답니다. 통합GPU 네요.

위에 PPU는 DIRECTX 계열에서 임시로 사용할것 같습니다....
-_- / 05-06-10 22:52/ 신고
고급형 메인보드칩셋에 통합될가능성도...
ㅋㅋㅋ / 05-06-11 0:06/ 신고
칩셋 통합이 아닌 s/w적인 거라네여.
현재의 gpu 성능을 최대로 살려 프로그래머블화 하는거라네요.
gpu=cpu이므로 위에 ppu가 하는 일을 프로그램 처리 하는 방식 이라는데...나중에 cpu가 많아지면 또 어케 변할지 궁금...gpu에다 오다를 줄까 cpu에 줄까???
멀티 코어 / 05-06-12 15:39/ 신고
멀티 코어와 멀티 쓰레드에 대한 환상이 심하군요...
멀티 코어라 해서 CPU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하지는 않습니다.

멀티코어는 부모 와 자식 으로 나뉘는 종속적인 개념으로 작동 합니다. 코어 두개가 별도로 2가지 작업을 하는 것은 최고의 성능을 꿈꾸는 유저의 입장일 뿐이구요

멀티쓰레드 역시 동시에 2 가지 혹은 수 개의 쓰레드가 독립적 작동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쓰레드는 우선순위에 따른 순차 진행입니다.

우선순위 1
우선순위 2
우선순위 3

이렇게 3개 의 쓰레드가 주어진다면

1번은 무조건 연산을 하지만 2번과 3번은 할지 말지 결정해서 꼭 필요치 않다면 생략 하고 1번을 연산합니다.

멀티 코어도 CPU의 하나는 분기 처리를 합니다.
2번째 CPU 로 어떤 작업을 보내고 자신은 어떤작업을
할지 결정 합니다

그래서 윈도우 체제하의 현재의 멀티코어는 항상 2배가 아닌 곱배기 정도의 속도를 낼수밖에없는 태생적인 한게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coach (ID) / 05-06-13 0:11/ 신고
저도 전공자로 멀티코어나 OS의 스케줄링은 나름대로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멀티 코어님이 제 이야기를 제대로 이해못하고 계신듯하군요. 마지막 부분에서 2배의 속도..이런 표현을 쓰셨는데, 제가 말하는건 속도향상이 아니라 병렬처리를 말하는겁니다. 아시겠지만, 멀티 코어의 주목적은 연산능력 향상보다 멀티쓰레드에 있습니다. 이것은 환상이 아닌 사실입니다. 차세대 게임기에서 트리플 코어를 채용한 이유가 다 있겠죠.
fmsoul / 06-04-22 12:10/ 신고
coach님의 생각과는 조금 다릅니다.
CPU는 범용적 연산에 최적화 되어 있어서

GPU나 PPU에 비해 각각의 영역에서는 현저하게
성능이 떨어집니다.

coach님의 논리는 마치
듀얼 코어(혹은 튜얼 CPU)에서 CPU가 하나 노니
노는 CPU를 그래픽 렌더링에 쓰겠다.
라는 말과 같게 들립니다.
(여기서 렌더링은 GPU의 일을 한다라는 의미로
PPU의 일을 CPU가 대신 한다라는 것과 비유됩니다.)

과연... GPU를 사용안해도 될 정도로 성능이 나올까요?
아닙니다. 절대로 아닙니다. 어느정도 복잡한 랜더링일 경우
엄청나게 버벅되는 화면을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예로 어느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선 GPU를 사용한것과
CPU를 사용한 것과의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연 듀얼 CPU여서 CPU쪽 벤치 때 플레임이 잘
나왔나요? 아닙니다.
PPU도 비슷하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PPU는 물리적 연산에 최적화 되어있고
CPU와의 영역과는 다릅니다.

멀지않아 게임기에서도 발전하는 게임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PPU를 도입하리라 생각합니다.
(어쩌면 원칩으로 듀얼코어와 PPU를 같이 집적
한다던지요..)
chucky / 06-05-05 10:02/ 신고
물리엔진이라. ^^ 작년에 이 제품에 대해 관심있게 보았는데.. 아직 시제품은 만나보질 못했습니다.
다만.. 물리엔진을 소프트웨어가 아닌 하드웨어로 처리하는 부분에 있어서 성능향상이 기대되는군요..

처음 부두라는 카드가 나왔을때 아주 인상적인 성능으로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았죠..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이 물리엔진카드 또한 그때(부두가 처음나왔을때)처럼 엄청난 성능으로 사용자들에게 어필한다면....
국내에서 구할수 있으면 그냥 질러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저도 위의 coach 님과는 조금 다른 의견입니다. fmsoul 님과 비슷한 의견이라고 할까요? ^^;
물론 전체적인 연산성능은 CPU가 앞서고 있지만 특정 부분의 연산에서는 GPU나 이런류의 하드웨어 엔진보다 연산능력이 떨어지는게 정설이고 또한 입증까지 된 사실이죠.

물론 CPU자체를 100% 물리엔진에 사용한다면 또 결과는 다르겠지만 명령 체계라던지.. 머 그런것에 문제가 있지 않겠나. 라고 생각해봅니다. 처리하는 방식도 다를꺼 같구요.. 정확한 스펙을 구하지 못해 비교는 해보지 못했지만 적어도 CPU의 부담을 줄여서 전체적인 성능향상이 가능하단것은 지금의 정보만 보아도 어느정도 예상이 가능하네요.

제 2의 부두..카드(?)가 어느정도 실력발휘를 해줄지.. 기대됩니다.. 그러나 이제품이 작년 하반기에 예고되었는데 아직 한국시장에서는 구할수 조차 없으니.. 고스트 리콘 설치하면 이 제품의 드라이버가 설치되죠.. 참 갑갑합니다.. 실제 성능을 확인할 좋은 기회인데.. ^^;; 물론 게임사들의 지원이 필요한 부분이지만 현재 출시되는 게임들중 이 엔진에 최적화 시킨 옵션을 제공하는 게임들이 있다는것은 충분히 성능향상이 있다는 것의 반증이 아닐지요.. ? ^^
MuMbi준환 / 06-12-31 2:59/ 신고
ppu 를 잘못이해하고 계신분이 계신거 같아서 서핑하다가 글남깁니다.

현재 3D 게임 연산으로 cpu 와 gpu 가 역할 분담하여 처리합니다.

일단 gpu 는 그래픽 렌더링 작업을 맡아서 합니다.

cpu 는 gpu 가 하는 일 외의 모든일을 합니다.

3D 그래픽 렌더링 작업이 무엇을 의미하는지가 중요합니다.

3D 그래픽은 현실성이 중요하므로 현실의 물리연산을 필요로 합니다.

현재는 gpu 에서 렌더링에 필요한 물리연산을 모두 처리하고 있습니다.

점점 더 현실에 가까운 물리연산을 위해 엄청난 연산을 해댑니다. 물리 공부해보신분들 아시겟지만 연산식이 장난 아닙니다.

gpu는 오직 렌더링만 하면 얼마나 좋겠느냐 해서 나온게 ppu 입니다.

gpu 가 하는 물리연산을 ppu 로 넘겨서 렌더링을 좀더 부드럽게 도와줍니다.

ppu 가 추가되므로써 cpu, gpu, ppu 각자 맡은일에 최적화되어있으니 얼마나 부드럽겠습니까

현재 xbox360, ps3 가 곧 출시되지만 이건 ppu 도입시기를 못맞춰서 그런거 같습니다. ppu가 필요없어서 도입되지 않은게 아닐껍니다.

ppu가 있느냐 없느냐에 벤치마킹 동영상이 있습니다.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1111111 / 07-05-06 17:23/ 신고
어떤분이 위에서 cpu나 그래픽카드에 ppu가 통합될거라고 하셨는데 통합되면 ppu를 사용하지않아도 되는 소비자층들은 부담만 커지지 않을까요?

기본적으로는 ppu가 통합되지 않았으면하네요


psydragon (ID) psydrag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7-25 22:24/ 신고
그러니까... 피직스란게... 이런거였군요. 음...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6/07]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6/07]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06/07] 웨스턴디지털, 인그라시스와 AI 워크로드 대응 위해 고성능 패브릭 연결 분산형 스토리지 공동 개발  
[06/07] 로보락 S9 MaxV Ultra, GS홈쇼핑 판타지에스 특집 방송 진행  
[06/07] 플레인비트-나루씨큐리티, 디펜더 서밋 2025 개최  
[06/07] 넥슨, 메이플스토리 2025 여름 ‘어셈블’ 쇼케이스 6월 7일 개최  
[06/07] ‘고출력 파워의 새 기준’ 마이크로닉스, WIZMAX G 80PLUS 골드 ATX 3.1 시리즈 출시  
[06/07] 넥슨 ‘FC 모바일’, Apple과 함께 오프라인 이벤트 ‘Today At Apple’ 진행!  
[06/07]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출시일과 사양 공식 발표  
[06/07] 에픽게임즈 스토어, 에픽 메가 세일 2025 시작  
[06/07] 하만, 넥쏘에 채택된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동급 최고 수준의 프리미엄 청취 경험 선사  
[06/07] 지클릭커, 풀윤활 카일 LP 스위치로 최고의 키감 구현한 SPK80 무선 키보드 출시  
[06/07]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6/07]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6/07]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6/07]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6/07]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6/07]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6/07]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6/07]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