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마왕의 전설은 이어지나?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

2007-04-25 00:00
김찬호 前 기자 mercut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가격전쟁이 될 수 밖에 없는 8600GT



 


   

 

 

 

 

 

 

가격전쟁이 될 수 밖에 없는 8600GT

GeForce 7600 시리즈를 대체할 메인스트림 라인업인 GeForce 8600GT의 레퍼런스 클럭은 코어 540Mhz, 메모리 1400MHz, 쉐이더 클럭 1190MHz 지만, 출시 가격이 10만원 초 중반으로 형성되어 가격 경쟁과 클럭 경쟁이 심화될 총성없는 전쟁이 예상되는 제품이다.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은 '클럭/쿨링/가격' 이라는 세가지 요소를 충족시키기 위해 높게 설정된 클럭과 잘만 VF702-Al, 레퍼런스 디자인을 과감히 버린 제품이다.

 

쿨링 시스템은 잘만 VF702-Al과 두 개의 메모리에 한 조로 설치되어 있는 메모리 방열판을 사용하고 있다. GeForce 8600GT 자체의 소비 전력은 43W로 발열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코어/메모리/쉐이더 클럭을 올려놓은 상황에서 '잘만'의 공랭식 쿨링 시스템을 사용한 점은 검증된 발열해소와 소음 저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쿨러의 부피로 두 개의 슬롯을 차지하는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은 브라켓 자체도 2층 구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출력부는 HDTV-Out과 두 개의 DVI 포트를 지원한다. TV-Out을 통해 S-Video/컴포지트/컴포넌트 출력이 가능하며, DVI 포트는 모두 Dual-Link DVI를 지원해 2560x1600의 고 해상도 출력을 할 수있다.

 

상위 제품인 GeForce 8600GTS와는 달리 HDCP 지원이 '옵션'항목이기 때문에, 가격경쟁이 심화된 8600GT에서는 대부분 HDCP를 지원하기 위한 EPPROM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 역시 EPPROM 자리가 빠져있어, HD DVD나 Blu-ray 등의 디지털 출력은 할 수 없지만, 아직까지는 가격적인 메리트로 용서할 수 밖에 없다.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은 80nm 공정의 G84-300-A2 코어를 사용하고 DirectX 10, Shader Model 4.0, HDR, HDR+AA, PureVideo HD, SLI 등을 지원하며, 비디오 프로세싱 기능을 향상시킨 VP2, BSP, AES 128bit 암호화 엔진이 제공된다. 기존 7600GT와 7600GS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32개의 Stream Processor와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8600GTS와 비교했을때 코어와 메모리 클럭에 따른 차이와 6층 기판의 사용 (8600GTS는 8층 기판), 외부 6핀 전원 커넥터 미사용, 소비전력이 43W 정도로 낮아진 차이가 있다.

사용된 메모리는 Qimonda의 GDDR3 SDRAM을 사용했다. 네 개의 BGA 타입 메모리를 사용해 256MB를 구성하고 있으며, 128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에 자체 스펙은 1.3ns의 속도를 가지고 있어, DDR 1600(800)MHz 으로 설정하는데 큰 무리는 없다.

 

EVEREST로 확인한 코어, 메모리, 쉐이더 클럭은 각각 800MHz, 1600(실 클럭 800)MHz, 1296(기본 1284)MHz로 레퍼런스 클럭인 코어 540/ 메모리 1400/쉐이더 1190에 비해 오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유니텍 8600GT 마왕 Super Over 잘만은 간단한 구성물을 가지고 있다. DVI to D-Sub 젠더와 드라이버 CD, 컴포넌트/컴포지트 출력 케이블을 제공하며, 사용자 메뉴얼은 제공하지 않는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0:23/ 신고
눈에 띄는 것은 이름이군요. ^^
8600 GT... 메인스트림..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6:51/ 신고
8600GT의 클럭은 이미 한계라는 느낌이 드네요..
클럭보다는 효율을 높여야 할듯
eye2eyes (ID) / 07-04-25 9:20/ 신고
이녀석한테 로우원 딱지가 붙었으면..하는..
ㅎㅎㅎㅎ
zolasexy (ID) zolasex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0:57/ 신고
내부 경쟁보다는
ATI가 어서 힘을내서
서로 경쟁했으며 좋겠습니다 ^ㅇ^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1:18/ 신고
같은 제조사의 제품이 이름만 바뀌어 나오는 곳도 수두룩 한만큼 아직은 경쟁에 불이 붙지 않은 상태죠. 곧 불붙지 않을까 합니다.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1:22/ 신고
변종과 울트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언넝 나오길..
banbajiman (ID) / 07-04-25 11:29/ 신고
그래픽카드 기사 뜰때마다.. 업글병이 꿈틀대다가도

게임이라고는 스타밖에 안한다는 사실에

마음을 접곤 하죠.. ^^;
kama136 (ID) / 07-04-25 14:15/ 신고
첫번째 페이지 글 중에 " GeForce 8600 GTS 320MB 를 통해 가격 인하 정책을..." 여기서 8600->8800으로 수정하셔야 할 듯 싶습니다.
ceoh (ID) / 07-04-25 14:34/ 신고
ATi의 분발을 기대합니다.
pang2pang (ID) pang2p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5:03/ 신고
아직은 시기 상조인듯 합니다.
8600 시리즈의 성능 확인은...
다이10 기반의 게임들이 출시가 되어야..
진정한 성능 확인을 할 수 있지 않을까요 ?
mercutio (ID) mercut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5:43/ 신고
kama136님 오타 신고 감사합니다^^

지적하신 내용 수정했습니다^^
jin2006 (ID) / 07-04-25 15:50/ 신고
8600gt 가 현재로썬 제일 무난해 보이네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9:17/ 신고
8600GT 써보고싶음.ㅠ
yyskjy (ID) / 07-04-25 19:25/ 신고
128비트의 메모리버스가 조금 걸리지만.....
그래도 저렴한 가격과 괜찬은 성능이 기대되는 놈이네요^^
chokong6 (ID) chokong6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5 19:57/ 신고
마왕이 현제 가격대비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되어지네요
skarhkdg (ID) / 07-04-25 20:49/ 신고
유니텍이 예전과는 다르게 좋은 제품을 많이 선보이네요.
chonsii (ID) chonsi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6 6:41/ 신고
8600이 대세...
leejoonhwan (ID) / 07-04-26 9:18/ 신고
제품만 나오지 말고 활용 가능 게임도 나왔으면 합니다.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6 10:17/ 신고
잘만 슬립쿨러인가...작네..
발열이 적은건가?
ohhobod (ID) / 07-04-26 12:22/ 신고
성능도 괜찮고 앞으로 보면 8600gt가 대새일듯 하네요
seel013 (ID) seel0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6 20:55/ 신고
이미 오버된 버전이지만 어느정도까지 오버를 더 할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k800229 (ID) k80022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6 22:43/ 신고
256bit의 8800 보급형이 나왔으면 하네요
128bit의 에서 벗어나고파~
bbikupig (ID) / 07-04-27 0:57/ 신고
요즘 비호감에서 살짝 호감이 되고 있는 유니텍이라 마왕제품도 그다지 나빠보이진 않네요 ^^
roool (ID) roo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7 2:35/ 신고
8600GT가 가장 나은거 같은데 아직은 가격이 ...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7 12:18/ 신고
허접해보이는 마왕이네..
lsilver (ID) / 07-04-27 18:34/ 신고
역시나 문제는 가격이죠...
slayer999 (ID) slayer99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7 23:59/ 신고
8600또한 다시 한번 오버열풍으로 변종들이 많이 출시될듯하네요.
kekeruke (ID) / 07-04-28 0:34/ 신고
언제나 문제가 되는 것은 가겨 -_-;;;
iamafool (ID) iamafo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8 3:42/ 신고
출시 홍수군요. 가격인하 홍수도 기대
eman (ID) e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8 10:03/ 신고
마왕이라 재밌는 브랜드네요.
ssarangheyot (ID) / 07-04-28 11:39/ 신고
요즘 이름은 독특하군요 ㅎㅎ;;마왕이라...성능도 괜찮겠죠!
dragoune (ID) / 07-04-28 13:00/ 신고
공식적으로 악의축에 취합하는 네이밍 센스가 아닐 수가 없...크헉
sd123q (ID) / 07-04-28 13:32/ 신고
성능이 궁금하네요
sd123q (ID) / 07-04-28 13:42/ 신고
엔비디아가 이렇게 내놓는데 ATI쪽은 뭘하는건지
成호철 (ID) 成호철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8 15:04/ 신고
마왕이당..헐..ㅋㅋ

요즘 드라마 마왕은 그다지 인기가 없는듯 한데
이제품은 어떨런지..^^
jlee95 (ID) jlee9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8 22:50/ 신고
오버된 제품이 많이 나오는 것을 보니 GPU클럭에 여유가 있나 보네요.
godanhan (ID) / 07-04-28 22:57/ 신고
보조전원이 필요없는 8600GT가 값대 성능비가 좋아 보이네요. 여러 회사에서 동일한 제품이 나오는데 크게 차별화된것 없이 성능은 거기서 거기일듯 하군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8:20/ 신고
유니텍 제품 가격대가 좋던데..
romance6 (ID) / 07-04-29 12:31/ 신고
아예 오버가 되서 제품이 출시되는군요.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15:36/ 신고
한번 사용해 보고 싶네요.
sindong92 (ID) / 07-04-29 16:30/ 신고
당분간 대세는 8600일것 같네요.
yakpkb (ID) yakpkb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18:16/ 신고
이제 DX10의 보급화시대가 열리네요.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18:16/ 신고
이름에 어울리지 않게 밋밋하죠
ilymaf (ID) / 07-04-29 19:10/ 신고
지금으로선 8600이 가격을 생각한다면 가장 좋은 선택일듯 싶네요.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22:15/ 신고
가격과 성능에서 괜찮은 제품일것 같네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22:20/ 신고
마왕의 포스가 느껴지지는....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22:28/ 신고
상당한 포스가 느껴지네요 선전을 기대해 봅니다..
pmicro (ID) pmicr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4-29 23:28/ 신고
니텍이 요즘에 고객지원에 관해서는 어떻는지 모르겠네요. TV방송명을 제품 브랜드로 한 점은 인상적이네요.
ncjj1017 (ID) / 07-05-01 23:35/ 신고
왠지 유니텍이라는 말에 한계를 늦끼는건 나 뿐인가?
안좋왔던 기억뿐이니-.-!
dfgh / 07-05-03 23:01/ 신고
유니텍 이것들은 아직도 안망했나?
5700 나왔을때 생각하믄 휘발유 찌끄러서 불질러 버리고 싶당...본사 직원들 내려와 셋팅 두번하고도 못잡고 결국 에러 내가 잡았다는;;;한달간 10kg몸무게 빠지고....아이고메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5 20:35/ 신고
600/1600 의 오버된 스펙에 잘만달고,
가격도 동급대비 저렴하니 괜찮네요.
alakiss (ID) alakis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4:22/ 신고
유니텍 마왕은 레퍼런스는 아니지만 약간 타사 제품에 비해 많이 오버한건 아닌듯 보이네요.
어케 이시장을 헤쳐나가시려고..
전부 클럭 장난아니게 오버해놨던데..
wineagle (ID) / 07-05-06 6:57/ 신고
가격대 성능이 괜찮군요.
jeehy (ID) jeeh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9:59/ 신고
10% 정도 오버된 제품이네요.
같은 가격이라면 좋은 선택이 되겠네요
emaeull (ID) emaeul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15:04/ 신고
오버가 된 제품이라 더욱더 좋은데요
zpidog43 (ID) zpidog4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16:43/ 신고
가격대비 성능!!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18:51/ 신고
이번 이벤트에 나온 제품이군요.
asuea (ID) asue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6 23:32/ 신고
드라마 제목이네요 ㅎㅎ
combachi (ID) / 07-05-08 10:46/ 신고
욕심이야 8800울트라이지만
게임만 하는 머신이 아닌 제 컴퓨터에는 그냥 메인스트림으로....
yourmunk (ID) yourmun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8 12:18/ 신고
8600GT 마왕, 현재 사용중인 제품인데 가격도 나름 저렴하고 성능도 마음에 들더군요..
어여 다이렉트X 10을 지원하는 게임들이 나와주어야 할텐데요..^^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8 14:14/ 신고
8600GT가 가격대비 성능이 가장 좋은 듯하네요..
kartor (ID) / 07-05-08 14:25/ 신고
가격대 성능비는 8600시리즈가 좋지만 하이엔드의 미련을 버리지못하네요...^^;;
kbs072 (ID) kbs07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8 17:40/ 신고
나름대로 8600GTS에 한표 던집니다. 아직 8800은 좀 부담감이 가고..
jinufan (ID) / 07-05-08 22:34/ 신고
가격 성능 현재로서는 8600GT이군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8 23:46/ 신고
가격이 저렴한 8500은 성능도 확실히 낮춰졌다는 것을 수치로 잘 알려주기 때문에 역시 선택하고 싶지 않네요. 8600이 가격과 성능이 무난한 편이니 8시리즈중 낫다고 봅니다.
azaaza1466 (ID) / 07-05-09 17:15/ 신고
가격대 성능비론 8000번대 시리즈중 가장 합리적인것 같네요
moonchild (ID) moonchil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09 23:39/ 신고
새로운 보급형으로 자리잡은 8600 시리즈 꼭 한번 사용해보고 싶은 그래픽 카드네요.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0 16:44/ 신고
아무래도 GT가..
piorza (ID) piorz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0 17:42/ 신고
발열이 은근히 좀 있습니다 -.-;
tusik (ID) / 07-05-10 22:32/ 신고
역시 갖고 싶은 제품입니다.
rinups (ID) rinup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1 10:29/ 신고
쉐이더 클럭만 따로 올리고 싶군요 ㅠ_ㅠ
glzhwk (ID) glzhwk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1 21:57/ 신고
악....선택 가능성이구나... 성능이 가장 좋은 걸루 읽어버렷다...아우...선택 가능성이면 8600GT 인데..아우...ㅠ.ㅠ
hare51 (ID) hare5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2 0:53/ 신고
마왕 이라는 이름부터 뭔가 거대한 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느껴지네요.8600 시리즈의 전성시대가 도래한 것일까요.
play9876 (ID) play9876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2 20:50/ 신고
음.. 가능성 높은 8600이라... 한번 써보고는 싶은데.. 기회가 될런지..
ljck5765 (ID) ljck576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4 8:49/ 신고
가격대비 GT가 최고인것 같습니다. 기사 잘 봤습니다.
mookee (ID) mook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4 18:34/ 신고
아직까진 GTS는 가격이 문제...
bbikupig (ID) / 07-05-14 22:24/ 신고
유니텍 스러운 면이 있는 제품이지만 괜찮아 보입니다. ^^ 이제는 유니텍 제품도 크게 거부감이 없는 편이라 한번 사용해 볼만한것 같습니다~
shfahl33 (ID) shfahl3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5 11:02/ 신고
이런 설문 조사를 한다면 무조건 용량...그래픽 초보티가 좌르르....
ohhobod (ID) / 07-05-15 11:21/ 신고
아직까지 게임성능에 말이 많지만 앞으로 나올 dx10과 중 보급형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좋은 제품이죠
aynam (ID) ayna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5 16:45/ 신고
변종제품이 많이 나오겠네요.
ajjuguri20 (ID) ajjuguri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6 2:12/ 신고
역시 GeForce 8600GTS에 가장 마음이 가네요.
하지만 가격을 생각하면...
pang2pang (ID) pang2p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6 12:52/ 신고
그래픽 카드는 너무 세분화해서 제품을 출시하는게
그리 좋은 현상은 아닌듯 합니다.
거의 뭐 클럭 차이가 두~배, 세~배 나는것도 아니구
아주 조금씩의 차이로 제품을 출시하는게....크....
snarecsh (ID) / 07-05-17 14:51/ 신고
좋은 그래픽카드 있으면 참 좋은데
그렇다고 덜컥 살 수도 없고 ㅎ
jg2000a (ID) jg2000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7 15:00/ 신고
비레퍼런스 제품으로 오버 되어 나온제품으로 안전성도 좋고 성능도 탁월하다고 하네요 거기에 다른 회사 제품보다 가격이 착해서 많은 유저들에게 관심을 받고 있는 제품이라고 하네요
97095195 (ID) / 07-05-18 1:09/ 신고
8600GT는 이미 7600GT의 자리를 깔끔하게 매우고 있으며, 성능과 가격 또한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비스타의 대중화를 앞둔 시점에서 8600GT만한 제품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19 9:18/ 신고
생각보다 7600시리즈에 비해 성능이 별로
koysin (ID) koysi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0 23:14/ 신고
오버 제품으로 마왕이라는 이름이 재미있군요.
오버 성능을 강조한 이름같습니다.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1 12:11/ 신고
메모리 인터페이스가 약하긴 하지만 오버제품은
매력이 있죠!
lastwar2000 (ID) / 07-05-25 10:02/ 신고
가격대비 성능이죠..
pch6774 (ID) / 07-05-25 16:33/ 신고
gts는 가격차이가 좀 나니, gt가 대안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pch6774 (ID) / 07-05-25 16:34/ 신고
그나마 메모리 버스는 gt나 gts나 같으니..
pch6774 (ID) / 07-05-25 16:34/ 신고
생각해보니 버스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좀 있군요..
cmk05812 (ID) / 07-05-27 3:52/ 신고
8900GS만 기다립니다 ㅎㅎ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05-27 22:43/ 신고
8600GTS를 사용하고 싶지만 금전적으로는 8600GT를 선택할 것 같네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4/25]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4/25]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4/25]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4/25]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4/25]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4/25]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4/25]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4/25]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4/25]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4/25]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4/25]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4/25]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4/25]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4/25]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4/25]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4/25]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04/25]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둠 더 다크 에이지스 에디션 공개  
[04/25] 소니 PS5 가격 세 번째 인상 카드 꺼내나?  
[04/25]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CU와 제휴 이벤트 실시  
[04/25] 소리샵, 파이널(Final)의 프리미엄 유선 이어폰 S5000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