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Core2 Duo와 잘 어울리는 P965 메인보드! MSI P965 Platinum

2006-09-18 15: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2. P965 + ICH8R의 조합과 4Phase 전원부 구성




 

 

 

 

 

 

 

여기서는 MSI P965 Platinum이 제공하고 있는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는 칩셋들로 직접 확인해보고 전원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Intel P965 Express + ICH8R, 그리고 JMB361

사용되고 있는 칩셋은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Intel P965 Express MCH와 사우스브릿지인 ICH8R이다. MSI의 Platinum 제품은 보급형보다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는 상위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경쟁사들의 동급에 해당하는 제품들과 비교하면 사용되는 칩셋들의 방열판이 다소 간소하다. 현재는 소음을 고려하여 쿨링 팬이 장착된 쿨러들보다 무소음인 히트파이프를 적용하여 알루미늄 방열판들보다 높은 쿨링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변경되고 있다. Platinum 타이틀을 가진 만큼 히트파이프를 사용하는 등 좀 더 고급형의 이미지를 주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Intel P965 Express MCH + ICH8 블록 다이어그램]

P965 Express 칩셋은 FSB 533/ 800/ 1066MHz를 지원하며, Celeron D/ Pentium4/ Pentium D/ Core2 Duo CPU 등을 모두 지원하고 있다. 또한, Intel Fast Memory Access를 지원하고 메모리는 최대 8GB 확장이 가능하며 DDR2 400/ 533/ 800MHz를 지원하고 최대 12.8GB/s의 대역폭으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인텔 플렉스 메모리 기술로 다양한 메모리 크기와 설치 방법을 제공하여 유연한 메모리 구성이 가능하게 해준다.

ICH8R은 SATA2를 지원하여 SATA RAID 0, 1, 5, 10, Matrix Storage 기술을 지원하고 기존 ICH7 시리즈 보다 2개 늘어난 총 6포트의 SATA2 지원 포트를 제공한다. 대신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을 가진 PATA를 삭제하여 불편한데 메인보드 제조사들에서는 기존 PATA 사용자들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PATA를 지원하는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USB 2.0 지원도 8포트에서 총 10포트로 증가되었다. 인텔 HD Audio (Azalia)는 기존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인텔 저소음 시스템 기술로 시스템의 팬속도를 자동 조절하여 소음을 줄여 조용한 PC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JMicron JMB361 : PATA와 SATA 추가 지원]

[Dual CoreCell과 6포트 SATA2, SATA와 IDE 추가 지원]

MSI의 최근 메인보드들에서는 기존의 Micro Core Cell을 개선한 Dual CoreCell 칩셋을 장착하고 있다. Dual CoreCell은 하드웨어 모니터링을 비롯하여 바이오스 및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 D.O.T. 기술로 성능 향상, 윈도우 시스템의 Dual CoreCenter로 모니터링 및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그 외에도 VGA Core Cell 3D 기능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종합하여 Dual CoreCell이라 부른다.

P965 Express 칩셋은 새로운 사우스브릿지인 ICH8 시리즈와 구성되는데 ICH7시리즈와는 다르게 PATA를 삭제하여 기존 사용자들에게는 상당히 불편한 부분이 되어 버렸다. 그에 따라 메인보드 제조사들은 기존 사용자들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PATA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현재는 JMicron의 JMB361과 같은 컨트롤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MSI P965 Platinum은 이 컨트롤러는 SATA2 지원 포트 1개와 IDE 커넥터를 한 개 지원하고 있다. 이 컨트롤러의 경우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바로 윈도우를 설치가 가능하다.

 

4Phase로 구성된 전원부

[4Phase의 전원부로 구성된 MSI P965 Platinum]

[Dual MOSFET 드라이버 ISL6612/ 박스 타입 코일/ 캔형 캐패시터]

[ISL6322 PWM 컨트롤러 : 3Phase의 전원부 구성이 가능]

전원부의 구성은 총 4Phase로 구성되는데 ISL6322 PWM 컨트롤러의 경우 2-3Phase의 전원부 구성이 가능한 컨트롤러로 외부 PWM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4Phase의 구성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MSI P965 Platinum은 4Phase의 구성을 위해 ISL6322 PWM 컨트롤러와 ISL6612 듀얼 모스펫 드라이버를 추가하여 4Phase의 구성이 가능해졌다.

입력부에는 마쯔시다 전기산업의 신뢰성이 높은 저 임피던스용 16V 1000uF 용량의 캐패시터가 4개 사용되고 있으며, 전체 메인보드에 대부분이 이 마쯔시다 전기산업의 캐패시터들이 골고루 사용되었다. 신뢰성과 안정성은 일본 케미콘과 더불어 마쯔시다 전기산업의 캐패시터들이 인정받고 있다. 현재의 전원부 구성은 실제 판매될 제품도 4Phase로 동일할 것이지만, 사용되는 부품들은 샘플 제품과는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전원부 근처에는 서버용에 사용하는 8핀 구성이 되어 있는데 일반 데스크탑 구성에 보통 보조 전원으로 구성하는 4핀을 사용하므로 나머지 4핀을 막아 놓고 있다. 그 바로 아래로는 PCI-Express x16 슬롯에 추가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4핀 HDD/ODD용 전원 커넥터를 연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MSI P965 Platinum에 사용되는 Intel P965 Express MCH와 ICH8R 등과 전원부를 살펴보았는데 나머지 부분들은 다음 페이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전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mygirl2 (ID) mygirl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18 17:27/ 신고
일단 SLI를 구성 할 수 있는점이 매력적이네요.
오버에도 강할까 궁금하군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18 18:15/ 신고
SLI 좋다!!!!!
MMZ / 06-09-18 20:28/ 신고
뭔가 아쉬운 느낌음 왜일까요?

꼭 필요하지 않다하지만 히트파이프에 부재,

오버는 하지도 않으면서 없으면 허전한 오버옵션의

부족함.. 나름대로 고급형인데 가격에 비해서는

그냥 아쉬운 느낌만 드네요...

불현듯 6163이 생각납니다.
jin2006 (ID) / 06-09-19 0:27/ 신고
Platinum 이란 칭호에는 여러가지로 부족한...
id4002 (ID) / 06-09-20 5:42/ 신고
바이오스좀 신경써주고 오버만 약간 된다고 해도 괜찮을꺼 같은데 2%부족한 느낌..
tibob (ID) tibob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21 8:32/ 신고
크파도 지원한다고 하는 점에서 매력적이지만
왠지 많이 빠진듯한 느낌은 뭘까요?


그런데... 가격은 얼마에요?
korstds (ID) korstds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23 1:32/ 신고
이것저것 뭔가 빠진부분이 많은거 같지만 그만큼 가격적인 이점이 있다면 괜찮을거 같네요..
hyeonsig (ID) / 06-09-23 4:38/ 신고
MSI 는 제품구성등을 보면 좋아 보이지만,
역시나 사용하기에는 아쉬운 점도 좀 있고....
yunkj (ID) yunkj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23 16:01/ 신고
MSI플레니늄이라고 하기에는 좀 부족한 감이 있군요.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24 14:23/ 신고
프레티늄 제품이 나왔구요. MSI제품이 가격대 성능이 괜찮아 선호하는 편입니다.
zooc80 (ID) / 06-09-24 17:08/ 신고
SLI를 구성할려면 많은 추가비용이 드는 만큼 저렴하고 성능좋은 제품이 마음에 들던데 $_$
godanhan (ID) / 06-09-24 20:55/ 신고
이름하곤 썩 어울리진 않지만 msi가 주는 가겨대 성능비는 좋아보이는군요.
ceoh (ID) / 06-09-24 22:42/ 신고
뭐 그냥 남 조립해줄 땐 무난하겠네요^^
alphonse (ID) alphon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24 23:37/ 신고
럭셔리 해보이기는 한데 음 비용에 비해서는 좀 그런것 같네요
lhslee (ID) / 06-09-29 5:14/ 신고
뭔가 아쉬운 느낌음 왜일까요?
ldwlim00 (ID) / 06-09-30 3:26/ 신고
SLI 좋다!!!!!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30 11:22/ 신고
역시 엠에스아이 보드가 전 젤 맘에 드는군요
jlee95 (ID) jlee9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30 12:45/ 신고
MSI 최고 제품이군요. 콘로를 사용하고 싶다면 이 보드도 좋을 듯
gimjeong (ID) / 06-09-30 14:56/ 신고
945에서 965의 오버 기능이 들어가 있다면..ㅠ_ㅠ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9-30 21:11/ 신고
965P 제품 중에 고급형 제품 중에서는 타사에 비해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입니다.
northwindv (ID) northwindv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1 4:53/ 신고
조금 어중간한 제품인듯~~글픽슬롯 하나쯤 빼면 가격도 조금 떨어질텐데..
ronaya (ID) ronay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1 13:45/ 신고
역시.. MSI보드는.. 뭔가 부족한 느낌이...
yuhwa (ID) yuhwa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1 17:49/ 신고
MSI의 965칩셋을 사용한 최고의 제품이군요.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1 19:37/ 신고
MSI 신중하게 제품을 출시좀 하지
첫제품에서 인기상실을 했으니 회복하려면
심혈을 기울여야 할듯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1 20:01/ 신고
msi는 너무 기본성능에만 중점을 두고 있는게 아닌가 싶더군요 좀더 오버클럭기능을 강화 시킨 제품을내놓는것도 좋을것 같은데..
jenjinman (ID) jenjinm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3 4:48/ 신고
MSI의 고급 보드네요...오버까지 좀더 강력해졌으면 좋겠네요.
lyongu (ID) / 06-10-03 12:09/ 신고
오.. 멋지군요..
ryangedu (ID) / 06-10-03 23:22/ 신고
멋지긴 하지만 가격적으로 비싸보이는데..
pksps (ID) / 06-10-05 12:35/ 신고
안정된 SLI구성을 원하신다면 이제품도 좋은 선택일듯..오버는 msi제품인만큼 기대는 안하는게..ㅎㅎ;;
koysin (ID) koysi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05 19:05/ 신고
고급스럽지만 가격이 비쌀것 같네요.
wineagle (ID) / 06-10-08 6:52/ 신고
검정색기판이 고급스러워 보이네요
himne (ID) / 06-10-09 23:16/ 신고
Platinum 이란 칭호에는 여러가지로 부족한...
lyongs00 (ID) / 06-10-09 23:34/ 신고
오버까지 좀더 강력해졌으면 좋겠네요
loveiskim (ID) / 06-10-15 15:25/ 신고
오버가 잘되야죠..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10-16 17:20/ 신고
크로스파이어 없이 2개 카드 사용할 일이 있나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9/18] MSI, 다수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수상  
[09/18] PC 이용자를 위한 더 편하고 쾌적한 조명, 벤큐 스크린바 헤일로2 출시 간담회  
[09/18] 토탈 이미징 솔루션 기업으로 이어진 40년, 캐논코리아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  
[09/18] 유니씨앤씨, 5월 16일 오전 11시, 가정의 달 특집 삼성전자 갤럭시북5 프로 LIVE 진행  
[09/18] MSI, 컴퓨텍스 2025에서 획기적인 PC, 메인보드 라인업 공개  
[09/18] MSI, COMPUTEX 2025에서 다수의 수상 영예  
[09/18]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GRADIUS’ 40주년 기념 ‘GRADIUS ORIGINS’ 음원 공개  
[09/18] PC업계가 게이밍 마케팅 꿀을 그만 빨고 새로운 메시지를 내놓아야 하는 이유  
[09/18] 탁상 위 프리미엄 냉방 혁신, 디앤디 ‘라이브박스 탁상용 서큘레이터’ 출시  
[09/18] 뉴트리불렛, ‘울트라 플러스(Ultra Plus+)’ 출시  
[09/18] 뷰소닉, 무선 미러링 캐스트 ‘뷰쉐어(WPD-900)’ 출시  
[09/18] 넥슨, ‘마비노기’ 21주년 판타지 파티 ‘NEW RISE’ 6월 21일 개최  
[09/18] 넥슨, ‘마비노기 영웅전’ 성장 구간 개선 업데이트 실시  
[09/18] 사운드캣, ‘플레이엑스포 2025’ 참가, 게임 전용 음향기기 및 하이엔드 인이어 선보일 예정  
[09/18] 웹젠 ‘샷온라인’, 펫 시스템 및 광장 업데이트  
[09/18] 컴투스 ‘낚시의 신’, 하림 더미식 ‘오징어라면’과 이색 컬래버레이션 진행!  
[09/18] 에이수스, NVIDIA GB10 탑재한 개인용 슈퍼컴퓨터 ‘AI MiniPC GX10’ 출시  
[09/18] 제이씨현,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메인보드 출시!  
[09/18] 본격적인 순위 경쟁의 시작! 2025 OWCS 코리아 스테이지 2, 2주 차!  
[09/18] 넥슨, 카트라이더: 드리프트와 아르포텐 컬래버레이션 실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