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Naver)가 교육시장을 겨냥한 '웨일북(Whalebook)'을 공개했다.
네이버는 지난 10일 교육용 스마트 디바이스 '웨일북' 공식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하반기 중 출시될 웨일북의 기능과 외형을 공개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웨일북은 다양한 교육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며 기능 및 외형을 설계했다. 특히 전국 10곳의 시ㆍ도 교육현장에서 실제 활용중인 교육용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의 편리함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둬, 다른 디바이스와의 차별화를 꾀했다.
웨일 스페이스의 관리 기능은 선생님이 수업에 앞서, 학생이 활용할 프로그램, 즐겨찾기 등을 설정하거나 특정 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해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었다면, 웨일북의 '수업 관리' 기능은 여기서 더 나아가 수업의 질과 편리함을 높이는 기능이 추가됐다. 예를 들어, 선생님이 학생의 화면을 살펴보며 문제풀이 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모범답안을 작성한 학생이나 선생님의 화면을 전체공유해 해답을 보여줄 수도 있다. 참고자료를 학생별로 화면에 띄워주는 것도 가능해 맞춤형 수업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인공지능(AI) 음성기록 서비스 '클로바노트' 등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에 탑재된 네이버 AI솔루션 역시 웨일북으로 더욱 편리해진다.
클로바노트는 녹음된 음성 기록을 참석자(화자)의 목소리까지 구분해 텍스트로 자동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교육현장에서는 선생님의 장시간 강의에서 단어나 참석자 이름 등을 검색해 필요한 내용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고, 텍스트를 편집해 요점정리 노트를 만들 수 있어 유용하다. 웨일북을 활용하면 녹음과 편집 모두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극대화될 예정이다. 선생님이 직접 복습자료로 녹음 파일을 전달해 줄 수도 있다.
웨일북은 사용환경에 따라 ▲노트북, ▲태블릿, ▲텐트, ▲스탠드 등 4가지 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힌지 및 전용 디지털 펜을 장착했다. 또, 어떤 형태로든 원활한 화상 수업이 가능하도록 탑재된 720p HD 전면 및 500만 화소 AF 후면 카메라를 통해, 최대 500명까지 시간제한 없이 무료로 화상 수업이 가능한 '웨일온' 솔루션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네이버는 제조사들과 협의해 클로바 AI 호출 버튼과 네이버 검색 전용 키를 탑재하는 등 교육에 최적화된 키보드 인터페이스도 구현했다. 키보드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클로바 AI를 실행해 음성으로 검색하거나 어학사전, 영어 뉴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웨일북(WE1L)의 하드웨어 스펙은 11.6인치(29.6cm) 1366x768 HD 해상도 터치스크린에 고릴라 글래스 강화유리를 사용했으며, 인텔 셀러론 쿼드코어 N4120 프로세서, 인텔 UHD 그래픽스 600 내장 그래픽, 4GB RAM, 64GB eMMC 저장장치, microSD 외장 메모리 슬롯, 와이파이 5 및 블루투스 5.0 무선 연결, USB-C 3.1 포트 1개, USB 3.1 포트 2개, 3.5mm 오디오 잭, HDMI 포트, 그리고 3,635mAh(42Wh) 배터리와 USB-C 45W 어댑터를 갖췄다.
제품 무게는 1.35kg으로 모서리 고무 범퍼와 방수 기능 키보드, 밀리터리 등급 MIL-STD 810G 테스트를 충족하는 내구성, 빌트인 스타일러스, 그리고 웨일 OS 1.0 운영체제가 들어간다.
네이버는 LG전자, 루컴즈시스템, 레노보와 손을 맞잡고 웨일북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네이버 웨일 김효 책임리더는 “웨일북은 기능과 외형 설계의 모든 과정에서 ‘교육현장에서의 활용성’을 중심에 두고 다양한 제조 협력사들과 함께 고도화하고 네이버의 기술을 응집한 제품”이라며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디바이스 특징을 바탕으로 선생님과 학생이 교육, 학습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교육격차를 줄이는 조력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