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비레퍼런스에 VF900-CU 쿨러 장착한 HD 3870! 이룸테크 Radeon HD 3870 512MB

2008-01-07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대세는 Radeon HD 3800 시리즈!

최근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사용자들 사이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제품은 HD 3800 시리즈로 경쟁사 제품보다 비록 늦은 시장 출시와 조금은 낮은 성능을 갖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통해 단숨에 사용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경쟁사와 마찬가지로 수요는 많으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들은 구입하고 싶어도 구입이 여의치 않았는데 2007년을 지나 2008년이 되어 공급 부족 현상이 점점 개선되어가고 있다.

그러한 결과 오늘 살펴볼 비레퍼런스 HD 3870 역시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보며, 이들 제품을 시작으로 비레퍼런스 제품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늘 살펴볼 제품은 (주) 이룸테크의 Radeon HD 3870 512MB는 이미 많은 수입사들에서 한 번 쯤은 마켓팅 수단으로 사용해왔던 온라인 게임사와의 제휴 (데카론 온라인 겜임)를 통한 홍보를 진행 중이며, 3년 A/S (2년 무상, 1년 유상 - 8500GT 이상 & ATI 제품군에 적용)를 제공하고 있다.

 

비레퍼런스 버전, Radeon HD 3870 512MB

제품명

룸테크 Radeon HD 3870 512MB

그래픽 칩셋

AMD ATI Radeon HD 3870 (55nm, RV670XT)

동작 클럭

코어 775Mhz / 메모리 GDDR4 SDRAM 2250(1125)Mhz

메모리 정보

Hynix 0.8ns GDDR4 512MB/ 256bit Memory Bus

출력 단자

TV-OUT (컴포넌트 & 컴포지트 & S-VIDEO)/
Dual-Link DVI지원 Dual DVI 포트 제공

인터페이스

PCI Express x16

제품 특징

 - 320 Stream Processor (Unified Shader, 통합 쉐이더)
 - DirectX 10.1 Native 지원

 - 256bit의 메모리 버스와 512MB 메모리 제공
 - Native CrossFire 지원 (CrossFire X 지원)
 - 레퍼런스 버전 (코어 775/ 메모리 2250/쉐이더 클럭 775)

제조사/ 유통사 (주) 이룸테크 (http://www.eroomtech.com)

(주) 이룸테크를 통해 유통되는 Radeon HD 3870 512MB는 기존의 유통사들이 대부분 레퍼런스 기판을 그대로 사용한 제품들을 유통하여 왔던 것과 달리 비레퍼런스 버전을 내놓았다.

 

이룸테크 Radeon HD 3780 512MB는 온라인 게임인 데카론의 제조사와 제휴를 통해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임머니 2만원 쿠폰을 제공하고 있으며, 5안심 보장제도를 통해 A/S 시스템을 잘 구축하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3년 A/S로 8500GT 이상과 ATI 제품군들은 모두 2년 무상과 1년 유상 A/S를 제공한다.)

이룸테크라는 유통사를 신생회사라고 생각될 것으로 보여지는데 사실은 2000년 설립된 지피컴이 모태가 되는 회사로 그 당시 ABIT 메인보드 등의 메인보드 유통사로 잘 알려진 회사이다.

 

[레퍼런스 Radeon HD 3870 (상)/ 이룸테크 비레퍼런스 HD 3870 (하)]

이룸테크에서 내놓은 HD 3870 512MB는 한 눈에 봐도 보드나라 기사를 통해 많이 살펴보았던 레퍼런스 버전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특징으로는 작아진 기판의 길이와 잘만 VF900-CU 쿨러를 장착하고 있으며, 레퍼런스와는 다른 전원부 구성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원 기능은 레퍼런스 제품과 마찬가지로 HD 3870 칩셋을 장착하고 있으므로 큰 차이는 없다.

 

이룸테크의 비레퍼런스 기반 Radeon HD 3870은 이미 국내에서 많은 제품들이 사용해왔던 잘만 그래픽 카드 쿨러인 VF900-CU를 기본으로 적용하고 있다. 발열이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하는 HD 3870이기 때문에 좋은 쿨링 솔루션이 필요한데 한 때 성능을 인정 받았던 잘만의 VF900-CU가 사용되어 동작하는 과정의 발열을 해결이 가능하며, 이 제품에는 새로운 거대(?)한 VF1000 시리즈보다 더 잘 어울린다. 물론,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지금은 더 유리해졌다. 

 

이룸테크의 Radeon HD 3870은 비록 비레퍼런스 기반 제품이지만, 레퍼런스 버전과 같은 RV670 코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출력 지원은 동일하다. 레퍼런스와 마찬가지로 듀얼 DVI 출력 포트를 비롯하여 HDTV 출력도 가능한 TV-Out 출력 포트를 제공한다. 또, 두 개의 DVI 포트는 모두 30인치 이상의 모니터가 지원하는 2560 x 1600의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Dual-Link DVI를 비롯하여 RV670에 내장된 HDCP 키롬을 통해 HDCP 지원도 가능하다. 그리고 경쟁사와는 달리 오디오 컨트롤러 역시 RV670에 내장되어 HDMI 출력시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레퍼런스 제품에 제공되던 DVI to HDMI 변환잭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HDMI 출력을 위해 별도의 케이블 등을 구입해야 한다. 이 변환잭의 미제공으로  가격은 낮아질 수 있지만,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은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비레퍼런스 기판을 가진 이룸테크 HD 3870 52MB

[레퍼런스 Radeon HD 3870 (상)/ 이룸테크 비레퍼런스 HD 3870 (하)]

[레퍼런스 Radeon HD 3870 (상)/ 이룸테크 비레퍼런스 HD 3870 (하)]

이룸테크에서 유통하는 HD 3870은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비레퍼런스 기판을 적용한 제품이다. 따라서, 기존의 제품과는 차이가 있는데 전면에서는 전원부가 RV670 코어 우측으로 전반적으로 이동되고 있다. 또한, 작아진 크기의 기판을 사용하여 케이스들과의 호환성이 높아졌다. 기존 레퍼런스 기판의 HD 3870의 경우 기판의 길이가 길어 일부 메인보드의 SATA 포트 등과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메모리 배치는 레퍼런스와 비교해도 큰 변화가 없는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비레퍼런스 제품이지만,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그대로 유지된다.

전원부 구성 역시 RV670 코어를 기준으로 출력 포트가 위치한 좌측으로는 2Phase의 전원부 구성과 우측으로는 1Phase의 전원부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어 레퍼런스 HD 3870의 클럭을 사용하는데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있다.

전원 공급 역시 PCI-Express 6핀 보조 전원 커넥터를 하나만 제공하고 있으며, PCI-Express 2.0 규격을 지원하므로 이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는 최대 150W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HD 3870은 최대 105W, HD 3850은 최대 95W의 소비전력을 가지고 있으며, PCI-Express 1.1 규격 메인보드에서는 최대 75W, 2.0 규격에서는 150W 지원이 가능한데 현재는 1.1 규격이 더 많이 사용되므로 6핀 추가 전원 공급 커넥터가 필요하다. 추후 2.0 기반이 되면 충분히 공급이 가능해져 150W 이하면 추가 전원 공급 커넥터는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레퍼런스 HD 3870과 마찬가지로 2개의 Native CrossFire 지원을 위한 CrossFire 커넥터가 제공되어 최대 4개의 그래픽 카드로 CrossFire를 구성할 수 있는 CrossFire X 기술도 사용할 수 있다.

후면부의 구성 역시 기판의 크기가 작아지면 비레퍼런스 기판의 구성에 맞는 구성을 하고 있다. 부품들의 수는 더 적어 깔끔하게는 보여진다.

 

레퍼런스와 같은 55nm 공정의 RV670 코어 적용!

이룸테크 Radeon HD 3870은 666million 개의 트랜지스터가 내장된 55nm 공정 RV670 코어를 사용하고 있어 레퍼런스 제품과 차이는 없다. 코어 클럭 역시 HD 3870의 레퍼런스 클럭인 775MHz를 유지하고 있으며, 소비전력을 관리하는 ATI PowerPlay와 공정의 개선을 통해 이전보다 더 적은 소비전력과 발열을 갖게 된다.

DirectX 10에 이은 DirectX 10.1을 지원하며, 통합 쉐이더 아키텍처 적용 및 Shader Model 4.1을 지원한다. 또, 320개의 스트림 프로세서 지원, HDR+AA, HD 2900XT에서 지원하던 CFAA, AVIVO HD, H.264와 VC-1 코덱을 가속하는 UVD (Unified Video Decoder), HDCP 암호화 키 테이블 포함 (CryptoROM) 및 오디오 컨트롤러 내장으로 HDMI 출력 시 영상 뿐만 아니라 오디오 출력 기능도 제공한다.

[GPU-Z로 인식된 이룸테크 Radeon HD 3870]

GPU-Z를 통해 살펴본 이룸테크 HD 3870은 레퍼런스 HD 3870과 동일한 클럭을 유지하고 있는 제품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적용된 코어와 메모리 클럭은 775/ 2250 (1125)MHz로 레퍼런스와 같다.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256bit!

[이룸테크 HD 3870 Hynix 0.8ns GDDR4 메모리 사용]

이룸테크 Radeno HD 3870은 비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레퍼런스와 동일한 메모리 스펙을 가진 GDDR4 SDRAM과 내부 512bit 링버스 메모리 아키텍처 및 외부 256bit 메모리 인터페이스 구성은 같다.

사용된 메모리는 Hynix 0.8ns 속도를 가진 GDDR4 SDRAM으로 레퍼런스와 동일한 동작 속도를 지원하는 메모리이고 적용된 클럭 역시 2250 (1125)MHz로 같다. 0.8ns는 최대 2500 (1250)MHz로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250MHz 정도의 여유 클럭이 남아 있다.

 

이룸테크 Radeon HD 3870 512MB가 제공하고 있는 구성물은 한 장으로 구성된 영문 사용자 매뉴얼과 드라이버 CD 1장, 컴포넌트 케이블, 컴포지트 케이블, DVI to D-SUB 변환잭, 추가 전원 공급을 위한 6핀 보조 전원 케이블 1개, 온라인 게임 데카론 2만원 게임 머니 지급 카드를 제공한다. 그러나, 레퍼런스 제품들에 제공되던 DVI to HDMI 변환잭의 부재와 국내에 유통되는 다른 제조사들처럼 한글 매뉴얼을 포함하였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psydragon (ID) psydrag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0:08/ 신고
가능성은 반반..? 그래도 비레퍼런스 기판에 대한 불안감...?
yahooday (ID) yahoo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0:49/ 신고
나오는 가격도 봐야겠고 가격만 낮출려고 싸루려만 썼으면 큰일날일이고0-0;;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40/ 신고
이룸테크 제품인데 HDMI 변환젠더가 없다니 아쉽네요.
물론 사용안할 분들은 가격이 좀 더 저렴해질 요인이니 만족하겠지만....
기판이 작아지고 쿨러가 바껴서 안정성에 문제만 없다면 긍정적인 변화군요.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52/ 신고
VF900쿨러로 발열을 확실히 잡았느냐 못잡았느냐가 관심사군요.
이룸테크 제품이니 쓸만하겠죠?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52/ 신고
괜찮네요. 새로운 시도? 라고 보면 될려나..
전용쿨러에 답답함을 느끼시는 분들께 좋은듯 하고..
데카론이 무슨 게임인지 모르겠는데.. 와우나 리니지처럼 어느정도 인지도가 있는 게임과 제휴를 했다면 더 좋으련만.. ''a
딴건 몰라도 3870이면 최고급 모델인데 HDMI-DVI 젠더가 미포함된건 아쉽네요..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3:43/ 신고
1달정도 지켜보면 확실한 평을 들을 수 있을듯 하군요.
디지털 전원부를 버린 대신 얻게된 짧은 기판과 발열부담 감소라는 장점이
과연 잘 살아날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그나저나 제조사는 어디죠?
w8111 (ID) / 08-01-07 7:13/ 신고
이룸테크는 총판의 평도 좋고 제품도 불량륭이 적다고 하던데..
다만 좀 시대를 앞서가는 성능쪽으로 촛점을 맞춰서 하이엔드 제품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항상 제품을 너무 안정적(?)으로만 나오는것 같아서요..
물론 제 개인적은 느낌입니다.
jin2006 (ID) / 08-01-07 7:50/ 신고
좀 지켜 봐야 할듯 싶습니다.
가격이 안정적이라 좋지만 비레퍼런스인 만큼...문제가 불거질 가능성도
아주 조금은 있을수 있기에...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8:32/ 신고
가격 내리고, 오버 잘되면 그래도 부품이 좀 부족해도 용서가 되지 않을지요^^
단순히 게임만 하는 분들에게는 환영 받을듯 합니다
zeonis (ID) zeoni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9:00/ 신고
비레퍼런스라고 반드시 불안하거나 안정적이지 못한 것은 아니니갖 ㅗ금더 기다려 보면 검증이 될 것 같네요...
asto2000 (ID) / 08-01-07 9:18/ 신고
전원부가 많이 간소화되고 기판 길이가 레퍼런스보다 짧아졌네요...
비레퍼런스라 안정성은 얼마나 될런지 모르겠지만 안정성만 좋다면 괜찮을것 같습니다..^^"
milipol (ID) / 08-01-07 10:25/ 신고
슬림형 케이스라 3800시리즈는 포기했었는데 기판을 줄여서 나오는군요
추가전원연결하고도 장착가능하다면 매우..
지름신이.. 음~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0:27/ 신고
전 마음에 드네요. 가장 큰 장점은 기판이 작아져서 잘만 쿨러가 잘 어울리고 케이스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될 것 같네요. 보기에 딱 좋습니다. 품질엔 문제만 없다면 이 제품을 추천해 주고 싶군요.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0:30/ 신고
레퍼런스를 따라가지 않는다면 메모리를 256Bit에서 확장해서 출시되었으면 성능이 더 좋아지지 않을 까 하는 비 상식적인 생각을 하게 되네요.
안정성확보가 되었다면 현 시점에서는 좋은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라 생각됩니다.
pkwangn (ID) pkwang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0:48/ 신고
배치만 다를뿐 회로상의 구조는 비슷할거 같은데요. 불안감이라는 심리적요인이 존재하지만 그거야 어쩔수 없고.. 대신 길이가 짧아져서 케이스/메인보드선택성이 좋아진거는 장점이라고 봐야겠네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0:53/ 신고
고급형 쿨러를 사용했으니 효과적인 발열을 기대할 수 있을 듯 하네요. 하지만 DVI to HDMI가 빠진 점은 확실히 아쉽습니다.
ohhobod (ID) / 08-01-07 12:04/ 신고
테스트 해봐야 판단이 설 것 같네요.
작아지고 쿨링까지 쉬워진다면야 좋긴 좋죠
none / 08-01-07 12:31/ 신고
Colorful 제품이군요.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3:09/ 신고
3850에도 있는 HDMI 젠더나 슬롯이 상위버전인 3870에 없다니... 확실히 아쉬운 부분으로 작용하겠죠...게다가 멀티미디어 동영상재생에 주력한다는 ATI의 전략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설정이구요..
다른건 뭐, 잘만 VF900-CU를 달았다는것 빼곤 딱히 다른건 없어보이는데...
dharma (ID) / 08-01-07 13:30/ 신고
HDMI가 빠진 점은 상당히 아쉽습니다.
안정성이 관건으로 보입니다.
godanhan (ID) / 08-01-07 14:45/ 신고
기판이 길수록 파워 연결단자가 앞쪽을 보고 있으면 좋은데, 오른쪽을 보고 있어서 많이 걸리적거리더군요. 기판이 긴것도 그런데 전원까지 연결하다보면 더욱 길어지죠. 2900gt처럼 앞쪽을 보고 있으면 좋겠네요.
물론 이룸테크처럼 짧은 기판은 상관없겠지만요.
florin (ID) / 08-01-07 15:25/ 신고
무상3년 A/S -> 3년 A/S 오타 수정바랍니다.
siekfried (ID) / 08-01-07 16:09/ 신고
슬림피씨를 사용중인데 3800시리즈가 너무 길어서 장착을 못해 그림의 떡이었는데 이제 지를때가 온것 같군요. 아직 비레퍼런스가 많이 나오지 않아서 조금 기다렸다 가격과 안정성이 사정권에 들어오면 질러야 겠네요.
kama136 (ID) / 08-01-07 16:21/ 신고
전원부가 간소화된 듯한데... 성능에는 큰 문제가 없겠네요... 다만 뭔가 부족해보인다는 느낌이 약간 드네요.
viper2 (ID)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6:30/ 신고
내용 수정하였습니다. 지적 감사드립니다.^^
chunjae972 (ID) / 08-01-07 16:39/ 신고
비레퍼런스 기판을 가진 이룸테크 HD 3870 52MB ← 오타 아닌가요? ㅎㅎ;;
오타 같아서 말씀드립니다^_^
silentdo (ID) / 08-01-07 17:17/ 신고
기판이 작어서 기존에 간섭으로 장착의 불편함은 해소가 돼는군요.
하지만 GPU-Z에서 보여주는 실제 GPU클럭은 좀 낮게 나오고
여러모로 먼가 찜찜한 그래도 좋은쿨러를 장착해 좋은제품인거같네요
높은평점줍니다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7:31/ 신고
다른건 둘째치고 크기가 작아서 너무 좋은거 같습니다..
luxion (ID) / 08-01-07 17:44/ 신고
이룸테크에 대한 기사를 본적이 있었는데 비 레퍼런스로 가격을 낮추면서 쿨링성능까지 업되어 나왔네요^^ 앞으로 좋은 제품 더 만들어 주시길 ㅎㅎ
rockcd (ID) rockc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8:27/ 신고
hdmi 는 아쉬운 점이기는 하지만.. 가격적인 장점이 있다면.. 뭐 이러한 단점은 커버될것 같네요..
nitama (ID) / 08-01-07 18:56/ 신고
이거 크파케이블이 없네요 팰릿제품들이 크파를 못하던데 따로사야하는지
hwangvhong (ID) / 08-01-07 19:06/ 신고
/승태님 hdmi도 된다고 나오는데..단자가없다는 말씀이신지..
성능과 안정성에서 이상없다고 판단된다면 비합리적인 길이의 그래픽카드보다는 더 낳지않을까하네요.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19:08/ 신고
솔직히 잘만펜 보다는 레퍼런스 제품이 훨씬 이쁘다는....
잘만펜을 달고 나온 저 라뎅은 레퍼런스제품보다 상당히 싸구려 갔네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20:32/ 신고
우선길이가 짧아져서 이뻐졌다는 ㅎㅎㅎ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21:34/ 신고
비레퍼런라서 문제 있었던 제품이 특별히 많지 않았던거 같은데요..길이도 짧아지고....발열해소도 좋고....맘에 드는군요^^
yewtree923 (ID) yewtree9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21:59/ 신고
메모리 방열판까지 바랬다면 욕심이 지나친 걸까요? ㅎㅎ
요즘들어 이룸테크 이름을 종종 듣는 듯 합니다 ^^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22:02/ 신고
0.8ns의 GDDR4 SDRAM에다가 HDCP 키롬을 통해 HDCP 지원도 가능한 제품이라서 맘에 듭니다,
기판이 좀 크다지만 큰 케이스를 선호하는 입장이라서 별로 문제가 없지만
변환젠더와 한글설명서에 상응하는 제품가격이 가장 관심이 가는군요.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7 22:06/ 신고
솔직히 그다지 맘에 들지는 않네요. 너무 자주 봐온 제품이라 그런지.. 저는 좀더 돈주고 좀더 고품질의 제품을 고르고 싶긴 합니다,
jung21 (ID) / 08-01-08 1:10/ 신고
오버만 곁들어졌으면 시장에서 상당한 반응이 있었을텐데 조금 아쉽네요. 작다는데 큰의의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8 2:38/ 신고
비레퍼런스타입이라 기대반 근심반이 교차하는군요 안정성이나 성능에 어떠한 변화가 있을런지..
psu8307 (ID) / 08-01-08 6:02/ 신고
비레퍼렌스타입이 관건이군요. 안정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니까요.
ikillyou (ID) ikillyou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8 8:58/ 신고
가격만 좀 내린다면 꽤 선방할듯 한 구성입니다.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8 12:43/ 신고
생각해보니까 잘만달린 그래픽 한번도 써본적이 없네요..
아..가속지원되는 그래픽사고파라
scoot (ID) scoot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08 21:09/ 신고
저렴한 가격이 관건이겠군요. 안정성이야 겜만 잘 돌아가면 된다는..너무 많은걸 바라는건가요.
노보단 / 08-01-09 1:01/ 신고
비레퍼런스와 레퍼런스 기판의 3870간의 CF가 어떨지가 궁금해지는군요
아무래도 저가의 비레퍼런스 기판을 사용한 3870들이 많이 나올듯 합니다.
zryu072141 (ID) zryu07214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0 13:34/ 신고
가격이 문제네요. 8800시리즈와 어느정도 선에서 경쟁할 수 있을지 성능면에서는 이미 이 제품이 여러면에서 앞선다고 보이지만, 가격면에서 어느정도 선정할 수 있을지 그것이 포인트라고 생각합니다.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2 17:34/ 신고
이룸제품을 사용하고 잇어서 그런지 왠지 정이 간다는... VGA를 이왕이면은 최신형으로 채택하는게 좋지요.
ryangedu (ID) / 08-01-13 14:42/ 신고
왠지 잘만 쿨러를 달아놓으면 믿음직해보이네요. 램에도 방열판을 달아놓으면 더 좋았을텐데..
hyukdesign (ID) hyukdesig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3 23:19/ 신고
기판 크기가 상당히 줄어들었군요.
x8051 (ID) x805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8 12:32/ 신고
비레퍼런스가 나오면 역시 전체적인 가격하락에 도움이 되기때문에 환영합니다. ㅋ
이룸테크 회사 괜찮다고 하던데 기대되네요
none / 08-01-21 19:51/ 신고
대체 언제 출시하는 건지...; 전에 아처텍도 그렇고 이 제품도 출시 기사만 나오고 정작 시장에 내놓지는 않는군요.;;
ㅇㅇ / 08-02-01 3:47/ 신고
아마도 출시 안될 것 같군요. 다나와서 이룸테크 제품들 보니 중저가형 제품들 밖에 없더군요. 아직은 회사역량이 딸리는 듯.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1/07]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01/07]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01/07]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01/07] 엔비디아, RTX PRO 서버로 AI 팩토리 구축 가속화  
[01/07] AI 시대 선도를 위한 노력,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 연설 정리  
[01/07] 엔비디아, 세미커스텀 AI 인프라 구축 지원하는 ‘NV링크 퓨전’ 출시  
[01/07] 넥슨, ‘2025 던파로ON: Summer’에서 하반기 ‘던파’ 대규모 업데이트 공개  
[01/07] 아스크텍, ATX 3.1-PCIe Gen 5.1 지원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GT시리즈' 출시  
[01/07] 벤틀리모터스코리아,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4세대 ‘더 뉴 컨티넨탈 GT’ 고객 인도 개시  
[01/07] 넥슨,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01/07] 에이슬립-경동나비엔, AI가 자동 온도 조절하는 매트 출시  
[01/07] 슈퍼마이크로, 차세대 직접 수냉식 솔루션 DLC-2 공개  
[01/07] 인텔 공인대리점 3사, ‘나를 자랑해줄래?’ 프로모션 실시  
[01/07] 고성능에 AI 경험까지 결합된 팔방미인 노트북 ‘MSI 벤처’, 레드닷 디자인 수상  
[01/07] 대회부터 체험까지, 포켓몬 팬들의 축제! 포켓몬코리아, ‘포켓몬 스포츠 데이 2025’ 개최  
[01/07] 대원씨티에스, AMD 라데온 그래픽카드 구매 고객, 후기 작성 시 네이버페이 포인트 지급  
[01/07] 인텔, 업계 최초 유일하게 MLPerf Client v0.6 벤치마크 완전 지원한 NPU 등재  
[01/07] 유니씨앤씨, 5월 19일 오후 7시,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아울렛위크 LIVE 진행  
[01/07] 에이수스, ROG 게이밍기어 에스라이즈 국내 유통 개시  
[01/07] 애스턴마틴, 아이폰 사용자 위한 ‘Apple CarPlay Ultra’ 최초 탑재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