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싼 녀석들끼리 함 붙여보자! 로우엔드 CPU 4종 벤치마크

2008-01-11 00:00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비싸고 잘난 놈들의 벤치마크는 가라! 여러분의 다정한 이웃 로우엔드 벤치마크

한정된 재화를 모두 컴퓨터에 쏟아 붓던 시대는 지났다. 게다가 컴퓨터를 구매가치 1순위로 두지 않는 사람들이나 고성능 시스템을 쓸 일이 없는 사람에게 조립해주는 컴퓨터라면 더더욱 저렴하고 적절한 성능을 가진 제품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컴퓨터 업계를 이끌어 가는 기업들은 가격보다 성능을 앞세우는 하이엔드라고 불리는 얼굴마담을 대대적으로 선전하면서 20만원대 컴퓨터로도 가능한 인터넷을 하려고 200만원 짜리 컴퓨터를 구입하라고 부추긴다.

2006년 초반에 보드나라에서 작성했던 PC 논단에서 이미 이런 내용을 언급하긴 했지만 그 이후로 보드나라에서 실제 소비자들에게 더 다가갈 수 있는 기사를 많이 만들지 못하고 최신 트렌드와 하이엔드 성능을 가진 제품을 소개하는데 중점을 두었음도 부인하지 못한다.

그래서 2008년을 맞아 그 동안 성능과 기술 위주의 벤치마크에 밀려 시장에서 가격 말고는 제대로 평가 받지 못했던 저가/보급형 제품들을 보여주는 로우엔드(Low-end) 벤치마크를 마련했다. 2008년도에도 여전히 비싸고 잘난 녀석들이 하드웨어 사이트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겠지만 얼마 안 되는 예산을 쪼개서 저렴하고 성능 좋은 컴퓨터를 구입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오늘은 그 첫 번째 시간으로 컴퓨터의 핵심 중의 핵심 부품 CPU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저렴하고 성능 좋은 듀얼 코어 프로세서인 인텔 펜티엄 듀얼 코어(Intel Pentium Dual-Core) E2140과 AMD 애슬론64 X2 4000+ 브리즈번(Athlon64 X2 4000+ Brisbane), 그리고 보급형 싱글 코어 프로세서 중 최신 기술이 들어간 인텔 셀러론(Intel Celeron) 420과 AMD 스파르타(Sparta) LE-1100의 성능을 비교할 것이다.

항목

Intel Pentium
Dual-Core
E2140

Intel
Celeron 420

AMD
Athlon64 X2
4000+

AMD
Sempron
LE-1100

코드네임

Conroe

Conroe-L

Brisbane

Sparta

제조공정

65nm

65nm

65nm SOI

65nm SOI

소켓 방식

LGA775

LGA775

AM2

AM2

어 숫자

듀얼(2개)

싱글(1개)

듀얼(2개)

싱글(1개)

동작 클럭

1.6GHz

1.6GHz

2.1GHz

1.9GHz

시스템 버스

FSB 800MHz

FSB 800MHz

HT 2000MHz

HT 1600MHz

L1 캐시

64KB x2

64KB

128KB x2

128KB

L2 캐시

1MB (공유)

512KB

512KB x2

256KB

소비 전력

65W

35W

65W

45W

동작 모드

32bit / 64bit

32bit / 64bit

32bit / 64bit

32bit / 64bit

제조사

Intel

AMD

공급사

PC 디렉트

제이씨현시스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psydragon (ID) psydrago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0:06/ 신고
그렇죠. 싼 것들도 좀 끼워줘야죠. ^^
근데 싸나 비싸나 요즘 AMD 정말... ㅜ.ㅜ
폭풍전야 (ID)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0:14/ 신고
벤치마크 마무리 중에 셀러론 듀얼 코어 E1200이 출시되는 바람에 이번 벤치마크에서는 다루지 못했습니다. ㅠㅠ
현재 가격대가 애슬론64 X2 4000+와 경쟁하기 때문에 다음 벤치마크 때는 테스트 CPU로 펜티엄 듀얼 코어 E2140 대신 셀러론 듀얼 코어 E1200으로 진행할 계획입니다
mtb31 (ID) mtb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0:19/ 신고
'처음'페이지의 CPU정보에 브리4000 L2캐쉬 256x2로 되어있군요 수정을
pkwangn (ID) pkwang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0:26/ 신고
엄격한 비교대상에서는 이런 판단이 나오는군요... 조만간 저렴한 시스템을 구상중인데 아무래도 엠뒤로 가야겠네요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0:38/ 신고
윽.. 언제 브리즈번 3600+이 단종되고 로우엔드로 내려갔냐..ㅠㅠ 싱글코어를 구축하는 비용이 보드나 그에 호환되는 메모리 등의 가격을 생각하면 듀얼코어를 구축하는 비용과 큰 차이가 없는걸로 아는데요... 가격때문에 오히려 너무 낮게 잡아버리면 1년도 못쓰고 바꾸시는 분들이 속출..;
그래도 이런 로우엔드급 제품을 하드웨어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자주 다뤄줘야 소비자들 눈이 덜 높아집니다..=_= 잘 보았습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01/ 신고
690G가 G31보다 소비전력이 낮으면 낮았지 높지는 않습니다.
풀로드시에만 밀리는걸 보시면 클럭에 의한 100% CPU 탓인지 드러나는데요;

여튼 잘봤습니다만 한때 하이엔드 급이었던 4k 이상이 로우엔드로 불리게된
현실에 눈물좀 닦고 ㅠㅠ
wampa (ID) / 08-01-11 1:26/ 신고
기사 잘보았구요
AMD 듀얼유저로서 비교 잘보았습니다
수고 하셧습니다
y20303 (ID) y2030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43/ 신고
보급형제품으로 성능이 좋다고는 하지만 거기까지가 한계인것 같은데..상위모델부터는,,
asto2020 (ID) asto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11/ 신고
2차 캐시 수정 바랍니다.
음...노오버라면 AMD가 역시 매력적이라는...
오벌라면 100%오버를 자랑하는 2140이..
폭풍전야 (ID) 폭풍전야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40/ 신고
mtb31님, asto2020님이 지적해주신 L2 캐시 관련 내용을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호미니 / 08-01-11 2:48/ 신고
기사 잘읽었습니다. E1200빠진게 아쉽네요 ㅎㅎ
그냥, 보통의용도로 게임가끔, 인터넷하고 음악듣고 영화보구하면은,
페티엄이나 애슬론이나 다 만족할만하군요.
AS와 가격적 메리트 그리고 네임벨류를 보고 고르면되겠군요.
한가지 아쉬운점은 비스타 구동시 부팅시간을 넣어주셨으면 좋았을것을 ^_^;;
비스타 갈까말까 부근에서 더러 생각하는분들이 많더군요.

ahshutal (ID) / 08-01-11 5:10/ 신고
사용자의 needs 에 맞춘 좋은 기사라 보여집니다 모두다 하이엔드 시피유나 메인보드를 사용하는게 아니니까요 그러나 아쉬운 점은 현 가격대에 맞춘다면 2140하고 브리 4.2k가 조금 낫지 않았던가 싶네요 아니면 e1200 하고 브리 4k하고 하던지요 (기사 쓸 시점상 어쩔수 없었던듯 싶네요 ) 어쨋든 브리4k가 로우엔드 취급을 받는 사실에 (코어2듀오의 셀급인 e2140이나 진짜셀러론인 e1200 하고 같은 취급을 받는것에요) 눈물좀 닦아야 겠네요 어짜피 결국은 성능인것을
dongjou1490 (ID) / 08-01-11 5:21/ 신고
.. 2140.. 거의 100퍼샌트 오버클럭이 가능한 시피윤데.. 저런 애들하고 비교를 당하다니 ( -.-
kidnap (ID) kidnap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5:22/ 신고
제품선정은 머 완벽하군요 스파르타 저녀석은 벤치마크 해놓은거 찾기도 정말 어려웟습니다
@@ / 08-01-11 6:01/ 신고
문제는 2140 2.4오버 가뿐하죠.
4000+ 기본전압에 2.4나 2.6 겨우찍는걸로 아는데..
그렇게 되면 2140이 나을듯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6:53/ 신고
새로운 듀얼코어 셀러론은 들어가질 않았꾼요..듀얼코어 중에선 걔가 제일 막내인거 같던데..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9:28/ 신고
제품선정 괜찮은것 같기도한데 듀얼셀이 포함되었으면 좋겠네요 듀얼코어중 막내 인것 같은데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1:01/ 신고
이정도 사양만 하더라도 요즘에는 워낙 성능이 좋아서 쓰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죠.
gt75 (ID) gt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1:05/ 신고
오버클럭은 아무래도 다음 기사에 다루어 질것으로 보이니 다음기사를 기다려야겠습니다. P4 541을 10만원 초반에 사고 싸게 샀다고 좋아했지만 정말 격세지감이 느껴지네요.
dharma (ID) / 08-01-11 11:25/ 신고
안그래도 고민 중이었는데 많은 참고가 된 자료입니다.
역시 e2140 보급형으로 가야 될듯 합니다.
w8111 (ID) / 08-01-11 11:49/ 신고
사실 오버클럭때문에 변수가 생겨서 그렇지 오버클럭을 제외하면 거기서 거기인것 같네요.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1:54/ 신고
듀얼 보급형 라인업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더라도 충분히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싱글 프로세서도 일반적인 용도로 충분할 정도로 현재 CPU 의 가격대비성능은 좋아졌다고 생각합니다.
newz (ID) / 08-01-11 12:01/ 신고
제가 쓰고있는 2160은 어떤가요? 2140과 2160사이에 갈등을 많이했는대
최종적으로 2160을 선택했습니다.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2:35/ 신고
이제 셀러론 듀얼 코어 E1200이 출시되었으니 INTEL의 최저가 듀얼 코어 자리는 바뀌었군요. 얼른 성능 소개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2:40/ 신고
다음 로우엔드 벤치마크는 보드가 되겠군요,
전력 소모는 좀 더 있지만 amd 4000+ 잘 쓰고 있습니다!
hermes88 (ID) / 08-01-11 12:43/ 신고
로우엔드 벤치의 경우 참 드물던데...
어쨌든 친근하게 볼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빅파이 / 08-01-11 13:11/ 신고
빅파이 (ID) / 08-01-11 13:13/ 신고
벤치마크 잘보았습니다 로우엔드 벤치마크 구경하기 힘들더군요 ^^;
그래프에 연노란색인지 연녹색인지 표시를 잘좀 해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암튼 벤치 잘보았습니다
gimjeong (ID) / 08-01-11 13:16/ 신고
브리즈번4000 이나 인텔 E2140 이나 비슷한 성능이군요.
가격적으로 기타등등에서 판결이 날듯 합니다.
gimjeong (ID) / 08-01-11 13:16/ 신고
브리즈번4000 이나 인텔 E2140 이나 비슷한 성능이군요.
가격적으로 기타등등에서 판결이 날듯 합니다.
jin2006 (ID) / 08-01-11 13:33/ 신고
세컨컴이나 적당한 메인컴 고르는데 유용한 가이드가 될듯...
오버가 역시 변수군요..
kwnation2020 (ID) kwnation202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4:05/ 신고
세컨PC로 420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OC세팅중이라 기본성능을 잘 몰랐었는데 오늘 자세히 볼 수 있었던 기회였네요^^
bombcult (ID) / 08-01-11 14:44/ 신고
앗? 언제부터 AMD를 제이씨현이 공급했죠?
와 AMD 망하는거, 제이씨현이 한 몫하겠구나
kama136 (ID) / 08-01-11 14:51/ 신고
AMD도 가격대비 성능에서는 인텔과 비교해서 참 좋죠. 다만 현재 상황이 보급형에서는 e2140에 밀리고 중보급형이나 고급형은 완전히 전멸했다는게...
kor275 (ID) kor2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5:51/ 신고
역시 오버를 제외하고는 저가에서는 AMD가 더 매력적인것 같아요~ 인텔은 안정적이지만 좀 비싸다는거....;;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5:58/ 신고
두 제품 모두 성능도 비슷하고 효율도 비슷하니 선호도에 따라 선택해도 좋은듯합니다.
jackyang (ID) jacky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6:16/ 신고
잘보았습니다. 비슷비슷하는군요.
zeonis (ID) zeoni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6:37/ 신고
결론은 애스로브리스번이네요.. 이런걸로 홈씨어터 피씨만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godanhan (ID) / 08-01-11 16:39/ 신고
현재 세컨컴으로 셀420을 사용하고 있는데 2.6기가로 오버클럭했죠. 내장글픽은 인텔 GMA950인데 하드웨어 가속이 되질 않아 HDTV사용시 cpu 사용율 100%에 육박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세컨컴을 hdtv나 동영상을 즐겨보는 HTPC용으로 꾸밀때는 내장글픽이 반드시 하드웨어 가속이 지원되는 것으로 구매해야한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이것만 유념해준다면 세컨컴 cpu는 L420이 발열도 낮고 소비전력도 낮아 충분한 이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가격이 싸다는 것도 포함되구요.
luxion (ID) / 08-01-11 17:08/ 신고
인텔의 압승일거라 생각했지만 듀얼코어에선 인텔이 뒤진다니 좀 의외였습니다^^ AMD가 일반 소비자에게 더 가까이 오려는 느낌이 드네요^^ 일반이용자들은 오버클럭이 뭔지도 모를테니 오버클럭에 대해 언급 안한것은 집필의도와도 일치한다고 생각합니다~ 잘읽었습니다^^
blackchh (ID) / 08-01-11 17:11/ 신고
이제는 로우에는 눈길이 안가지고 하이쪽으로만 눈길이 가지네요. 이거 이러다가 지름신을 부름을 받을것 같은데...
rockcd (ID) rockc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8:26/ 신고
역시 노오버시는 amd 시피유가 더 매력적이네요.. 다음번 e1200 리뷰도 기대해봅니다.
royal (ID) / 08-01-11 18:32/ 신고
예전에는 상상도 못했던...5만원대 듀얼 코어 -_-;
어쨋든 세상은 많이 좋아졌음...
5만원 듀얼코어
5만원 그레픽 사운드 랜 등등 내장 메인보드
2만원에 1기가 메모리 -_-;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8:38/ 신고
지금 브리즈번 +4000 구입할까말까 생각중인데...ㅠㅠ
ktk7 (ID) ktk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19:02/ 신고
이거 완전히 도토리 키제기 같아요...서로 비슷비슷하네요.
가격도 저렴한데다가 어느쪽을 선택하느냐는 메인보드의 가격에 달려있겠군요.
chunjae972 (ID) / 08-01-11 19:55/ 신고
성능이 크게 우세할 수 도 없겠지만 성능은 역시 비슷비슷하네요.
mystory (ID) mystor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0:58/ 신고
브리지번 4000+ 는 달리 인텔 E2140 은 VT 기능이 빠져 아쉽더군요.
VT 기능만 있다면 E2140 을 선택하겠지만... ^^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1:24/ 신고
4000내지 2140으로 고르지 셀러론쪽은 아무래도 가격차이도 별로 없는데
newfundland (ID) / 08-01-11 21:30/ 신고
E2140은 3600+이랑 붙더니 이젠 4000+이랑 붙는군요.
E1200은 시장등장 초기라 가격조정이 되면 볼만 한것 같고,
4000+은 슬슬 단종된다는 분위기로...그럼 4200+이...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1:45/ 신고
뭐 다른제품들의 출시조짐을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게 될것 같네요.
mymoo2000 (ID) / 08-01-11 21:55/ 신고
2140과 3600 두제품중 뭘로 세컨컴을 할까 생각중입니다.
이런고민 하시는분 많죠.
그냥 쓰자면 amd 오버하면 인텔이더군요
각 제품 오버클러킹에 용이한 중,저가형 메인보드들 비교하면 대박날꺼 같습니다.
rubychan (ID) ruby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1 23:56/ 신고
로우엔드 CPU 비교기사 잘 보았습니다.
35W의 낮은 TDP 때문에 L-420을 선택했는데 괜찮은듯 하네요.

toupto / 08-01-12 0:14/ 신고
오버 테스트도 올려주셨으면 더욱 좋았을거 같습니다.
솔직히 2140 오버안한 상태는 무의미 합니다.
racedna (ID) racedn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2 10:09/ 신고
2140의 매력은 은박신공이죠
grankiriuse (ID) / 08-01-12 15:39/ 신고
역시 듀얼쪽이면 AMD인가..
chp61 (ID) / 08-01-12 19:47/ 신고
역시 인텔이네요, 풀로드시 전력을 꽤나 덜 먹는군요.
asuea (ID) asue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2 21:42/ 신고
역시 브리즈번 4000+ 최고!!! 왜냐 내가 쓰고 있으니까 ^^
et7124 (ID) / 08-01-13 0:18/ 신고
둘다 거기서 거기 인듯합니다.
오버클럭으로 보면 다른 결과가 나오겠지만...
nbametal (ID) / 08-01-13 2:12/ 신고
현재 제가 E2140 쓰고 있는터라 아주 관심있게 봤네요..잘봤습니다.
오버클럭 기사가 기대되는군요..
Colin / 08-01-13 6:05/ 신고
2주전에 셀로론 420 을 구입해서 아수스 P5N32-E SLI에 장착했는데요. 전압을 올리지 않고 3.0 Ghz 에 돌아가는군요. 물론 AMD sparta 가 일반 냉각으로 이런 오버클럭은 불가능하겠지만요. 1.6Ghz 에서 3Ghz 로 속도가 마니 향상 됬음에도 하프 라이프2 나 니포스 프로 스트리트 같은 겜을 고사향에서 돌리려니 같은 세팅의 E6600 보다 힘들어 하더군요. 또한 전압을 올리지 않아도 오버클럭하면 전력 소모가 커진다는것두 단점이 되겠네요. 제가 내린결론은 3만원대 의 프로세서로 셀로런 420은 가격대비 성능은 제일일듯 쉽네요. 오버클럭이 잘된다는것도 플러스.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3 7:54/ 신고
성능면에서는 큰 차이가 난다고 보기 어렵네요
결국은 구입당시의 플랫폼과 가격에 좌우가 되겠네요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3 18:49/ 신고
저가형 CPU에서는 AMD가 아직 죽지 않았네요.
2140이 큰 위협이 되긴 하지만 그래도 서로 얼추 비슷하니까요.
페넘이 어서 부활해서 인텔을 견제해주었으면 합니다.
yewtree923 (ID) yewtree9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3 20:30/ 신고
오버클럭 범위라든지 그에 따른 안정성에 대한 분석이 덫붙였음 좀더
완성도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 아니, 오버에 관심있어 하는 분들께
좋은 궁금증 해결이 되었겠죠 ㅎㅎ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4 8:58/ 신고
쿼드를 생각하면 2140 으로,
가격대 성능비라면 4000 으로
그냥 듀얼이 필요없으면 420 으로..
E1200 도 나쁘지 않을듯 하고..음
min832 (ID) / 08-01-14 11:05/ 신고
좋아...AMD로 가야겠군요..근디 보드는 어떤것이 좋은가요? 램도....
음악축제 / 08-01-14 11:28/ 신고
동영상 인코딩 관련 말인데요.
듀얼코어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옵션에서 Multi Threading 지원 옵션 체크를 해줘야 CPU를 두개 다 씁니다. 그렇게 해서 벤치하면 좀 다른 성능이 나오지 않을까나요..
yalgee (ID) yalg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1-14 15:02/ 신고
정말 보드나라 최고입니다.. 그래요.. 이런것이 필요했어요..
비싼 아이들 당연히 좋겠죠 ㅠ.ㅠ 하지만 돈이 부족한 사람들은 결국 저가에서 그나마 좋은걸 찾았어야 했는데... 뭐 그런 벤치마킹이 어디 있었어야죠..
정말 보드나라 감동 감동 또 감동입니다.
화이팅~!!
juwon210 (ID) / 08-01-14 19:00/ 신고
뭐.. 듀얼 >넘사벽>싱글 이네요. 듀얼코어들은 어차피 실사용할경우 별차이도 없으니, 고르는건 오버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이겟죠 ^^
라지만.. 저 같으면 미래의 부품교체(?) 상황에 더욱 유리한 인텔을 추천하겟지만 말이죠.
lvjy0103 (ID) / 08-01-15 1:40/ 신고
AMD가 다시한번 시장에서 주목받을 무언가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CPU . 램 값도 저렴해진 지금시점에... CPU한 4개... 램... 한 10개 장착할수 있는 그런 어이없는 엽기적인 보드를 만들어주던가.... 먼가 특별한 조치가 있었음 좋겠어요
절애 / 08-01-15 10:21/ 신고
어째서 리버전된 리마가 안끼고 샘프론 스파르타가 낀건지...리마도 끼우셨으면 좋을텐데요... 오버율로보나 L2캐쉬로 보나 현재 싱글코어중 최강이라 생각합니다...
darkb666 / 08-01-15 11:22/ 신고
420 과 가격이 비슷한 리마 le1600 으로 비교하는게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darkb666 (ID) / 08-01-15 11:23/ 신고
420과 le1600과 만원 차이나는군요 ㅡㅡ;;;
abh1 (ID) / 08-01-15 12:59/ 신고
담 벤치에는 리마도 껴주심이... 성능이 궁금해서
word1983 / 08-01-15 16:30/ 신고
2140@2.66(FSB1333), 4000@2.63(FSB250,HT 800Mhz) 테스트도 해주심 아주 감사하겠는데염. ^^;;
temz (ID) / 08-01-17 9:58/ 신고
로우엔드 유용한 정보네요.. 꼭 최고사양보다는 필요에 맞게 적당히 가격싸고 자신의 사용용도에만 맞다면 괜찮을 법 합니다. .. 서브컴퓨터나 다시..
kains (ID) / 08-01-17 12:16/ 신고
저가형도 쓸만하군요. :) 지금 서브컴으로 인텔이냐 AMD냐 고민하고 있는 저로서는 기사를 본 후 AMD쪽으로 마음이 기울어가고 있네요.
민주벤치 / 08-01-17 13:07/ 신고
언제나 가장 많이 팔리는 품목은 보급형 로우엔드 제품군들이죠.
현재 다나와 CPU 판매순위 1,2위도 브리4000과 콘로e2140이 차지하고 있구요.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제품을 벤치마킹하는게 벤치마크 사이트의 당연한 본분이겠지요.
그런 본분을 망각하고 소수의 하이엔드 유저들과 제조사의 이익을 대변하는 비민주적인(?) 벤치마크 사이트들이 대부분인게 문제라서 그렇지..
참으로 오랜만에 다수의 소비자를 위하는 민주적인 벤치마크 잘 봤습니다.
언제나 소비자의, 소비자에 의한, 소비자를 위한 보드나라가 되주시길...
땡사마 / 08-01-18 16:58/ 신고
동일클럭으로 오버클럭시 2140이 훨씬더 효율적인걸로 알고있습니다.
기본클럭이 e2140/1.6, 브리4000/2.1 .. 이상황에서도 벤치가 비슷한데...
2140은 보통3.0을 국민오버로 쓰죠. 4000은 2.8정도로 쓰구요...
보드가격을 생각해서 2140을 저가보드 은박신공으로 2.66만 써두 브리보다
가격대 성능이 더 뛰어날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e2140은 보드에 돈좀 더들여 3.0이상 오버하면 e6750정도 되는 성능을 볼수 있죠)
땡사마 / 08-01-18 17:39/ 신고
게다가 2140은 기본쿨러로 3.0찍는데 반해 브리4000은 사제쿨러를 달지않는 이상 고클럭 오버가 힘들죠... 전압도 2140은 대부분 기본전압이거나 그근처에서 3.0찍구요... 뭐 오버를 안한다는 가정하에는 브리쪽 손을 들어주고 싶네요... 하지만 나중에 업글을 생각하거나 오버를 하실분은 2140쪽이 좋지 싶습니다.(브리4000에 쿨러 보드 살돈으로 2140에 보드 하는게 효율적 일듯 게다가 성능두요)
에스플리즈 / 08-01-19 2:28/ 신고
벤치내용을 보면 결국
콘로e2140(1.6g) vs 브리4000(2.1g)의 대결인데 성능의 거의 비슷하거나 콘로쪽이 근소하게 앞서네요.... 그래도 무려 0.5기가나 차이나는환경에서 비교한데이터라 많이 아쉽네요... 동클럭에서 비교했음 확실한 차이를 볼수 있었을텐데.....
두번재는 스파르타1100(1.9g) vs 셀러론콘로420(1.6g)의 대결인데.. 역시 0.3기가나 차이남에도 불구하고 셀러론콘로쪽이 앞서는군요..
잡화상 / 08-01-21 22:58/ 신고
과연
2140의 잠재능력(오버클럭)이 만원값도 못한다는말인가.....
humanist23 (ID) / 08-01-22 9:55/ 신고
벤치마크 잘보았습니다.
대부분이 최고의 성능을 판가름하는 벤치마크 내용만 보다가 좀더 현실적인 벤치마크 내용을 보게 되네요.

수고하셨구요.

앞으로도 좋은 내용의 벤치마크 기사 부탁드립니다.
잡상인 / 08-01-22 11:12/ 신고
로우엔드 벤치마크에서 주 타깃이 될만한 소비층에게 오버가 무슨 의미가 있을지요

아무리 그래도 여기가 벤치마크 싸이트인 이상 로우엔드 피씨를 상위 파워유저의

눈으로 보려는 분이 대다수인 것 같습니다.

더구나 씨퓨만 따지면 오버시 2140이 좋다 하더라도 오버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보드 값까지 따지면 결코 같은 가격 비교란 말을 할 수가 없으리라 봅니다.

잡상인 / 08-01-22 11:16/ 신고
아무래도 여기 분들의 관념이 이 기사의 작성자 분과

실제 소비층의 마인드를 따라가지 못 하는 듯 합니다

애들을 위해선 부드러운 애들의 눈으로 보고

전문가를 평가하기 위해선 전문가의 엄격한 비평적 관점에서

봐야하는 법인데, 로우엔드 저렴하고 신경 덜 쓰려는 장에서

오버라...여태껏 보아왔던 보드나라 댓글중 가장 안드로메다로 간 댓글 같습니다.
animatus (ID) / 08-01-24 9:43/ 신고
인텔과 AMD 보급형 듀얼코어의 성능이 비슷하군요.
Longinus / 08-01-25 1:28/ 신고
E21X0를 오버클럭용으로 구입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그냥 노오버로 쓰시는 분이 훨씬 많을 듯 한데요? 실제로 오버클럭은 커녕 시모스가 뭔지도 모르시는 분이 인텔이라고 떡하니 E2140으로 견적문의 넣는 경우도 있습니다...그럼 오버클럭을 배우라고 할까요?^^
NULL / 08-02-01 0:30/ 신고
Celeron 420 SpeedStep 미지원인것 같은데요?
http://www.intel.com/products/processor/celeron/
sang55 (ID) / 08-02-02 16:54/ 신고
좋은 정보네요. 잘보고 갑니다.
polkapoka / 08-02-06 9:53/ 신고
,암만봐도 애슬론64x2가(브리즈번) 이최고인거같은데...모든수치상으로도..L1,L2,동작클럭까지뭐하나딸리는게없는데..가격도 E2140보다싸지요>?아마??
흠냐.. / 08-02-07 19:21/ 신고
콘로 오버 극강이라는 댓글에 항상 달리는게 '어려운 오버 안하고 그냥 쓰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이군요.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 정말 오버를 제대로 알고 하는 말인지..정.말. 쉽습니다. 주위(교회,친구)사람들 이제 오버 모르는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15분이면 설명 끝이니간요. 그냥 컴터키고 del키 연타해서 파란화면상에 들어간 후 cpu FSB를 어디서 변경하는 지만 보여주면 끝인데요. 무슨 333 먹여서 극오버를 노리는 것도 아니고 걍 300이나 266만 써넣으면 되는데..그게 어렵나요? 오버 가능한 보드값이 비싸다구요? P35 검정말 보드가 현재 7만원대입니다. 이게 비싸다면 할 말이 없군요. 이렇게 늘어놓는건 오버가 어렵다어렵다 하면서 지레 겁주는 댓글이 그만 좀 달렸으면 해서입니다. 266. 이 숫자만 집어넣어도 몇 만원 버는 것을..
잡상인 / 08-02-09 21:57/ 신고
흠냐.. /

혼자 리플 달고 혼자 헛소리 하고 혼자 노는 모습이 전형이 아닐련지...

개구리 올챙이적 모른다고, 뭔가 좀 알면 모르던 시절은 전혀 이해조차를 못 하는가 봅니다. 뭐 하나 제대로 가르쳐 본 적 없는 사람이 "간단하다" "그런 쉬운 것도 모르냐" 이러는 법입니다. 진짜 어려움이란 아는 사람은 정말 이해하기 힘든 무지한 사람의 그 무한하고 기상천외한 오류발생과 그 무지한 사람의 자체 오류수정 능력이 전무하다는데 포인트가 있는데 그것을 캐취할만한 능력이 그런 말 하는 사람치고 있는 것을 못 봤습니다.

더구나 오버에 관해 달렸던 댓글들의 오버 수준이 딱 봐도 그런 찍찍 깔짝깔짝 싸대는 오버 수준이 아닌데 ( 이미 오버로 E2140 하고 브리를 비교할 정도면 ) 오버는 그렇게 쉽다면서 정작 사람들이 쓰는 글 읽는 것은 어려워서 그러시나 봅니다... 글도 못 읽으면서 오버는 잘 아는게 뭐가 그리 자랑이 될까 의문입니다 정말.

잡상인 / 08-02-09 22:05/ 신고
더구나 보드 문제도 현가하고 옛날가가 다르고 그 당시 요구되던 스킬과 지금 요구되는 스킬이 다른데 어떻게 단순 비교가 되는지 모를 일. 은박 신공 흑연 신공 할 적의 것으로 쉽다는 말은 어찌 나올련지 모르겠습니다.

뭐 알면 다 쉽죠..하하
Longinus / 08-02-10 17:36/ 신고
나도 CPU+RAM, VGA 오버해서 쓰고 있는데, 파코즈를 알기전엔 오버에 오자도 몰랐습니다. 시모스의 시자조차 몰랐고요. 거기다 오버천국인 파코즈에서조차 오버하는 사람이 절반입니다. 물론 대부분 할줄 아시겠지만...어쨋든 몇몇 오버클럭커의 착각과는 다르게, 난이도를 떠나서 오버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자신과 특징이 비슷한 사람들을 자주보니 그 특성이 일반적일것이라고 생각하면 그건 착각이죠.
yeol11 (ID) yeol1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2-12 13:27/ 신고
오늘읽게 됬는데...
이제는 amd에서는 4200 으로 가야 할것같네요.
4000의경우 단종되어 가격이 점점 올라가고 있고...ㅎㅎ
mytoon (ID) / 08-02-16 15:05/ 신고
3600+ 오버 사용중인데... 가격대 만족스런 결과네요^^
emirin1984 (ID) emirin198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3-07 11:38/ 신고
브리즈번도 오버 잘 됩니다..
조금 과장해서 인텔 광신도분들은 인텔을 장점만 너무 부각시키시는데..

물론 코어시리즈가 명품이라는 것에 절대 부정은 하지않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AMD의 제품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고 보는 시선도 좀 안타깝네요

저는 브리즈번 3600을 기본전압 + 0.1V로 2.8G로 오버해 썻습니다만, 상당히 가격에 비해서 만족하게 썻습니다^^

사실 저가형에서는 좀 더 빠릿빠릿한 반응이 오는 AMD쪽이 체감사용할때.. 뭐랄까..
기분이 더 좋달까요..ㅎㅎ
gossamer (ID) / 08-03-11 16:33/ 신고
뭐 싼 cpu는 역시 오버해서 몇배 비싼 시퓨랑 비슷한 기분을 느끼는 맛에
제 2140도 기본전압에 1.6시퓨가 2.85 정도 오버 되고 밥 조금만 더주면 그냥 3기가대 넘어가니 체감성능이 엄청 상승하죠.
gskjh1004 (ID) / 08-03-13 16:54/ 신고
음 요즘 컴 하나 더 보려고 하는데 로우엔드 벤취마크는 거의 첨 보는군요.. 신선하면서도 솔깃한데요 ㅎㅎ
gibmelove (ID) gibmelov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4-12 1:26/ 신고
음..확실히 쓸만한 보드값까지 생각한다면
지금 대세는 AMD라 생각됩니다.
780G라는 훌륭한 녀석이 있으니까요.

요즘 브리즈번도 기본전압에 어지간히 오버 되기 때문에
괜찮은 것 같습니다^ㅡ^
어이없음 / 08-07-12 11:19/ 신고
CPU Spec 만을 표시해놓고 무슨 벤치 마크라고 하는지 알 수가 없음.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1/11] 프로젝터매니아 빔톨 스페이스쉽 디자인이 독보적인 미니빔 출시!  
[01/11]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사전등록 시작  
[01/11] MSI, 2025 플레이엑스포 부스 오픈..'게이밍 AI 체험존' 본격 운영  
[01/11] ‘에오스 블랙’ 1주년 기념 전야제 업데이트 실시!  
[01/11] 클래식 파밍 MMORPG ‘아드’ 정식 서비스 개시  
[01/11] 넥슨, ‘어둠의전설’, ‘기사단 임무’ 업데이트 실시!  
[01/11] 웹젠, ‘뮤 모나크’ 최대 레벨 확장 업데이트  
[01/11]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6주년 그랜드 페스티벌 업데이트 실시  
[01/11] 마이크로닉스, 컴퓨텍스 2025서 전략 신제품 공개  
[01/11] ‘플레이투게더’, ‘드래곤빌리지’와 두 번째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  
[01/11] 유니씨앤씨, '프리미엄의 진수' 삼성 갤럭시북5 프로, 5월 23일 아울렛위크 쇼핑 LIVE 진행  
[01/11]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그래플러’, ‘스핏파이어(여)’ 신규 전직 2종 출시!  
[01/11] 웹젠, 자체 개발 서브컬처 신작 테르비스 CBT 참가자 모집  
[01/11] 인피니언, 한화 NxMD와 자동차 무선 커넥티비티 혁신 위한 파트너십 체결  
[01/11] ams OSRAM, 3D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IR 레이저 광원 출시  
[01/11] 지클릭커, 예쁘고 손 편한 사무용 인체공학 로우키 풀윤활 키보드 EK500 출시  
[01/11] 넥슨, '메이플스토리' 여름 사전 이벤트 ‘썸머 카운트다운’ 실시!  
[01/11] 세컨드퀘스트, 차세대 방치형 RPG ‘디바인엣지’ PlayX4 2025서 첫 공개 보도자료 배포 요청의 건  
[01/11] 시소닉, 12V-2x6 커넥터 보호 강화한 차세대 프라임 시리즈 PSU 공개  
[01/11] SK하이닉스, 321단 낸드 기반 UFS 4.1 설루션 제품 개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