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KT266A vs SiS735 (MSI K7T266PRO VS MSD K7S5A)

2001-11-08 12:25
장홍식 대표기자 potatotre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otatotree@bodnara.co.kr

글 : 보드나라 시삽 강용한 (cutepenk@drEamwiz.com)

AMD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은 지금 칩셋의 춘추전국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예전같으면 1~2개 정도 나와있을법한 AMD CPU지원 칩셋이 지금은 인텔 시스템과 비슷할 정도로 많이 나와있습니다. 그만큼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선택의 폭도 넓어졌고 경쟁으로 인하여 가격도 많이 싸졌다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요즘 가장 많이 거론되는 AMD 시스템 지원 칩셋의 두 강자 VIA KT266A와 SiS735를 비교하는 기사를 준비해보았습니다.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내용으로 이미 여러번 기사가 올라간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저는 좀 차별화 해서 올려야겠죠? ^^; 저는 좀 더 심층적인 기사를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흔히 벤치마크에 사용되는 GeForce계열 외의 다른 메이저급 그래픽카드, 특히 ATI제품과 Matrox제품을 사용해 보았고 보다 다양한 테스트 툴, 세팅, 그리고 최신 O/S을 사용해보았습니다. 독자 여러분께 어느정도 도움이 될 지는 저로서는 알 수 없지만 한번 쭉 읽어시고 도움이 되는 내용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먼저 짚고 넘어갈 사항이 있습니다. 다름아닌 "K7S5A 파동"이 그것인데요, 요즘 해외 포럼에 뜬 기사 하나로 인한 K7S5A의 결함 여부에 이 제품의 유저들의 관심이 쏠려 있습니다. 지금까지 어느정도 밝혀진 것으로는 이정도가 되겠네요.

1. 제품의 편차가 좀 있는 편이다.

2. 1.2기가 이상 애슬론(썬더버드 코어)를 사용할 시 레퍼런스와 다른 저항 사용의 문제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3. 애슬론XP에서는 별 문제가 없다

어쨋든 저의 경우에는 1.2기가짜리를 사용하는 관계로 별다른 문제없이 테스트를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먼저 두 칩셋을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블록 다이어그램 같은건 여러곳에서 보셨으리라 생각되므로 칩셋의 기본 스펙만 한번 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VIA KT266A

SiS735

· 200/266MHz FSB settings
· Support for AGP 2X/4X
· Supports up to 4.0GB DDR200/266 SDRAM as well as PC100/133 SDRAM and Virtual Channel memory
· 266MB/sec high bandwidth North/South Bridge V-Link
· Support for Advanced Communications Riser (ACR) Card Standard
· Integrated 6 channel AC-97 Audio
· Integrated MC-97 Modem
· Integrated 10/100 BaseT Ethernet and 1/10Mb HomePNA controller
· Support for ATA 33/66/100
· 6 USB ports, UHCI compliant
· Advanced power management capabilities including ACPI/OnNow and AMD's PowerNow™
· 552-pin BGA VT8366A North Bridge
· 376-pin BGA VT8233 South Bridge

Support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Host/SDRAM Clock Schemes
Integrated DDR SDRAM Controller
Built-in Multi-Threaded I/O Link Bridging Internal North-Bridge, South-Bridge and External PCI Devices with 1.2GB/s Bandwidth
Support AGP 2X/4X Interface
Dual IDE Channels with ATA 33/66/100
Support Up to 6 PCI Masters
Dual USB OpenHCI Host Controllers with 6 USB Ports
Integrated Audio/Modem Controllers with AC'97 Interface
Advanced Power Management
LPC 1.0 Interface
Integrated RTC
Integrated Keyboard/PS2 Mouse Controller
PC2001 Compliant
1.8V Core with Mixed 1.5V, 2.5V, and 3.3V I/O CMOS Technology
682-Ball BGA

두 칩셋의 스펙은 크게 다른 것은 없습니다. 중요한 차이점이라면 SiS735가 버스마스터링 1개를 더 지원하고 노스/사우스간 구분이 없이 훨씬 넓은 대역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 SiS735는 원칩 디자인인 반면 KT266A는 두개의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KT266A에는 랜이 내장된 사우스브릿지가 있다는 점 정도로 요약될 수 있겠습니다.

한편 SiS735는 곧 DDR333이 지원되는 SiS745로 업그레이드될 예정입니다.

오늘의 테스트에 등장하는 제품은 널리 알려진 회사의 제품들입니다. 대만 Microstar International (MSI)에서 만든 K7T266 Pro2와 ECS에서 만든 K7S5A입니다. MSI제품은 샘플로 제공받은 제품이고 K7S5A는 제가 미국 쇼핑몰을 통해 구입한 제품으로 국내 수입사인 MSD에서 공급하는 제품과는 랜 내장 유무를 제외하고 거의 똑같습니다. 제가 전에 테스트했던 버전과도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일단 MSI K7T266 Pro2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ECS K7S5A는 종전 리뷰에서 많이 다루었으므로 K7S5A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께서는 리뷰란의 ECS K7S5A리뷰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스의 모양

사진이 잘 안나왔는데 박스는 광택이 나는 멋있는 은색입니다. 이 박스 외에 MSI에서 제공하는 경품인 Smart Key가 같이 제공됩니다. SmartKey는 USB에 연결해서 쓰는 방식이고 보안에 어느정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물론 도둑이 하드디스크만 들고 가면 아무 소용이 없지만요. 일단 SmartKey는 리뷰의 내용과는 별 관계가 없는 것 같아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내용물

박스를 열면 보드와 설명서, UDMA100 및 플로피 케이블 각 1조, 추가 USB포트등이 중요 내용물로 들어있습니다. 그런데 설명서에 결정적인 오류가 있더군요. 표지에 Intel 845 Chipset Based라고 써있습니다. ㅡㅡ;

레이아웃

보드는 이렇게 생겼더랬습니다. 빨강색 기판이 눈에 띕니다. 그리고 보드가 생각보다 작습니다. 볼트 6개로 장착이 됩니다. 덕분에 조금 작은 케이스 쓰시는 분들도 CDROM이 보드에 키스하는 현상은 걱정없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PCI슬롯은 5개가 제공되고 쓸모없는 ACR슬롯이 하나 있습니다. 이건 없애고 PCI를 하나 더 달면 좋았을뻔 했습니다. AGP슬롯은 Pro가 아닌 일반 AGP4x슬롯인데 아래쪽으로 고정 매커니즘이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아래쪽에 캐퍼시터가 하나 있어서 이거 쓰기가 약간 불편합니다. 잘못하면 캐퍼시터가 부러질 수도 있을 듯 합니다. 또한 카드를 장착했을 시 메모리 슬롯을 만지기가 약간 불편하게 되어있습니다.

AGP오른쪽으로 MOFSET몇개와 캐퍼시터가 삭제되어 있는 것이 보이는데 아마도 MSI에서 더 이상의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없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CPU 소켓 주변은 비교적 넓은 편입니다.

파워 커넥터 위치는 비교적 좋습니다. 쿨링에 별다른 방해를 주지 않는 위치에 있고 코드를 심하게 당기지 않으셔도 될 만한 위치입니다.

이 보드는 4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Pro2와 -RU, -R, -U 버전입니다. R은 RAID콘트롤러의 약자이고 U는 USB2 칩의 약자입니다. 이번 샘플은 Pro2버전입니다. 보시다시피 둘다 삭제되어 있습니다.

ECS K7S5A의 모습입니다. 뭐...워낙 잘 알려진 제품이라 더 이상의 설명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그럼 이제부터 본격적인 테스트로 들어가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보드/칩셋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성능이라는 것은 안정성 측면을 제외하면 대부분 Memory Controller의 성능과 IDE Controller의 성능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벤치마크 툴은 대부분 MCH를 혹사시키는 툴로 골랐으며 IDE는 산드라의 Drive벤치마크를 사용했습니다. HDTach를 사용해보려 했는데 NT계열에서는 등록을 해야만 쓸 수 있다네요.

O/S의 선택에 있어서 이정도의 제품을 고려하실 유저들 께서는 대부분 윈도우2000이나 윈도우XP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 생각되어 98을 제외하고 윈도2000과 윈도XP를 선택하였습니다. 또한 메모리쪽의 튜닝을 모두 하시는 점을 고려하여 K7T266 Pro2는 2-2-5-2세팅으로 했으며 Fast Command, 1T Command 역시 Enable된 상태로 테스트했습니다. K7S5A는 Ultra-2-6-3세팅입니다. 두 보드 모두 가장 강력한 메모리 세팅을 적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한 사양입니다.

MSI K7T266 Pro2

ECS K7S5A

CPU

AMD Athlon 1.2GHz

Memory

Crucial PC2100 256M DDR SDRAM (x1)

VGA Adapter

ATi RADEON 32M DDR, Matrox G400 DualHead Max

HDD

Seagate Barracuda4 40G

Sound Card

Sound Blaster 128 Vibra

PCI NIC

Realtek 8139A 10/100M PCI

CDROM

LG 48X

Power

Delta Electronics 300W

O/S

Windows2000 SP2 한글 with DirectX 8.0a, WindowsXP 영문

Chipset Driver

VIA 4-in-1 4.35V

SiS AGP 1.07

VGA Driver

ATI : 6.13.3276 for WinXP, 5.13.3276 and 5.13.3102 for Windows2000

Matrox : 5.72.021 for Windows2000/WindowsXP

일단 두 보드가 CPU클럭을 어떻게 잡는지 보시죠.

1. WPCPUID

먼저 MSI K7T266 Pro2입니다. 상당히 정확하게 1200MHz가 들어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ECS K7S5A의 모습입니다. 예전에 제가 8월에 테스트했던 제품은 1204.xx정도의 클럭이 들어가더니 요즘 나오는 리비전들은 클럭이 낮게 들어갑니다. 바이오스 칩 변경의 영향 때문일 거라고 생각됩니다. 이로인해 산드라 등 기본적인 CPU성능을 측정하는 벤치마크에서는 다른 메인보드 보다는 약간 낮은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2. 3DMark2001

3DMark2000의 경우 메모리 의존도가 비교적 낮고 GPU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2001버전에 비해 큰 관계로 이번 테스트에서는 2000버전은 제외하였습니다.

참고로 이 테스트는 3276버전의 VGA드라이버로 테스트 했을시 결과입니다. 이 드라이버로 테스트하면 종전 정식 드라이버에 비해서 괄목할 만한 스코어의 향상은 있지만 윈XP에서의 다른 게임들, 특히 퀘이크 엔진을 기반으로 한 게임들에서는 한글입력기가 게임화면 내로 튀어들어와 방해하는 바람에 정확한 기록을 얻을 수 없어 부득이하게 종전 정식 버전 (3102입니다)으로 교체해서 테스트했습니다. 따라서 3DMark를 제외한 윈2000에서의 테스트는 모두 3102버전으로 진행되었으며 윈XP는 모두 3276버전의 결과물입니다.

문제가 되었던 것은 윈XP에서 ECS K7S5A가 3DMark2001을 통과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어떤 드라이버로 교체를 하던 관계없이 모두 중간에 튕겨 버리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음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ATi가 드라이버좀 제대로 만들어 줬으면 좋습니다.

윈2000에서의 결과를 보시면 별다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O/S 의 차이도 그다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3. DronZMark

이 벤치마크는 이번에 새로 써본 툴입니다. 그래픽이 상당히 Intensive한 면이 있어서 메모리 콘트롤러(MCH)를 테스트하기에 적합한 툴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최저프레임수와 최고 프레임수도 표시해 주어 예전에 부두 vs 지포스 논쟁때처럼 일종의 '프레임 유지 능력'을 MCH의 능력으로 한정시켜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습니다.

결과는 이렇습니다. 우선 평균적으로 윈도XP가 2000에서 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준 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두 OS에서 모두 최고 프레임수는 SiS735가 앞서고 최저 프레임수는 KT266A가 앞섭니다. 결과적으로 평균에 있어서는 KT266A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벤치마크시에도 SiS735가 약간 뚝뚝 끊기는 느낌이 있었던 반면 KT266A는 부드러운 모습을 보여줬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4. Mercedes-Benz Truck Racing

근래에 들어 많이 사용되는 벤치마크 툴입니다. 역시 메모리 의존도가 높기로 알려져있는 게임입니다.

한 그래프안에 다 넣어봤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윈도2000보다 윈도XP가 게임에서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는 점을 첫 번째로 지적할 수 있겠습니다. 특이한 것은 SiS735의 윈도XP에서의 폭발적인 성능입니다. 윈도2000에서는 근소하게 KT266A에서 뒤지는 모습을 보여주더니 윈도XP에서는 큰폭의 차이로 KT266A를 따돌렸습니다. 좀 의아해서 여러번 반복해보았으나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습니다. 어쨋든 처음으로 MCH의 성능이 SiS735가 약간 더 우수하고 윈도XP에 최적화되어있는 구조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만드는 결과였습니다.

5. SPECviewperf 6.1.2

전 세계적으로 쓰이는 툴인 SPEC의 그래픽 관련 성능 벤치마크입니다. 이 부분은 약간 전문적인 내용이라서 그래픽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이나 렌더링을 많이 하시는 분들은 관심있게 보셔도 좋을 듯 싶습니다.

보시다시피 거의 막상 막하의 성능입니다만 어느정도의 규칙성을 가지고 KT266A가 앞서나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정도 차이는 클럭차에서 비롯될 수도 있으므로 큰 의미는 없는 차이라 하겠습니다. 눈여겨 볼 것은 그래픽 관련 성능이 윈도XP에서 눈에 띄게 좋아졌다는 점입니다. 특히 DRV-07과 ProCDRS-03부문에서 가장 큰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 쪽 계통에 종사하는 분들께서는 윈XP로 바꿔보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6. Quake3 Arena Demo001

절대 빠지지 않는 퀘이크3 벤치마크 결과입니다.

이 벤치마크역시 KT266A의 근소한 승리입니다. 차이는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차이라 보여지지는 않습니다. 여기서도 윈도XP가 윈2000보다 약간이나마, 특히 고해상도로 올라갈수록 좋은 성능을 보여줌을 증명해줍니다.

7. Wolfenstein : Return to Castle

울펜스타인은 퀘이크3 엔진을 만든 ID Software에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 게임입니다.

여기서는 제 VGA카드의 한계인지 그다지 큰 차이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도 KT266A가 약간이나마 뛰어나다는 것을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8. Sandra 2001te

재미있는 사실은 메모리 세팅을 양 제품 모두 가장 강력한 세팅으로 할 경우 메모리 대역폭에 있어서는 SiS735가 절대 뒤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만큼 뛰어난 성능을 가졌다고 할 수 있겠지요. 나머지 숫자들은 클럭 차이에서 오는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9. Drive Benchmark

IDE콘트롤러의 성능을 체크하는 이 테스트에서는 KT266A가 약간의 우세를 보입니다만 SiS735도 만만치 않습니다.

10. Windows Media Encoder 7.1

약 70메가바이트를 남짓한 용량의 MPEG파일을 500K/s의 WMV파일로 변환하는 작업을 가지고 테스트했습니다.

딱 2초 차이가 났습니다. 무시해도 좋을 만큼 적은 편차입니다.

 

POST와 바이오스 화면 - MSI K7T266 Pro2

이 보드의 바이오스 설정과 기타 특성에 대한 내용만 포함하겠습니다. ECS K7S5A에 대한 내용은 해당 제품 리뷰를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네요.

POST화면입니다. AMI바이오스를 사용하고 있구요, DRAM CLOCK과 SDRAM CAS Latency를 표시해주는 것이 약간 특이한 부분입니다.

바이오스 진입시 처음 보게 되는 화면입니다.

Advanced BIOS Setup 화면입니다.

IRQ강제설정이 가능하네요.

Hardware Monitor Setup에 오버클럭 옵션이 있습니다. FSB는 1MHz단위로 변경이 가능하고 CPU전압, DDR전압 등이 변경 가능한 옵션입니다.

원래는 Advanced Chipset Features 사진을 가지고 있었는데 중간에 지워져 버렸습니다. 제 카메라가 다시 오는대로 그 부분의 사진은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호환성 및 안정성 테스트

요즘 ECS K7S5A의 결함문제 때문에 말이 많습니다. 결함인지 아닌지는 아직 두고봐야 알겠지만 어쨋든 이 보드의 제품간 '편차'가 비교적 큰 것은 사실인 듯 합니다.

안정성을 약간이나마 테스트해보기 위해 memtest86을 실행해보았습니다. 우선 제가 벤치마크때 사용한 세팅으로 실행해보았는데 Ultra세팅에서는 약간의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약 2건 정도의 에러가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메모리 세팅을 Normal로 바꾸었습니다. 결과를 보시죠.

약 8시간 정도를 테스트했습니다. 메모리는 DDR SDRAM 2개를 사용하여 512M로 만들고 테스트했습니다. 그 이유는 K7S5A가 메모리를 2개를 사용했을 시 문제가 발생한다는 글이 많이 올라왔었기 때문입니다.+font>

보시다시피 저에게는 이상이 발생하지 않았습큀다. 1.2GHz CPU를 사용한 이유도 있겠고 제가 비교적 괜찮은 제품이 0�좁� 그랬을 수도 있습니다. 1.33GHz이상 클럭의 제품을 쓰시는 분들께서는 이상이 발생한다는 분이 꽤 계시므로 이 부분에 대한 테스트는 좀 더 두고봐야 어떤 조합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몇몇 분께서 칩셋 쿨링이 문제가 아니냐하는 의견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전에 VIA KT133A의 경우에도 칩셋 과열 현상이 있었지만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던 전례를 비추어볼 때 가능성이 낮다고 봅니다. 만일 제가 테스트하다가 데이터 오염 현상 등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보게되면 쿨러를 설치하고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SI K7T266 Pro2역시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호환성 측면으로 넘어가서는요, Matrox그래픽 카드를 가지고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그다지 거창한 실험은 아니고 그냥 사용하면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지 보는 정도였음을 밝힙니다. 어짜피 이런 류의 카드를 쓰시는 분들은 게임을 거의 하지 않으시는 분들이라 생각되서요.

결과적으로는 두 제품 다 별 문제가 없다라는 겁니다. 예전에 KX133시절에 매트록스 카드가 VIA칩셋과 안좋은 궁합을 보여준다라는 말이 많았었는데 이제 그러한 문제는 대부분 없어졌다라는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답텍 2960UW SCSI카드와도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호환성 문제같은 경우는 SiS전용게시판과 KT266A전용 게시판에 더 많은 분들의 참여로 알아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마치며...

근래에 시험이다 뭐다 해서 한5옛� 바빠 테스트를 할 시간이 별로 없었고 등록도 빈당히 늦어졌음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써놓고 보니 좀 부실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너그㎢게 용서해주시고 다음번 기사에서는 LinPack등을 활용한 메모리 대역폭 측정 테스F�樗� 시행해본 기사를 올려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이동원 / 01-11-09 22:05/ 신고
강용한님 늘 열정적으로 활동하신느 모습이 감탄스러울 따름입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
이영록 / 01-11-11 3:26/ 신고
pci 쪽 스티카 몇이죠 보통 리버전이라하던데?
강용한 / 01-11-12 3:41/ 신고
제 것은 3입니다.
김지만 / 01-11-14 1:38/ 신고
궁금한 내용을 역시 잘 긁어주시네요
하하 / 01-12-05 22:27/ 신고
퀘이크3하구 울펜벤치는 둘다 대등한 성능이네요.그래프 보지 마시고 숫자를 보시구 판단하세요.
shampu (ID) / 05-09-07 10:29/ 신고
그래프차이는 어마어마한데 -_-;;; 2초군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1/08] 프로젝터매니아 빔톨 스페이스쉽 디자인이 독보적인 미니빔 출시!  
[11/08] 넷마블, 신작 <세븐나이츠 리버스> 글로벌 사전등록 시작  
[11/08] MSI, 2025 플레이엑스포 부스 오픈..'게이밍 AI 체험존' 본격 운영  
[11/08] ‘에오스 블랙’ 1주년 기념 전야제 업데이트 실시!  
[11/08] 클래식 파밍 MMORPG ‘아드’ 정식 서비스 개시  
[11/08] 넥슨, ‘어둠의전설’, ‘기사단 임무’ 업데이트 실시!  
[11/08] 웹젠, ‘뮤 모나크’ 최대 레벨 확장 업데이트  
[11/08]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6주년 그랜드 페스티벌 업데이트 실시  
[11/08] 마이크로닉스, 컴퓨텍스 2025서 전략 신제품 공개  
[11/08] ‘플레이투게더’, ‘드래곤빌리지’와 두 번째 콜라보 업데이트 진행!  
[11/08] 유니씨앤씨, '프리미엄의 진수' 삼성 갤럭시북5 프로, 5월 23일 아울렛위크 쇼핑 LIVE 진행  
[11/08] 넥슨, ‘던전앤파이터 모바일’ ‘그래플러’, ‘스핏파이어(여)’ 신규 전직 2종 출시!  
[11/08] 웹젠, 자체 개발 서브컬처 신작 테르비스 CBT 참가자 모집  
[11/08] 인피니언, 한화 NxMD와 자동차 무선 커넥티비티 혁신 위한 파트너십 체결  
[11/08] ams OSRAM, 3D 센서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IR 레이저 광원 출시  
[11/08] 지클릭커, 예쁘고 손 편한 사무용 인체공학 로우키 풀윤활 키보드 EK500 출시  
[11/08] 넥슨, '메이플스토리' 여름 사전 이벤트 ‘썸머 카운트다운’ 실시!  
[11/08] 세컨드퀘스트, 차세대 방치형 RPG ‘디바인엣지’ PlayX4 2025서 첫 공개 보도자료 배포 요청의 건  
[11/08] 시소닉, 12V-2x6 커넥터 보호 강화한 차세대 프라임 시리즈 PSU 공개  
[11/08] SK하이닉스, 321단 낸드 기반 UFS 4.1 설루션 제품 개발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