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WD 그린에디션 vs 7200RPM, 올바르게 바라보는 방법은?

2009-06-03 00:00
이동훈 前 기자 press@bodnara.co.kr

3. WD 그린에디션 하드디스크, 어떤 제품인가?




저발열, 저전력 WD 그린에디션

오늘 언급할 제품은 WD의 그린시리즈 제품군이다. 그린 시리즈는 WD의 하드디스크 라인업인 블루/ 그린/ 블랙중에서 성능보다는 크게 저발열과 저전력에 중점을 둔 제품으로, 표면적인 성능이 자사의 블루나 블랙 시리즈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소비전력과 소음, 발열에서 월등한 장점을 갖추고 있는 제품으로 알려졌다.

 

그린에디션의 양날의 칼, 5400RPM

이 장점과 단점의 핵심에는 RPM이 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WD 그린시리즈는 발열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7200RPM이 아닌 5400RPM으로 RPM을 떨어트린 제품이다. 따라서 발열과 소음을 근본적으로 해결 가능하고, 전력소모도 7200RPM 하드디스크보다 월등히 좋다. 이는 앞서 설명한 WD의 OEM 전용 하드디스크의 컨셉을 DIY시장에 연장선상으로 적용한 것으로 하드디스크의 성능보다는 소비전력과 소음, 발열에 민감한 사용자들을 위한 제품이다.

WD 캐비어 그린은 RPM이 5400으로 떨어진 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보완기술을 탑재했다. 일반적으로 RPM이 떨어지면 액세스타임이 떨어지기 마련인데 이는 뒤에서 설명 하겠지만 액세스타임이 탐색시간 + 지연시간이기 때문에 지연시간(Latency)에서 7200RPM보다 5400RPM 제품이 늦기 때문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린에디션은 32MB라는 대용량 버퍼를 탑재해 (1TB 8MB제품 제외) 액세스타임이 떨어지는 것을 상당부분 보완했으며, 용량이 큰 데이터의 지속전송률은 7200RPM 제품에 비해 떨어지지만, 용량이 크지 않은 데이터의 경우는 7200RPM 제품과 비교해 큰 성능차이가 벌어지지 않는다.

이와함께 탐색 속도를 계산하는 IntelliSeek, 캐싱 알고리즘 개선등을 통해 5400RPM으로 떨어진 성능을 상당부분 보완했고, 레코딩 헤드가 디스크 매체를 건드리지 않는 NoTouch 기술 등을 통해 신뢰도 향상에도 신경을 썼다.

 

 

현재 WD 그린시리즈는 1TB 8MB, 32MB 2종과 2TB 32MB 1종 이렇게 3종이 판매되고 있다. 1TB 제품은 버퍼의 용량 (32MB, 8MB)를 제외하고 차이가 없으며, 333MB의 플래터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16MB 제품도 잠깐 등장했으나 현재는 8MB 제품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2TB제품은 현재 유일하게 2TB의 용량을 가진 최대용량의 제품으로, 500GB 플래터 4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32MB의 버퍼를 탑재한 제품이다.

 

그린에디션 시리즈는 태생부터가 성능이 아닌 발열, 전력소모, 소음 등에서 우수한 제품을 컨셉으로 한 제품이다. 물론 이 제품을 기존의 7200RPM 의 일반 하드디스크 제품과 동일선상에서 성능만으로 판별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부분에서 성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이번 기사에서는, 그린에디션 시리즈에 덧씌워진 두가지 부분, 성능이 떨어지는 부분이 7200RPM 제품과 비교해 얼마나 어떻게 어떤 부분에서 떨어지는지를 명확히 파악하고자 하며,  그린에디션 제품군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는 발열부분에서 7200RPM 제품군에 비해 얼마나 우수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린에디션 제품군의 또하나의 장점인 전력소모의 경우는 실제 하드디스크가 최대 소모하는 전력이 5 ~ 15W 내외이기 때문에 일반 DIY시장에서 전력감소가 차지하는 의미는 크지 않다는 판단에서 전력테스트는 생략한다.

 

제품명 WD 1TB Caviar Green WD 1TB Caviar Green WD 2TB Caviar Green
모델명 WD10EAVS WD10EADS WD20EADS
용량 1TB(1000GB) 2TB(2000GB)
회전속도 5400RPM
버퍼 메모리 8MB 32MB
디스크/헤드 3장 / 6개 4장 / 8개
디스크당 용량 333GB 500GB
소비전력 읽기/쓰기  5.4 Watts
유휴 모드  2.8 Watts
대기 모드 0.40 Watts
수면 모드 0.40 Watts
읽기/쓰기  5.4 Watts
유휴 모드  2.8 Watts
대기 모드 0.40 Watts
수면 모드 0.40 Watts
읽기/쓰기  6.0 Watts
유휴 모드  3.7 Watts
대기 모드 0.80 Watts
수면 모드 0.80 Watts
인터페이스 SATA II (3Gbps)
크기 8.9cm (3.5')
A/S 기간 3년
제조사 Western Digital
(
www.wdc.com)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psywind (ID)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0:08/ 신고
확실히 성능은 좀 떨어지는듯하네요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0:09/ 신고
파장이 있긴했지만 기본적으로 친바다 성향이라 -_-;;
나름 그린에디션만의 장점이 잘 부각된 기사였네요. 잘 읽었습니다 :)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0:30/ 신고
하드 디스크에 대한 유익한 내용이 많은 기사여서 매우 마음에 들었습니다. RPM이 낮다고 해서 7200 RPM 하드 디스크보다 형편 없는 제품이라는 편견을 가질 필요는 없겠군요.
kama136 (ID) / 09-06-03 4:11/ 신고
WD 제품은 백업용으로는 최고죠. 다른 7200rpm HDD 제품들보다 성능은 떨어져도 소음이 워낙 정숙해서...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6:58/ 신고
고용량 하드디스크의 최고 주안점은 안정성과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속도는 어차피 비슷한 세대에서는 아주 큰 차이가 나지는 않더라고요...
gt75 (ID) gt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8:49/ 신고
WD Green 에디션의 경우 처음부터 5400rpm 으로 광고를 했다면 좋았을텐데, 처음부터 rpm을 제대로 알리지 않았던게 더 큰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데이터 저장용이라고 생각했을 경우엔 5400이어도 큰 문제는 없는데 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았던것이 문제였죠.
앞으로 구입하게 된다면 SSD + 그린에디션 조합이 가장 마음에 드네요.
googy (ID) / 09-06-03 11:15/ 신고
저RPM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신 분들에게는 좋은 기사가 되겠네요.
그런데 지속 전송률 설명 부분에서 좀 잘못 된 것 같습니다. 실제 플래터의
트랙은 바깥쪽부터 시작하고 때문에 안쪽 트랙에 비해 바깥쪽 트랙이 동시간
대비 읽어내는 데이터가 많지요. 고로 HDD Tune 설명에서 왼쪽이 플래터
바깥쪽 입니다. 물론 헤드를 기준 삼아 방향을 적으셨기에 반대로 해석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인식에서 플래터의 안쪽이라면 당연히 원판의 안쪽으로 보죠.
확실한 오류 아니면 내용의 작성이 애매하게 된, 둘 중 하나인듯 합니다.
감자나무 (감자나무) 감자나무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8 22:56/ 신고
맞습니다. 바깥쪽과 안쪽이 잘못 표기되었습니다. 수정되었습니다.
감자나무 (yookj79) yookj7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11:31/ 신고
대부분 메인용하드만 사용하는분들이 대다수라 저성능이라는 꼬리표가
붙어버린것같습니다. 슬림PC나 데이터 저장용으로는 최고죠.
정말 온도가 60도가 넘으면 경고뜨고 느려지는것같더군요.
그치만 그린에디션에반해 블루에디션이 너무 없는것또한 단점입니다.
감자나무 (nanocube) / 09-06-03 11:32/ 신고
열에 따른 고장이 차이가 많군요.
몰랐던 내용이네요.
감자나무 (miracling) / 09-06-03 13:14/ 신고
음.... 4천원 더 주고 히다찌 1TB 사는게 낫지 않을까요?
감자나무 (sinsangs) / 09-06-03 15:55/ 신고
알찬 내용의 기사네요.
막연히 그린에디션 HDD는 성능이 떨어지는 걸 감수하고 저렴한 가격과 저전력, 저발열 때문에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그러한 편견을 깨뜨리게 해주었습니다. 요즘처럼 대용량 파일을 개인이 많이 소장하게 되는 때에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없을 것 같네요.
감자나무 (blasty)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16:44/ 신고
버퍼 8메가와 32메가의 가격차가 상당하네요...1만원 미만의 차이라면 좋으련만..
감자나무 (unique37) unique3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18:16/ 신고
OS용으로 쓰려면 좀 아쉽지만.. 데이터 저장용이라면 충분하겠네요..
감자나무 (newstar)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0:33/ 신고
하드디스크는 성능향상이 제일 늦다고보는데 기본적으로 성능은 높여야하지않을런지... 그런다음 발열이나 소음이나 전력소비를 낮추는 방향으로 가야할 것 같은데...
감자나무 (vobavoba) vobavob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1:07/ 신고
가격이 무기죠 ㅎㅎ데이터용으로 사용한다면 손색이 없는 제품입니다.
감자나무 (king8407)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1:29/ 신고
성능은 5400rpm으로 돌아가니 시게이트 7200이 조금 높은거 맞지만 요새 그린에디션 바람이 불고 있어서 저소음 저발열도 우선시 하는 편이니 가격대도 타 제품들보다 싼 편이고 그린에디션으로 충분히 좋은 선택이 될수있을거 같네요.
감자나무 (ohye701)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1:54/ 신고
초반에 있던 다나와의 rpm표기 오류로 잘못된 지식전파, 그리고 5400rpm의 HDD의 다소 낮은 성능때문에 욕을 하던 사람들덕에 아직도 그린에디션이 그 가치를 제대로 평가 못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성능이 높으면 좋지만 타겟이 다르고 컨셉이 다른 HDD라고 해야겠죠. 페라리와 경차가 둘다 판매되는 이유라고도 해야 할까요?(물론 그정도의 차이는 없지만 말입니다)
감자나무 (deathesp) deathes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2:18/ 신고
이게 가격이 정말저렴해야 말이되는거죠. 초반에 나왔을때는 거의 차이가 있을듯없을듯한 가격차이여서 욕을 흡수했던거죠. 게다가 버퍼가 높은거는 더하죠.
감자나무 (lordstar)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3 22:32/ 신고
진리의 6400AAKS가 있으니 고용량의 WD 그린에디션 제품들은 자료보관용도로 쓰는게 좋아보이네요.
감자나무 (komow) komo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4 10:51/ 신고
WD 컬러 마케팅이 용도별로 구분해서 좋기는 합니다.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한다면 그린이 저전력이라 좋은 부분이긴 합니다.
감자나무 (jaharang00) / 09-06-04 16:11/ 신고
WD의 컬러 마케팅도 현혹시키는 매력이 있지만 WD의 판매1위의 가장 결정적 역활을 한건 시케이트의 펌웨어 소동과 더불어 착한 가격이져.
감자나무 (nadonara) nadonar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5 13:20/ 신고
현재 그린 제품을 쓰고 있는데 전혀 불만없습니다. 어차피 데이타 보관용으로 쓰고 있고 발열상태도 다른 하드에 비해 양호합니다.
감자나무 (theadadv) / 09-06-07 20:59/ 신고
아예, 용산에서 32M 버퍼니 7200rpm이다는 식으로 그린 하드가 싼 맛에, 직원들도 잘 모르는 채로 돌고 있더군요. 수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자나무 (ikillyou) ikillyo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8 9:47/ 신고
백업이냐 메인이냐의 차이인데, 사람들에게 혼돈으로 이상하게 매매를 하는듯 하네요
감자나무 (rubychan)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9 21:39/ 신고
데이터 저장용으로는 그린 에디션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감자나무 (cherrysia) cherrysi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09 22:35/ 신고
성능은 블랙이 더 좋지만 가격대성능비를 보면 WD 그린에디션도 좋은 선택같네요
감자나무 (rbear)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9-06-10 13:58/ 신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실제 성능 등 사용자들에게 현실감있는 기사라 생각됩니다.
감자나무 (ytp1003) / 09-06-19 13:16/ 신고
하드구입할려 하는데... 도움많이 되었습니다. ^^
방민지 tbvjvsladl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0-04-13 14:45/ 신고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Someday / 10-08-08 20:42/ 신고
하드가 꽉 차서 교체하려고 하는 중인데...
이 기사를 보니 무척 고민이 되는군요...
사고자하는 용량대에서는 그린 에디션들뿐이라;;;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6/03] 앱코, 진동과 가상 7.1 채널을 탑재한 게이밍 헤드셋 ‘N999’ 출시  
[06/03] MSI, 컴퓨텍스 2025서 AI 노트북 핸드헬드 신제품 공개  
[06/03] HP, ‘Victus Gaming Laptop 15-fb3113AX’ 출시.. 고성능 가성비 겸비한 게이밍 노트북  
[06/03] 이엠텍아이엔씨가 공식 유통하는 PALIT과 SAPPHIRE, COMPUTEX 2025 참가  
[06/03] 퀄컴, 멀티미디어 경험 강화된 스냅드래곤 7 Gen4 발표  
[06/03]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오케스트라 공연 6월 21일 개최  
[06/03] '프리미엄한 당신을 위한 최고의 선택' 삼성스토어, '데이코 위크' 진행  
[06/03] 넷마블 북미 자회사 카밤, <마블 올스타 배틀> PC 버전 전 세계 정식 출시  
[06/03] '월드 오브 워쉽' x 벽람항로 일곱 번째 콜라보레이션  
[06/03] GTA 온라인, FIB 파일 피날레에서 보상 두 배 제공  
[06/03] 넥슨, 메이플스토리M M4U 아일랜드 2차 이벤트 실시  
[06/03] 운빨존많겜, 출시 1주년, 역대급 업데이트와 이벤트 쏟아진다!  
[06/03] 서린컴퓨터, 시스템 빌드 전문 유튜버와 협업한 'PC SNAP 에디션' 출시  
[06/03] 펀키스, 31g 초경량 마그네슘 합금 8K 게이밍 마우스 WLMouse Beast Miao 시리즈 출시  
[06/03] Razer, 생산성과 게이밍 동시에 잡은 3종 키보드 마우스 출시  
[06/03] 디아블로 IV, 2025 세계 접근성 인식의 날 기념해 누구나 손쉽게 성역을 탐험하도록 돕는 기능 소개하는 영상 공개  
[06/03] 마우저, 첨단 비전 AI 기술을 지원하는 르네사스의 RZ/V2N 마이크로프로세서 공급  
[06/03] MSI, AI 게이밍 모니터 분야 선도  
[06/03] 삼성전자, AI 기능 탑재한 'AI 통버블 세탁기' 출시  
[06/03] 라이엇 게임즈, 발로란트 출시 5주년 기념 ‘자선 // V25 세트‘ 출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