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ATI CrossFire Xpress 3200 M/B 3종 오버클럭 벤치마크

2006-05-08 01:00
이우용 수석기자 guyg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guygun@bodnara.co.kr

 

 

 

 

 

 

 

 

 

 

 

nVIDIA의 nForce4 칩셋을 생각하면 SLi가 떠오르는것처럼 ATI의 Xpress 메인보드 칩셋을 생각하면 먼저 CrossFire가 떠오른다. 이처럼 그래픽 프로세서 개발사들이 만든 메인보드 칩셋은 메인보드 칩셋 자체보다는 그 칩셋이 제공하는 그래픽 프로세서의 기능을 떠오르게 되고 있는데 ATI가 이번에 발표했던 최신 CrossFire Xpress 3200 칩셋(코드명 RD580) 제품도 머리속에 떠올려보면 CrossFire가 가장 먼저 떠오른다.

그러나 ATI가 코드명 RD580 칩셋을 발표했을 때는 이 CrossFire 이외에도 한가지 중요한 부분을 설명한적이 있는데 이 부분이 오늘 알아볼 오버클럭이다.(이후부터는 CrossFire Xpress 3200 칩셋 명칭을 코드명인 RD580으로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ATI의 주장에 따르면 자사의 RD580 칩셋은 지금까지의 어떤 칩셋들도 지원하지 못했던 노스 브릿지와 연결되는 모든 입출력 버스의 클럭을 조절할 수 있으며 노스 브릿지와 사우스 브릿지의 연결에 사용하는 PCI Express 버스는 정규 클럭으로 고정시킨체 그래픽카드와 주변기기용 PCI Express버스만을 유저가 직접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였었다.

이대로라면 ATI의 주장대로 노스 브릿지와 연결되는 모든 입출력 버스의 클럭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가 있게되는것인데 ATI는 이보다 더 매력적인 성능을 소개했었다.

바로 HyperTransport 버스를 기존 칩셋보다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인데 지금까지 오버클럭에서는 대부분 HyperTransport 버스 배율을 3배로 설정했었다. 이는 CPU 클럭과 메모리 클럭을 높게 설정하기 위해서인데 이럴 경우 HyperTransport 버스의 클럭은 오히려 정규 클럭보다 낮은 클럭을 사용해야 했었지만 4배율이나 5배율에서도 이런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면 HyperTransport 버스도 정규 클럭 이상의 클럭으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 오버클럭커들에겐 상당히 반가운 소식이 아닐수 없다.

이런 몇가지 매력적인 부분 때문에 RD580 칩셋의 오버클럭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했었는데 마침 오버클럭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메이커인 ASUS와 DFI 그리고 ABIT의 RD580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가 입수되어 이들 메인보드를 통해 RD580 칩셋의 오버클럭 능력도 알아보고 각 제품간의 오버클럭 성능을 비교하는 ATI CrossFire Xpress 3200 메인보드 3종 오버클럭 벤치마크를 진행하였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babopj (ID) / 06-05-08 1:09/ 신고
음... 멋진 제품들이네요.. 잘 보았습니다. ^^
epician (ID) epici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3:33/ 신고
솔직히 ATi 칩셋 들어간 메인보드는 구매하기 좀 꺼려지더군요. 사업시작한지 얼마 안된 분야라서 돈 주고사서 베타테스터되는거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8:04/ 신고
요새 나온 ATi 보드들은 오히려 nforce쪽보다 완성도 있던걸요.
단지 마땅히 끼워줄만한 VGA가 하이엔드 뿐이라는게 문제 OTL
ATi보드 SLI도 최근에 뚫린거 같긴 하지만 성능저하 여부를
알수가 없어서 보류중 ~_~ AM2 문제도 있고요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9:21/ 신고
그래픽카드가 폭 넓게 팔려야 구매의 가능성도 높아질듯..
CF 카드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이니..ㅠ_ㅠ
가격도 만만치 않고..

그래도, 꾸준히 제품은 나오니 다행이네요.
jin2006 (ID) / 06-05-08 9:39/ 신고
아직은 선호가 덜 되지만...조만간 삼자구도가 되겠죠.
northwindv (ID) northwindv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0:43/ 신고
성능이 좋아도 과연 저가격에 크파를 사용하고 싶은 생각이 들까요???VGA두개 가격도 만만찮을듯 싶고 거기다가 메인보드도 상당한 고가~~~ATI가 SLI처럼 가격이 내려와 제대로 경쟁할때가 기다려지네요..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0:54/ 신고
으음... 저는 Xpress200 계열의 메인보드를 몇장 써봤는데, 그럭저럭 만족하고 있습니다. 딱히 문제가 되는 부분도 없었고, 안정성도 괜찮은 것 같던데요...??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2:35/ 신고
오버는 정신건강에 해롭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ㅎㅋㅎㅋ
fourbitz (ID) / 06-05-08 13:25/ 신고
딱 보기에도 상당히 고급스러워 보이는군요..
아수스가 비싸긴 해도 비싼값하는것 같네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4:37/ 신고
음 아수스가 왠지 더 좋아 보아요..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7:13/ 신고
ASUS A8R32-MVP Deluxe 라니
랜파티의 명성은?
muphy22 (ID) muphy2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8 19:17/ 신고
하이퍼트랜스포트의 오버가 눈에 띄네요..
makesound (ID) / 06-05-08 22:20/ 신고
다들 한가닥 하는 보드들이군요...^>^ 재미있습니다~~^>^
darmi (ID) darm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9 0:04/ 신고
정말 한가닥 하는 보드들이네요..
근데 오버클럭에는 전혀 -_- 관심이 없는 관계로 패스...
보게 되는게..백패널과 ..뭐 이런것만 눈이 가는군요..;;
circlet (ID) / 06-05-09 0:26/ 신고
뭐 그럭저럭
able38 (ID) / 06-05-09 0:50/ 신고
흠.. 개인적으론 MSI의 보드를 선호하는 편인데

아직 MSI에서는 안나왔나 보네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09 1:36/ 신고
비싼 제품들이므로 -_-;;
별루인데 / 06-05-09 10:08/ 신고
벤치마크의 테스트 조건이 너무... 아수스에서 지원해줬나요? 아수스 제품으로 밀고가는 ... 내가 고른다면 dfi 고르겠네요. 위 벤치마크보다 각 제품의 최고의 성능을 했을때 어떤결과를 나오는지 알려줘야 그게 전정한 벤치마크이지, 각 제품의 특성은 알 살리고 전부 똑 같이 설정하면 그게 무슨... 정말 객관적으로 벤치마크 테스트를 했으면 좋겠다. 각 회사에서 최고의 옵션으로 설정해서 누가 더 좋은지를 보여줬으면 합니다.
ds72 (ID) / 06-05-09 16:38/ 신고
아무래도 비싼 메이저 회사의 제품들이 오버클러킹에 유리한가 보지요? 흠... 요즘 컴퓨터를 조립하는 분들의 기준을 잘 몰라서...

보드들은 정말 깔끔하고 알차보이네요 ^_^
delta96 (ID) / 06-05-09 19:41/ 신고
모니터링 전압수치가 실제 인가되는 전압이라 할 수 있나요?
그리고, 부품스펙이 더 좋으면 3페이즈로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ASUS 의 전원부 부품이 다른 제품에 비해 더 고급이라는 말씀인지요? 기존 랜파티군이 3페이즈를 사용하였는데, 그 제품들은 더 좋은 스펙의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인가요?
dualmoon (ID) / 06-05-09 21:00/ 신고
마지막 페이지가 인상적이네요...제 경우에는 최고 옵션보다 무난한 옵션에서의 성능 비교를 주로봅니다.
어차피 극한 오버를 할만큼 강랭한 쿨링 솔루션을 갖추고 있지 않기에 오버를 할때도 국민오버(?)라할 정도의 기본 오버만 하기 때문입니다. 저부분은 관점의 차이가 아닐까요?

저렇게 비판에대한 답변을 다는 모습 변치 않길 바랍니다.

p.s ADA사의 더 좋은 레귤레이터인가요? 끙;; 이름만이 아니라 레귤레이터 스펙도 비교해주셨으면...
arestoc (ID) / 06-05-09 22:48/ 신고
잘봤습니다.
화려한제품들이네요.
가격도 엄청나구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0 0:02/ 신고
ASUS가 잘 만들기 잘 만드는군요. 랜파티가 잘 될 줄 알았는데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0 0:53/ 신고
성능이 뛰어난 만큼 가격도 뛰어나네요.. 언제쯤 이런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런지..
saratoga (ID) / 06-05-10 1:33/ 신고
솔직히 오버클럭은 일반사용자가 하기에기에는 조금 부담되는 거라. 저같은 경우는 어는정도 사용하다 오버클럭하는데요 솔직히 별로.....
wowl95 (ID) / 06-05-10 22:32/ 신고
오버를 하지 않는 관점에서 제품을 선택한다면 안정적인 제품을 선택해야하겠네요.
그리고 순전히 제 개인적인 오버를 위한 제 1의 조건은 메인보드가 아니라 cpu라는 생각입니다.
어차피 적당한 가격대 성능비의 안정성을 염두에 둔 오버를 할 것이므로 어느정도 안정적인 오버를 제시하는 제품이라면 선택은 당연히 1.가격과 2. a/s 가 될 가능성이 크니까요.
흠 / 06-05-11 7:04/ 신고
역시 아수스
godanhan (ID) / 06-05-11 13:45/ 신고
음.. 후기를 보니 더욱 믿음이 가는군요... 역시 아수스네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1 16:02/ 신고
이제는 오버클럭이 벤치마크의 기준이 되는 기사도 나오는군요. 신제품들 볼때마다 눈은 즐겁지만 마음에는 무거운 짐이 지워지는 것 같아 늘 그랬는데 주제가 관심이 적은 오버클럭이라 마음의 짐도 훨씬 가벼워졌네요.
헐.. / 06-05-11 16:59/ 신고
어이가 없네요..

언제쯤이면 제대로 된 벤치마크 기사를 볼 수 있을련지 모르겠네요.. 윗분 말씀데로 아수스에서 빵빵하게 지원이라도 받은건지..

오버 쪽은 기사 진짜 개판입니다. 무슨 광고용 벤치마크도 아니고, 제대로 옵션주고 최고성능 뽑아내면 DFI 압승입니다. 뭐 이따위로 오버에 대해서 썼는지 원..

기사 전체적으로 아수스 쪽 편드는 모습 종종 보이는데 앞으로 공정한 벤치마크 좀 봤으면 좋겠습니다!

ㅡ.,ㅡ;; / 06-05-12 19:54/ 신고
제가 보기에 아수스 편들기보다는 이정도면 훌륭한 기사인 것 같은데요.

리뷰 쓰시느라 정말 고생하셧습니다.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4 16:20/ 신고
잘 봤습니다. 역시 아수스다운제품인것 같네요
많은분들이 꼭 아수스 몰아주기라는 글을 올리셨는데 전 그리 보이진 않은데..ㅡㅡ;;
기본 상태에서 몇가지 옵션만 조작하는, 누구나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선까지가 보드나라의 언급 범위입니다라는 글이 맘에 드네요..ㅎㅎ
hyeonsig (ID) / 06-05-14 16:21/ 신고
오버 마니아라면 극한오버율로 비교를 원하겠지만, 일반 유저의 입장이라면 오히려 더 좋은 리뷰로 보이내요. 쿨링 시스탬도 극한을 견딜 것을 가진분도 그리 많지 않는데...

극한 테스트리뷰는 톰아저씨 사이트를 보시는 것이 좋을듯...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4 17:32/ 신고
오랜만에 보는 밴치마크군요. 앞으로 자주 올려주세요.^^;; (기사를 평가하는 것도 다 각자의 주관이니..)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14 22:33/ 신고
ㅎㅎ 간만에 나오는 제품들인데 에고 그래도 아직까지 근접하기에는 먼 제품들이군요
deltahos (ID) / 06-05-14 23:42/ 신고
멋진 리뷰 감사합니다.
pksps (ID) / 06-05-20 20:05/ 신고
음...역시 아수스제품과 DFI제푸들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군요..잘봤습니다.
ronaya (ID) ronay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5-21 9:40/ 신고
가격적으로 보면 SLI가 더 매력적이네요.
asdasd / 06-05-24 16:05/ 신고
ASUS A8R-MVP 200CF ATI칩이라 생소했지만 그래두 후일 CF구성을 위해 구입했었는데 성능이나 호환성등 대만족임다 ㅎㅎ 3200은 더좋겠저 총알부족으로 못구입했었는데 이 기사보니 무리해서도 구입해볼껄 ~.~
K1 / 06-05-24 16:07/ 신고
20만원선의 크로스파이어 에디션 그래픽카드가 나오면 히트 칠듯 ~.~ 이넘의 마스터카드가 1900시리즈뿐이니 넘 비싸 ~.~
moonlight11 (ID) / 06-05-25 9:22/ 신고
좋은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ryangedu (ID) / 06-05-28 23:14/ 신고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을 체험할수있는 오버는 좋다고 봅니다^^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6-04 13:06/ 신고
이런건 기사로 만족
jenadu (ID) / 06-06-04 17:00/ 신고
가격이 부담스럽긴 합니다.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6-04 21:33/ 신고
아서스가 더 좋은 듯 합니다
가배 / 06-06-10 10:05/ 신고
왠지 아서스에 촛점을 맞춘 것 같은 느낌이 잠시 들었지만 전체적으로 괜찮은 리뷰인 것 같습니다.
지금껏 중저가용 보드들만 사용한 터라 이런 신제품들의 리뷰를 볼때마다 사용하고픈 욕구가 밀려드네여ㅠㅠ 멋진 리뷰 감사합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5/08] 프로젝터매니아 빔톨 스페이스쉽 디자인이 독보적인 미니빔 출시!  
[05/08]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사전등록 시작  
[05/08] MSI, 2025 플레이엑스포 부스 오픈..'게이밍 AI 체험존' 본격 운영  
[05/08] ‘에오스 블랙’ 1주년 기념 전야제 업데이트 실시!  
[05/08] 클래식 파밍 MMORPG ‘아드’ 정식 서비스 개시  
[05/08] 넥슨, ‘어둠의전설’, ‘기사단 임무’ 업데이트 실시!  
[05/08] 웹젠, ‘뮤 모나크’ 최대 레벨 확장 업데이트  
[05/08]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6주년 그랜드 페스티벌 업데이트 실시  
[05/08] 마이크로닉스, 컴퓨텍스 2025서 전략 신제품 공개  
[05/08] ‘플레이투게더’, ‘드래곤빌리지’와 두 번째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  
[05/08] 유니씨앤씨, '프리미엄의 진수' 삼성 갤럭시북5 프로, 5월 23일 아울렛위크 쇼핑 LIVE 진행  
[05/08]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그래플러’, ‘스핏파이어(여)’ 신규 전직 2종 출시!  
[05/08] 웹젠, 자체 개발 서브컬처 신작 테르비스 CBT 참가자 모집  
[05/08] 인피니언, 한화 NxMD와 자동차 무선 커넥티비티 혁신 위한 파트너십 체결  
[05/08] ams OSRAM, 3D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IR 레이저 광원 출시  
[05/08] 지클릭커, 예쁘고 손 편한 사무용 인체공학 로우키 풀윤활 키보드 EK500 출시  
[05/08] 넥슨, '메이플스토리' 여름 사전 이벤트 ‘썸머 카운트다운’ 실시!  
[05/08] 세컨드퀘스트, 차세대 방치형 RPG ‘디바인엣지’ PlayX4 2025서 첫 공개 보도자료 배포 요청의 건  
[05/08] 시소닉, 12V-2x6 커넥터 보호 강화한 차세대 프라임 시리즈 PSU 공개  
[05/08] SK하이닉스, 321단 낸드 기반 UFS 4.1 설루션 제품 개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