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레퍼런스 Leadtek WinFast GTX 280 1GB로 알아보는 GTX 280 성능편

2008-06-19 00: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게임 그 이상을 강조한 NVIDIA의 GTX 200 시리즈 등장!

NVIDIA는 지난 컴퓨텍스 2008을 통해 병렬 컴퓨팅과 그래픽 프로세싱 아키텍처를 모두 고려하고 이전 세대의 GPU 성능을 개선한 새로운 GeForce GTX 200 시리즈 GPU를 발표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새롭게 등장한 GeForce GTX 200 시리즈 GPU들은 그 동안의 데스크탑 그래픽 카드들이 대부분 3D 게임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던 것과 달리 영상 인코딩이나 물리엔진 가속 등의 범용 목적에도 활용이 된 다는 것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GPU이기도 하다.

그동안 G80/ G92의 GPU들 역시 CUDA를 통해 범용 목적의 활용에 대해 언급되었지만, GPU의 성능의 한계 등으로 활발한 사용이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새로 등장한 GeForce GTX 280은 싱글 GPU로 이전 세대의 듀얼 GPU에 근접하거나 일부는 넘어서는 성능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처리 성능의 향상을 통해 범용 목적에의 활용성을 더 높여주고 있다.

[게임 그 이상을 위한 GTX 280 제품 등장!]

오늘은 NVIDIA에서 내놓은 새로운 GeForce GTX 200 시리즈 중 플래그쉽 제품에 해당하는 GeForce GTX 280을 통해 이전 세대보다는 얼마나 성능이 향상되었고 범용 목적에의 다양한 활용 부분에 대해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한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0:12/ 신고
소비전력과 발열을 제외한다면, 여러모로 신작다운 퍼포먼스 입니다.
가격이 꽤 비싸긴 하지만, 이 제품들이 아니라 앞으로의 메인스트림이 빨리 나왔으면 하는 바람이 생겼습니다.
jung21 (ID) / 08-06-19 0:45/ 신고
빨리 공정 전환된 저렴하고 저전력인 GTX를 보고 싶게 하네요.
kumi012 (ID) kumi01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13/ 신고
무척 뛰어난 성능에 여러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문제는 가격이 너무 비싸네요. 가격이 조금 더 내려가야 할 듯 합니다.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47/ 신고
확실히 단일칩 몬스터임에는 분명하지만
이 성능에 대한 평가는 추후에 4870이 등장한 이후에 이루어지겠죠.

88Ultra와의 비교가 없었던게 좀 아쉽네요 ^^;

덧. 3 page의 TDP 관련 설명에서
[GeForce GTX 280은 최대 236W, GTX 280은 182W TDP를 갖는데]
<- 후자는 GTX260 인듯 :)
heaye / 08-06-19 5:12/ 신고
DX10 에서의 nVIDIA의 성능이 놀랍습니다.
AMD도 말로만 10.1 떠들지 말고 DX10.1의 성능을 올려야 할듯.
capnemo (ID) / 08-06-19 6:40/ 신고
글쎄요, 엔당이 DX10에서 이정도까지 선전해주면 AMD/ATI진영은 10.1에 대한 것보다는 되려 11쪽에 신경을 쓰는 게 좀 더 나을지도? 아니면 10쪽의 성능을 올려줘야 그나마 경쟁이 될듯. 현재 나오는 게임들이나 차기 게임들이 거의 10쪽에 몰려있을 것 같은데요. 엔당이 게임 스폰을 잘해주는 마당이라 게임 개발 업체들이 굳이 10.1로 갈 메리트가 없지 싶어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6:58/ 신고
하루빨리 45나노 공정을 적용한 280/260 제품이 나와야겠네요,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전력소모가 장난 아닌데요
lordstar (ID) lord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8:31/ 신고
다이렉트10에서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주는군요.
멀티미디어 지원만 제대로 해준다면 아주 좋은 그래픽으로 평가 받을것 같습니다.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8:58/ 신고
엄청난 성능은 인정할 만 하네요. 하지만, 발열과 소비전력...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힘든 부분입니다. 저전력 저발열.. 그리고 가격.. 이러한 부분이 일반사용자들이 고려할 수 있는 부분인데 프로그래쉽 다운 면모를 보여주는군요..
jackyang (ID) jackyang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9:37/ 신고
beyond game에 캐치플레이에 걸맞는 성능은 보이지만 발열과 소비전력은 좀 그렇네요.
gt75 (ID) gt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9:50/ 신고
이제 곧 발표될 ATI 4800시리즈의 성능에 따라 GTX200 시리즈의 성공여부가 판가름 날것으로 보입니다.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0:43/ 신고
아직 동영상 재생에서는 AMD가 우위긴 하네요. 정확한 비교는 4870이 나오고 나서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만, 확실히 DX10에서의 성능은 인상적입니다.
dgtel (ID) / 08-06-19 12:37/ 신고
김치국 먹었다간 4870에 엄청 두들겨 맞는 결과가 초래할 수도있겠군요.
저 정도 실력으로는 9800GX2를 이겼다고 보기도 힘들고 공정이 미세화되지 않은 관계로 4870이 나오면 소비전력측면에서도 두들겨 맞는 현상이 나올 듯한데..
왜 nVIDIA는 DDR4를 지원하지 않고 DX10.1도 지원하지 않는지 이유를 모르겠네요.
이 둘을 지원하는 비장의 또다른 카드가 준비되어 있는지...
tkdchan (ID) tkdcha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2:43/ 신고
ati 4800시리즈가 나와봐야 정확히 알겠네요
king8407 (ID) king840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2:54/ 신고
4800과 200시리즈중에 4800대 기대하시는분들이 많으시던데..
kyta123 (ID) kyta1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3:13/ 신고
확실히 성능은 좋아졌다고 볼수 있지만 소비 전력부분은 기대치 이하군요,
TDP가 236W라면 적다고 볼수는 없겠죠.
jin2006 (ID) / 08-06-19 14:41/ 신고
다른건 몰라도..국내사정상 누진제이기에...
가정에서 사용하기엔 부담이 상당할듯.
sinsangs (ID) / 08-06-19 16:07/ 신고
성능도 좋지만 소비전력이 너무 높네요.
jinnei77 (ID) jinnei77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6:47/ 신고
45나노 공정으로 개선되지 않는한 전기세 부담은 꽤 되겠네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8:03/ 신고
성능이 많아 좋아졌는데 아직은 그 높은 정도가 아주 높은 것인지 아니면 그냥 높은 것인지 비교 대상이 없어서 모르겠네요. 4850/4870이 나오면 그 상대평가를 내릴 수 있을것 같네요. 게임 그 이상에 기대를 걸게되는듯한데 가격이나 온도나 소비전력등이 좋지 않은쪽으로 그 이상이네요.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8:21/ 신고
가격과 성능대로라면..
GTX280보단 3870 x2 를 구입하는게 더 괜찮겠군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8:54/ 신고
대부분의 고사양 게임들이 NVIDIA 그래픽 카드에 최적화 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공정한 성능 비교가 힘든 느낌이 듭니다. AMD에서 곧 출시할 라데온 HD 4800 계열 그래픽 카드들이 GTX 200 계열 제품들과의 경쟁에서 드라이버 및 게임 최적화 미흡으로 본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 하는 것은 아닐지 염려되는군요.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19:28/ 신고
고사양이긴인가 봅니다...GTX280 SLI는 어느정도 성능을 뽑아줄런지...
eungjun81 (ID) / 08-06-19 20:29/ 신고
4850 CF성능이 장난이 아니라는 소문이 있더군요. 그것도
국내에서 관련 사이트 VGA벤치마크 하시는 분이 말이죠.
GTX280 성능을 크파로 넘겨버린다는 데 일단 가격대 성능비에서
아주 좋은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까요?
280 가격을 499로 내린다면 좋겠군요.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22:11/ 신고
적어도 제게는 감흥이 일지 않는 물건이네요.
kood (ID) koo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22:20/ 신고
가격과 성능비만 괜찮다면야 크게 나쁘지 않을듯 합니다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8-06-19 23:20/ 신고
소비전력이 문제네요.. 가격이야 말해봤자 저기선 어쩌기도 힘드니 됐고, 성능은 그만하면 됐고... 발열도 무시못할 정도.. 이제 여름인데 어찌 견뎌내려나~
kama136 (ID) / 08-06-20 1:55/ 신고
AMD에서 출시될 48xx 제품들과 비교가 궁금해지네요.
1004image (ID) / 08-06-21 3:38/ 신고
이글 읽고 다나와 중고장터에 가봤더니..
평소보다 고사양 그래픽카드가 매물로 많이 나왔네요.
정보에 어두운 사람이 그다지 저렴하지 않은 가격에 구매하게 되겠지요.
정말 새우만 문제군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6/19] 제이씨현, GIGABYTE GeForce RTX 5060 시리즈 공식 출시  
[06/19] 차세대 성능의 기준, MSI 지포스 RTX 5060 시리즈 그래픽카드 출시  
[06/19] 엔비디아, 블랙웰·쿠다-X로 반도체 설계 제조 가속화  
[06/19] 커세어, 컴퓨텍스서 엔비디아 최신 GPU 최적화 PC 케이스 및 쿨링 솔루션 공개  
[06/19] HP 게이밍 노트북 오멘 16 쿠팡 사전예약 시작 프로모션  
[06/19] 슈퍼마이크로, 혁신적인 데이터센터 빌딩 블록 솔루션 공개  
[06/19] 웨스턴디지털, 컴퓨텍스 2025서 스토리지 생태계 협업 강화 발표  
[06/19] 파나소닉,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루믹스 S1M2, S1M2E 2종 및 신형 줌 렌즈 S-E2460 출시  
[06/19] 인텔, 컴퓨텍스에서 AI·워크스테이션용 최신 GPU 공개  
[06/19] 뱅앤올룹슨, 샤를 르클레르와 협업한 ‘베오플레이 H100 샤를 르클레르 리미티드 에디션’ 한정 출시  
[06/19] 델, 엔터프라이즈 AI 혁신 위해 '델 AI 팩토리'에 광범위한 인프라 솔루션과 서비스 추가  
[06/19]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5 개막  
[06/19] 엔비디아,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용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지원 확대  
[06/19] 엔비디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으로 대만 제조업체 산업용 AI 가속화  
[06/19]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연구용 슈퍼컴퓨터 ‘ABCI-Q’ 지원  
[06/19] 엔비디아, 물리 AI 위한 클라우드-로봇 컴퓨팅 플랫폼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06/19] 엔비디아, AI 플랫폼 ‘DGX 클라우드 렙톤’ 출시  
[06/19]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06/19]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06/19]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