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음성으로 글자 입력 모바일 서비스 선보여 |
|
2010-10-06 11:43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
|
|
|
|
구글(Google)코리아에서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를 선보였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6월 출시해 구글 모바일 전체 검색의 2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를 끈 음성 검색의 성공에 이어 음성 지메일(Gmail), 음성 구글 토크(Google Talk) 등 스마트폰에 대고 음성으로 말하면 이메일이나 채팅 내용 등을 텍스트로 입력해주는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를 선보였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편의성이다. 음성 지메일, 음성 구글 토크 및 음성 문자는 거리를 걷거나 차량 이동 중 혹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해 스마트폰 사용의 근본적인 걸림돌을 해소해준다.
구글코리아는 특히 구글만의 독보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를 통해 휴대폰 프로세서만으로는 불가능한 빠른 속도와 높은 정확성을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영어에 이어 한국어가 전세계에서 두 번째로 지원되는 언어다.
음성 검색에 이어 이번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의 개발을 이끌어온 마이크 슈스터(Mike Schuster) 구글 음성인식 총괄 연구원은 "지난 6월 선보인 음성 검색의 경우 정확한 웹페이지를 찾기 위한 검색어 중심의 데이터 훈련이 주요했다. 반면,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들이 실제 사용하는 문장을 정확히 소화해야 하는 또 다른 도전과제였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위한 다양한 기술적 업그레이드뿐만 아니라 블로그, 뉴스 등을 통해 한국인이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수백만개의 어구 및 문장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으로 시스템을 보다 정교화했다"고 설명했다.
'말로 쓰는 구글 모바일 서비스'는 안드로이드 2.2 버전에서 사용 가능하다. 국내 출시된 스마트폰 가운데는 LG 옵티머스원에 기본 서비스로 탑재되며, HTC 넥서스원, 디자이어 같은 안드로이드 2.2 버전의 스마트폰에서도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구글 한글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갤럭시S 등 향후 안드로이드 2.2로 업그레이드 되는 스마트폰에서도 이용이 가능해 진다.
구글코리아는 앞으로도 네비게이션 작동이나 음악 파일 재생하기, 전화 걸기 등이 가능한 음성 액션 서비스나 음성으로 입력하면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해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통역 서비스 등 구글의 독보적인 음성인식 기술을 응용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에 힘입어 국내 구글 모바일 검색량은 9월 말 기준으로 올해 초보다 19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
|
|
|
|
|
|
|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
|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