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전체 패키지-
1.
들어가면서
드디어
인텔에서도 DDR-RAM을 사용할 수 있는 i845D칩을 사용한 메인보드들이
하나둘씩 시장에서 볼 수가 있다. 많은 펜티엄4 사용자들 중 가격적인
문제로 인하여 RDRAM을 사용하는 i850유저는 극히 소수이고 나머지 SDRAM
용 i845 보드 사용자들은 펜티엄4의 성능을 다 발휘하지 못하는 불만이
있을 것이다. 또 인텔이 아닐지라도 VIA나 SIS에서 펜티엄4 플래폼에서
DDR-RAM을 사용할 수 있는 보드들도 시장에 나타나고 있지만 인텔이라는
명성은 안정성에서 더 인정받고 있는 현실이다. 마침 필자는 현재 대세로 굳어지는 듯한 DDR-RAM용 i845D칩
보드를 기다리던 많은 유저들중 한명으로써 운좋게 ASUS의 P4B266를
구하게 되었다. 현재(2001년 12월 21일) 일반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i845D보드는 2~3개 정도 이다. 시장에 나온지 2주일쯤 된 제품으로 신제품을
소개하기에는 약간 늦은 감이 있지만 ASUS는 많은 유저들이 선호하는
메인보드 벤더라는 점에서 P4B266에 대해서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2.
MainBoard Layout & 특징
제품명
|
ASUS
P4B266
|
칩셋
|
MCH : Intel i845B0 (i845D)
|
지원 프로세서
|
펜티엄4 mPGA478 |
AGP 지원
|
AGP 4X only
|
Memory
|
뱅크
3개 (PC 2100/1600 DDR, MAX2GB) |
Audio
|
C-Media CM/8738 6-Channel 하드웨어 오디오 컨트롤러 내장 |
BIOS
|
award BIOS
|
Interface
|
E-IDE 2개 (ATA-100 지원)
FDD 1개
PS/2 포트 2개 (키보드, 마우스)
USB 포트 8개
(
4개 : USB 1.1+ 4개 : USB 2.0 )
씨리얼포트 2개, 패러럴 포트 1개
오디오 커넥터 3개 & 조이스틱포트 1개
|
슬롯
|
1 AGP, 6 PCI, 1 CNR
|
특징
|
6.1
채널 온보드 사운드
(C-Media
CMI8738)
디지털
SPDIF출력지원(Coaxial)
Usb2.0지원
AGP
PRO 슬롯
EZ-Plug
기능
점퍼
프리모드
ASUS
POST Reporter
|
패키지 내용물
|
패키지
내용물
P4B266
메인보드
설치
CD
USB
2.0 4포트 확장 브라켓
ATA
- 100 케이블
ATA
- 33 케이블
플로피
케이블
예비
점퍼 : 3개
AUDIO
Spdif 출력용 Coxial 확장포트 브라켓
설명서
영문
User Guide
다국어
Quick Setup Guide
Quick
Reference Card
Quick
Reference Sticker
|
제조사
|
ASUS(www.ASUS.COM.TW)
|
유통사
|
i-BORA(WWW.ASUS-KOREA.COM)
|
보드 레이아웃
-그림
보드 레이아웃-
일단 보드 레이아웃 자체는
깔끔한 모습을 보인다. 메인보드 전원 코넥터와 ASUS 특유의 EZ-Plug
부분의 전원전원코넥터 부분은 IDE 케이블쪽에 다 몰려 있어서 공기
유통에 무리가 없어 보인다. 그리고 플로피 케이블이나 IDE 커넥터도
한곳에 가지런히 정리되어 있어서 실제로 케이스에 조립해본 결과 아주
깔끔하게 정리가 되었다.
-그림
백 패널-
백 패널은
일반적인 모양 그대로 수수한 모습이다.
-그림
CPU 주변부의 모습-
인텔 펜티엄4의 경우
쿨러가 정품의 그것을 사용하기 떄문에 특별히 주변부가 얼마나 잘 정돈되어
있는가 하는가는 이젠 별로 분제가 되지 않는다. 콘덴서의 크기나 개수가
작은 것이 좀 의아하다.
위에 빨간원이 CPU 쿨러
코넥터 이다. 램지지대나 쿨러에 걸리지 않고 위치는 아주 양호하다.
-그림
12V CPU 전원 코넥터-
펜티엄4용 파워가 필요한
펜티엄4 특유의 12V CPU 전원 코넥터이다. 하지만 ASUS 특유의
EZ-Plug로 꼭 전용 펜티엄4 파워 서플라이가 없어도 일반적인 파워로도
펜티엄4 CPU를 사용할 수 있다. 아래 그림의 빨간 원안을 보자. 일반
하드디스크나 CD-Rom에 사용하는 12V 전원 코넥터를 사용해서 펜티엄4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ASUS 만의 기능이다.
위의 램 DIMM 슬롯을
보면 많은 i845보드들이 2개의 램 뱅크를 지원하지만 ASUS P4B266의
경우 3개의 뱅크를 지원한다. 하지만 모든 슬롯에 모든 종류의 램이
설치가능하지는 않다.
DIMM1 ( Rows 0&1 )
|
DIMM2 ( Rows 2&3 )
|
DIMM3 ( Rows 3&2 )
|
SS/DS
|
DS
|
None
|
SS/DS
|
SS
|
SS
|
SS -
Single Sided DIMM, DS - Double Sided DIMM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만 I845D 칩셋은 0~3번까지의 4개의 로우를 지원한다. 그런데
양면램의 경우 2개의 로우를 점유하기 때문에 DIMM2와 DIMM3의 경우
Rows 2와 3을 공유하기 때문에 DIMM2에 양면램을 설치하게 되면 DIMM3에는
램을 철치할 수 없다. 자세한 사항은 브레인 박스(http://www.brainbox.co.kr
) 의 i845D 보드 11종 테스트를 참조하기 바란다.
-그림
IDE & 플로피 케이블 코넥터-
배치가
한곳에 아주 깔끔하게 되어 있다. 플로피 케이블의 경우 특이하게 누워있는데
의외로 설치를 편하게 했다.
두 그림중 윗그림의에서
노란부분이 USB 부분이다. ASUS P4B266 의 경우 NEC 의 칩셋을 채용해서
USB 2.0을 채용했다. 노란색 원안의 칩셋이 NEC 칩이고 노란원안의 파란색
코넥터가 USB 2.0용 브라켓 연결단자이다. 아래의 그림이 USB 2.0 브라켓이고
패키지안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노란원안의 하얀 코넥터가 인텔 칩셋에서
지원하는 기본적인 USB 1.1용 코넥터이다. 결론적으로 ASUS P4B266는
총 8개 (USB 2.0 4개, USB 1.1 4개)를 지원한다. USB 1.1용 브라켓은
옵션이다.
USB 2.0의 경우는 현재
고속 외장 인터페이스에서 IEEE-1394를 견제하기 위한 USB 진영의 새로운
규격이다. 하지만 현재 고속 전송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IEEE-1394에
비해 이제 시작하는 단계이므로 얼마나 시장에 널리 퍼질까 하는 부분도
매우 흥미진진한 사항일 것이다.
USB 2.0의 전송속도는
480Mb/s 이고 USB 1.1에 비해서 40배 정도의 전송속도를 가지다. 참고로
IEEE1394의 경우는 초당 100MB, 200MB, 400MB의 3종류가 규정되어 있다.
검은색 원안이 Hardware
Monitor을 지원하기 위한 칩셋이고, 하얀색 원안이 케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패널연결을 쉽세 하기 위해서
Quick
Reference Card와 Quick
Reference Sticker를 제공한다.
파란색 원안이 CPU FBS와
배수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 이다. 물론 이 조정은 ABIT SoftMenu와
비슷한 ASUS Jump Free Mode를 통해 바이오스에서 조정가능하고, 이것을
바이오스에서 할지 스위치로 할지 조정하는 점퍼가 있다. 바이오스에서는
FBS가 1단위로 100~200MHZ까지 조정 가능한데 반해서 스위치로는 5단위로
100~133까지뿐이 조정이 가능하므로 편의상이나 조정 범위상 바이오스에서
조절하기를 권한다.
빨간색 원 안이 ASUS의
특유의ASUS
POST Reporter를 위한 칩셋이다. 보통 LED로 보여주는 보드들에
비해서 POST과정을 음성으로 지원해주고 사용자 만의 음성 설정도 가능하다.
-그림
사운드 부분-
위의 그림중 빨간 원안이
CD-ROM, AUX 입력단자이다. 그 이외에 Modem 입력단자도 제공한다. 파산색
원 안이 사운드 칩셋인 C-Media사의 CMI8738 칩셋이다. 일반적인 AC-97사운드
코덱이 2채널만을 지원하는 반면 6채널의 사운드를 지원한다. 노란색
원 안이 아래 그림의 SPDIF모듈과 연결하는 부분이다. 온보드 사운드에서
디지털 출력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특히할만 하다. SPDIF출력은 Coaxial출력을
지원하고 매뉴얼에는 Optical은 옵션으로 되어 있다.
사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나오는 C-Media특유의 MIXER이다. 설정 부분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메뉴들이 나타난다.
그림을
보면 SPDIF 출력 지원을 위한 선택박스를 볼 수 있다.
스피커를
헤드폰, 2, 4, 5.1 스피커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각 포트의
기능들이 달라진다.
다음의
표를 참조하기를 바란다.
|
헤드폰
& 2스피커
|
4스피커
|
6스피커
|
레몬색
|
전면
스피커 출력
|
전면
스피커 출력
|
전면
스피커 출력
|
파란색
|
라인
인
|
후면 스피커
출력
|
후면 스피커
출력
|
핑크색
|
마이크단자
|
마이크단자
|
센터와
우퍼 출력
|
6채널
출력은 아나로그로 가능한데 아래와 같은 아나로그 6채널 스피커에 아주
유용하다. 대표적으로 아래 그림의 Creative의 Inspire5300이나 Bliz의
BR-5100같은 아나로그 스피커 들이다. 검은 원 안이 메인보드의 3 단자들과
연결하기 위한 단자들이다.
음질은
애초에 필자가 사용하는 SB LIVE 5.1 과 비교하기가 무리가 있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약간은 좀 답답한 소리가 난다. 마치 표현하자면 좀 과장되지만
솜으로 귀를 막고 음악을 듣는 기분이 었다. 만약 일반적인 사용자가
아닌 음질에 민감한 사용자라면 고급의 사운드카드 구입을 권장한다.
SPDIF
출력의 경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점은 DVD에서의 SPDIF 출력 지원이라
하겠는데 아래 그림을 보면 알 듯이 Win-DVD나 Power-DVD에서 아나로그
5.1채널은 지원해 주지만 SPDIF 출력을 지원하지 않는다. 광출력이라면
MD에 녹음이라도 하겠지만 패키지 안의 단자는 Coaxial만을 지원하므로
도대체 왜 이러한 기능을 포함시켰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아시는 분은.......글을
남겨 주세요....
3.
BIOS
ASUS는
특유의 인터페이스의 AWARD 바이오스를 사용한다. 꼭 예전 펜티엄 시절의
피닉스 바이오스를 바라보는 기분이다.
메인
화면이다.
Advance부분.
대표적으로 CPU 배수와 FBS, 그리고 CPU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Advance부분
내 Chip Configuration 부분. 램에 대한 설정등을 할 수 있다. 최적화
모드는 Turbo2 모드로 해도 별다른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가능하면
Turbo2모드로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안정적이기만 하다면...
온보드
사운드를 사용안하는 옵션이 여기에 있다.
Advance부분
내 I/o Device 설정부분이다. 시리얼이나 패러럴 포드 설정을 할 수
있고, 내장 사운드를 사용하지 않을려면 여기서도 설정을 해야 한다.
마지막에 ASUS 특유의 Speech POST Reporter부분을 사용설정가능하다.
부팅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을 것을 권하는데 부팅시 PCI
장비목록이 나타난 후 잠깐 멋침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음성 출력을
위해 음성 출력이 끝날 때 까지 약간 기다리기 때문이다.
Advance부분
내 PCI 에 대한 부분이다. 각 슬롯별 IRQ 설정기능을 제공한다.
Power부분이다.
ACPI 해제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4.
제공되는 CD
CD안에는
크게 4개의 메뉴가 있다. CD의 드라이버란의 인텔 INF 패치는 인텔 홈페이지에서
공식적으로 구할 수 있는 3.10.1008버젼보다 높은 3.10.1011버젼이 들어
있다. i845D칩셋을 위한 업데이트로 보이며 CD 안의 드라이버를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이제는
소프트웨어에서 대표적인 것들을 살펴보자
ASUS에서
특유의 Hardware Monitor인 ASUS Probe이다. 다른 보드벤더와 차별되는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부팅시
나타나는 로고를 변경하기 위한 유틸이다. 개인적으로 부팅시 그림이
나타나는 것을 선호하지느 않지만 다양한 악세사리를 추구하는 유저에게
구미가 당기는 유틸일 것이다.
기존의
도스에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하는 번거러움을 없애기 위해 윈도우
환경에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ASUS Update이다. 실제로 필자는
이번에 새로 나온 1003바이오스를 이 유틸로 업데이트 해 보았다. 특히
XP등 도스부팅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편리하다.
5.
TEST
테스트는
펜티엄3-800 과 같은 펜티엄4 1.5G에 보드 칩셋만 다른 일반 SDRAM을
사용한 845보드와 이번의 ASUS
P4B266를 비교하였다.
비교대상 |
펜티엄3-800 |
펜티엄4-1.5 |
펜티엄4-1.5 |
cpu |
P3-800eb코퍼마인 |
P4-1.5G |
P4-1.5G |
mainboard |
abit sa6(i815ep) |
abit bw7(i845) |
ASUS
P4B266 |
ram |
SDRAM
384mb(삼성 Pc 133)
|
SDRAM
384mb(삼성 Pc 133)
|
DDR-RAM
256mb(삼성 Pc 2100)
|
vga |
수마 gegorce MX
Twin View
|
수마 gegorce MX
Twin View
|
수마 gegorce MX
Twin View
|
sound |
SB Live 5.1 DE |
SB Live 5.1 DE |
SB Live 5.1 DE |
hdd |
IBM DTLA307045
(45G 7200 RPM ata100)
|
IBM DTLA307045
(45G 7200 RPM ata100)
|
Seagate
Baracuda4
(60G
7200RPM ATA100)
|
dvd-rom |
LG 12X DVD(DRD8120B) |
LG 12X DVD(DRD8120B) |
LG 12X DVD(DRD8120B) |
cd-rw |
LG 16X RW(GCE-8160B) |
LG 16X RW(GCE-8160B) |
LG 16X RW(GCE-8160B) |
NIS |
Realtec 8139 |
Realtec 8139 |
Realtec 8139 |
기타 |
On-Air Tv 카드 |
On-Air Tv 카드 |
On-Air Tv 카드 |
1.
Sandra Test (테스트 버전 Sandra_2001.5.8.11 TE)
1.
CPU Benchmark
-그림
ASUS
P4B266 CPU Benchmark-
CPU 벤치마크 |
펜티엄3 |
펜티엄4-Sdram |
펜티엄4-DDRRam |
ALU |
2179 |
2807 |
2843 |
FPU |
1078 |
1849 |
1858 |
2.
MultiMedia Benchmark
-그림
ASUS
P4B266 2. MultiMedia Benchmark-
CPU 멀티미디어
벤치마크 |
펜티엄3 |
펜티엄4-Sdram |
펜티엄4-DDRRam |
정수부 |
4371 |
5961 |
5948 |
소수부 |
5349 |
7314 |
7362 |
3.
Memory Benchmark
-그림
ASUS
P4B266 Memory Benchmark-
메모리 벤치마크 |
펜티엄3 |
펜티엄4-Sdram |
펜티엄4-DDRRam |
정수부 |
316 |
558 |
980 |
소수부 |
357 |
585 |
995 |
비고
산드라
테스트에서는 CPU와 Multimedia Benchmark에서는 기존의 SDRAM 용 845
보드인 ABIT-BW7과 DDRRAM 용인 845D보드인 ASUS P4B266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것은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하지만 우리가 궁극적으로
궁금해 하는 메모리 벤치마크에서는 거의 램의 스펙과 비슷한 두배 정도의
성능차를 보인다.
2.
퀘이크3 프레임 테스트
테스트는
32bit color에서 가능한 모든 옵션을 최고로 두고 하였다.
해상도 |
펜티엄4-Sdram |
펜티엄4-DDRRam |
성능차이 |
640 x 480 |
80.8 |
131.7 |
38.65% |
800 x 600 |
66.5 |
95.9 |
30.66% |
1024 x 768 |
66.2 |
67.3 |
1.63% |
1280 x 1024 |
21.8 |
36.2 |
39.78% |
실제 메모리의 성능 차이가
게임에서 얼마만큼의 성능차이를 보이는 테스트로 Quake3로 프레임 테스트를
실행하여 보았는데, 필자가 예상했던 결과를 훨씬 뛰어넘는 결과를 보였다.
숫자상으로 30%정도의 성능차이를 보였고, 실제 게임에서도 고해상도와
많은 유닛들이 나오는 상태에서도 훨씬 빨라진 속도를 체감할 수 있었다.
6.
OverClock
오버클럭의 경우는 매우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전압조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타
보드에 비해서 CPU 전압조정만을 제공하고, PCI 클럭 고정기능도 제공하지
않는 다는 표면적인 단점은 물론이고, 전압을 조정하지 않는 상태에서
FBS 105MHZ도 견뎌내지 못했다. 이것이 CPU 문제인지 사용한 삼성 DDR-RAM
때문인지(CPU:Ram clock를 1:1로도 안되는 것을 볼 때 램탓은 아닌 것
같다.) 아니면 그 외의 문제인지는 몰라도 거의 테스트를 할 수도
없었다. FBS 105MHZ로도 바이오스에 진입하지조차 못했다.
7.
총평
I845D 칩셋 자체로는
매우 만족스러운 테스트였다. 하지만 꼭 ASUS여야 하는가 하는 답변에는
Yes라고 말하기는 힘들었다. 많은 ASUS의 특유의 기능들 중 P4B266의
대표적인 장점은 내장 사운드의 기능과 USB 2.0의 지원일 것인데, 개인적으로,
물론 만족하는 사용자들도 많겠지만 사운드의 경우는 그 음질이나 기능면에서
만족하기 힘들었다. 또 USB 2.0은 미래의 표준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을 것이나, 현재의 대중적인 IEEE-1394를 이겨낼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을
가지는 사용자들이 많을 것이다.
물론 필자가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는 ASUS이기 때문인 이유도 있을 것이다. 다른 메인보드
자작사가 같은 보드를 제조했다면 필자의 평가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ASUS에는 높은 기대감이 있기 떄문이다.
성능면에서 I845D 칩셋이
널리 쓰이는 펜티엄4용 칩셋이 될 것이라는 것은 믿어 의심치 않는다.
앞으로 출시될 많은 보드들에 대해서 많은 테스트 기회가 오기를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