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RAID를 알자 2부: HighPoint의 모든것

2002-08-26 23:57
이석원 前 객원기자 press@bodnara.co.kr

title.gif

들어가면서

Raid에 관한 내용은 원래 7월 후반기 호기심 해결의 주제였습니다. 1부가 7월 30일에 포스팅 되었음에 불구하고 늘 있어왔던 저 특유의 게으름으로 이제야 글을 올리게 됨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원래 2부 부터는 Raid에 대한 자세한 설치법과 성능 테스트를 하기로 하였었고 성능테스트는 Highpoint사와 Promise사의 컨트롤러를 같은 보드에서 비교해 보고 싶었습니다만, 온보드가 아닌 HPT 372칩만으로 이루어진 PCI카드를 국내에서 구하기 힘들다는점, Promise사의 PCI카드는 저렴한 것이 가격이 15만원이 넘어선다는 점에서 사용자 수가 그만큼 적고, 대부분 Promise사의 PDC20276칩셋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 때문에 결국은 온보드 Raid 컨트롤러로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테스트에 사용할 메인보드를 고르는일은 참으로 어려운일이었습니다. HPT372 / PROMISE 20276모두 같은 계열의 제품을 사용하여야 했고, 일반적인 제품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HPT372를 장착한 I845E계열 메인보드는 국내에 유통되지 않았고, PROMISE계열의 제품은 GIGA 8IEXP, SOLTEK DR2+가 있었으나 두제품 모두 쇼티지로 인하여 구할수가 없었습니다.

이에따라 HPT372를 채용한 메인보드를 긴급 물색, ABIT KOREA의 협조로 국내에 유통되지 않는 ABIT BD7-II RAID를 어렵게 구할 수 있었으며, TYAN KOREA의 협조로 PROMISE 20276을 장착한 TYAN 2099ANR을 긴급 입수하게 되었습니다. TYAN 2099ANR은 이제서야 유통이 시작되었고, BD7-II는 유통계획이 없습니다. 여러분들이 구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진행함을 죄송스럽게 생각하나, 어쩔수없는 현실임을 이해바라는 바입니다.

HDD는 Western Digital, Seagate, Maxtor의 국내 공식 Distributor인 Karma Korea의 협조로 WD 800BB 4개를 이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지면을빌어 ABIT KOREA, TYAN KOREA, Karma Korea관계자분께 감사를드립니다.

 

bd7IIr-large.jpg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김진수 / 02-08-27 0:28/ 신고
이석원님 바라쿠다가 레이드가 안되는 이유도 같이 실어주실수 없을까요? 요즘도 가장 잘나가는 모델이 바로 바라쿠다가 아닐런지. 근데 레이드가 안된다니..
강용한 / 02-08-27 1:34/ 신고
안되는건 아니고...다른 모델들로 구성하는것보다 성능이 많이 떨어집니다. 펌웨어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서 어느정도 개선은 되었으나..아직까지도 성능이 좀 떨어지는 편입니다.
강용한 / 02-08-27 1:34/ 신고
그냥 하드웨어적 문제라고 생각하시는게 좋을듯...
이석원 / 02-08-27 1:45/ 신고
바라쿠다가 레이드시 성능이 안좋다는 기사는 여러곳에 포스팅 된 적이 있습니다. 초기에는 오히려 성능이 하락하는 일이 있었고, 펌웨어 이후도 성능 향상이 거의 없습니다.
이석원 / 02-08-27 1:46/ 신고
결국 레이드를 구성하지 않던가, 다른 HDD로 구성하는것이 좋겠습니다.
카이 / 02-08-27 8:45/ 신고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Poromis 칩이 기대가 되네요..
꼬마 / 02-08-27 9:21/ 신고
레이드 구성하기 괜찮은 하드는 어떤것인지요? (덤으로 소음도 없으면 좋겠는데 짐 맥스터는 고주파음이 심해서요..바라쿠다는 레이드구성해봐야 성능도 안보이구) 남은건 WD/IBM/삼성
꼬마 / 02-08-27 9:23/ 신고
3개회사뿐인데..여러분중 레이드성능괜찮고 소음도 적은 하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으로 이석원님 레이드 정보 감사드립니다 2부를 많이 기다렸거든요..3부도 기대하겠습니다.
음훼훼 / 02-08-27 12:49/ 신고
정말 많은 종류의 회사 레이드 제품들을 써봤지만. SCSI는 단연 아답택과 3WARE 입니다.
음훼훼 / 02-08-27 12:51/ 신고
그리고 IDE에선 보통 하이포인트사,Promise사를 많이 선택하시는데 Promise사가 하이포인트사보다 성능 월등히 까진 아니지만 꽤 뛰어납니다 64BIT 버스 사용가능하구요
음훼훼 / 02-08-27 12:52/ 신고
위에분 맥스터 제품이 소음이 심하다고 하셨는데 레이드 구성시 맥스터 제품들이 가장 뛰어납니다 성능에 있어선 가장 무난하고 배드날 확률도 적구요 최대 16개 연결해봤습니다
음훼훼 / 02-08-27 12:54/ 신고
3WARE 엑스칼레이드로 말이죠.. 전 오히려 웬디 제품이 소음이 더 심하다고 느꼈는데요.. 서버 시장쪽에선 IDE 제품으로 레이드 구성시 Promise나 3WARE사 컨트롤러가
음훼훼 / 02-08-27 12:56/ 신고
성능상으로도 가장 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64BIT 66MHZ 사용시 굉장하다는 .. 하이포인트사는 일반 PC용에선 정말 괜찮은 제품이라고 생각..
c박스 / 02-08-27 13:20/ 신고
2부언제올라오나 엄청기대하면서 맨날보드나라들어왔는데 드디어 글 올리셨군요^^ 좋은글 정말잘봤습니다~~ 3부도 엄청 기대되는군요.. 요번엔 좀 빨리올려주세요~~^^*
-_-? / 02-08-27 15:40/ 신고
레이드 1인가로 두개를 한개의 하드로 사용할 때도 파티션을 나눠 쓸수있나요??
이어서 / 02-08-27 15:42/ 신고
그렇게 파티션을 나누어 사용해도 성능에는 성능은 유지되는지 궁금합니다
죄송 / 02-08-27 15:48/ 신고
raid 0 stripping mode군요. 1이 아니구...
하나더 / 02-08-27 15:51/ 신고
부팅타임은 혹시 어떻게 되는지,,,
이석원 / 02-08-27 16:05/ 신고
성능은 비슷합니다. 당연히 파티션 나눠서 사용하구요...
이석원 / 02-08-27 16:05/ 신고
부팅타임은 프라미스의 1/3 수준입니다. 바이오스에서 HDD찾는 시간을 말씀하신거죠?
김원 / 02-08-27 22:37/ 신고
블록 사이즈 변경이 궁금합니다. 블록사이즈가 커짐과 작아짐에 따라 장단점을 알려주세요
김원 / 02-08-27 22:38/ 신고
전 무조건 64kb 로 포멧을 했거든요 만약 1메가로 하는게 더 좋으면 1메가 하려구요
이석원 / 02-08-28 0:12/ 신고
블럭싸이즈에 대한 부분 1부에서 언급하였습니다.
^^; / 02-08-29 11:47/ 신고
promise 레이드씁니다...ibm 80기가2개 묶어놓고 쓰는데 하드벤치 55000 이상 나옵니다...성능 무지좋습니다...4개,2개 성능 비슷..합니다..
이석원 / 02-08-29 20:49/ 신고
아라리온사의 컨트롤러가 추가될 계정입니다.
아라리온사용자 / 02-09-02 21:40/ 신고
애슬론1800 슈마 8kha+ IBM 80기가 raid 0로 구성할경우 raid 구성하지 않은 단독 하드 속도보다 느립니다...참고하세요..보드특성입니다.
아라리온사용자 / 02-09-02 21:42/ 신고
슈마 4t2apro(850보드) 보드 가지고 있지만 귀찮아서 테스트 안해봤습니다..인텔 보드에서 사용해신분?
아라리온사용자 / 02-09-02 21:43/ 신고
울티마레이드 100 과 133 둘다 사용해봤는데 8kha+에서는 맞지 않더군요..아라리온에 항의 해봤는데 속도문제는 자기들도 어쩔수 없다네요..
아라리온사용자 / 02-09-02 21:46/ 신고
이석원님 이거 테스트 해주실주 있나요? 도대체 슈마가 거짓말을 하는지...알수가 없네요.아라리온에서 직접 눈으로 확인했는데 분명 보드 특성이었습니다..
아라리온사용자 / 02-09-02 21:53/ 신고
어차피 불안한 raid 0레벨은 쓰지 않기 때문에 잘못을 가리자는것이 아니라..그냥 궁금해서요 ^^
이석원 / 02-09-02 23:58/ 신고
비아 레이턴시 패치는 하셨나여? 보드 특성이라기 보다는 칩셋특성이 아닐까 하네요
박상기 / 02-09-03 1:01/ 신고
이석원님..블록사이즈 내용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요? 저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지금 방금 테스트해봤습니다. 산드라에서 벤치했을때 1M일 경우 점수가 29000점
박상기 / 02-09-03 1:02/ 신고
128K일때 48119점, 64K일때 48314점이더군요. 엄청난 차이아닌가요? 뭔가 잘못된듯한데요. 혹시나 해서 제 사양을 밝혀두죠. XP1700(@2200+)
박상기 / 02-09-03 1:04/ 신고
삼성2100 256*2, 슈마8K3A, IBM 60GXP 40G*2, I will side 100 radi card(HPT370a칩)
박상기 / 02-09-03 1:06/ 신고
운영체제는 영문 XP sp1 웬디30기가 7200 ATA100에 깔았구요 삼성40기가는 데이터 백업용으로 사용중입니다. 저만 이런지 다른 분들도 하번 테스트 해보세요...그럼..
박상기 / 02-09-03 1:07/ 신고
아차..비아 패치랑 필요한건 다했습니다.(HPT370a 바이오스 최신 2.32)
이석원 / 02-09-03 4:15/ 신고
산드라 말고 한번 파일복사 테스트를 한번 해보셔요 잘못된 결과가 아니라 저도 산드라 5번쯤 해본결과입니다.
박상기 / 02-09-03 10:13/ 신고
조만간 HDTACH로 해서 결과 올리겠습니다.
아라리온사용자 / 02-09-03 12:50/ 신고
제 raid 속도가 느린 이유를 알았습니다. 아무래도 raid 제품 결함같군요 보드나라에서 테스트 해주실수있는지요?
아라리온사용자 / 02-09-03 12:50/ 신고
www.raidtech.co.kr 에 가시면 울티마 레이드 133에 대한 고객들의 원성을 들을수있습니다...
아라리온사용자 / 02-09-03 12:52/ 신고
보드나라에서 인텔칲셋과 비아칲셋의 메인보드로 테스트 해주실수 있나요? 울티마만 그러는것이 아니라 다른 raid 카드도 마찬가지인것 같은데...
아라리온사용자 / 02-09-03 12:53/ 신고
국산품이라고 애국심차원에서 구입했는데 실망이군요 쩝...어차피 raid 카드가 확장IDE카드로 전락한지 오래지만...
아라리온사용자 / 02-09-03 12:54/ 신고
맘에 드는것은 포멧속도 밖에 없더군요 윈도우 처음설치시 80기가를 순식간에 포멧해버리는 괴력..!!
조구현 / 02-09-05 21:13/ 신고
raid2
참나 / 02-09-11 16:00/ 신고
프라미스에서도 시게이트바라쿠타 IV는 영속도가 안나옵니다. 30~33MB 근데 단일하드는 40MB/s까지도 나오더 군요... 프라미스에서 젤루 싼 SMARAID도 속도가 상당합니다
참나 / 02-09-11 16:00/ 신고
50~60MB/s 정도의 속도가 나옵니다...
onboard / 02-09-25 23:21/ 신고
온보드에서 테스트하는건 글쎄요.소니 트리트론전관이라해도 소니 G420과 KDS제품에서 같다고 할 수 있을지...온보드엔 코트롤러 칩만 달랑 올라간 경우도 있던데
그리고 / 02-09-25 23:26/ 신고
Transfer Rate 그래프에서 100*bilioins 바이트이상은 의미가 없을 듯..그렇게 많은 데이터를 가진 사람이 있을까?그게 도대체 몇기가야?
곧 업그레이드 / 02-09-26 20:21/ 신고
전 이번에 업그레이드를 해서 물품을 주문했습니다. 아마 내일쯤이면 도착하는데, 원래보드가 ABIT SR7-8X였는데, 용산에서 이보드가 씨말라서(ㅡㅡ;) 변동이 있었습니다.
곧 업그레이드 / 02-09-26 20:25/ 신고
메인보드가 보드나라에서 곧 리뷰하는 TYAN S2099ANR이고, 램은 킹맥스2100 512M, 참 CPU는 2.4B, 하드는 웬디40G(7200rpm,8M버퍼)입니다.
곧 업그레이드 / 02-09-26 20:27/ 신고
이렇게 레이드를 사용할려고 합니다. 주위에서 돼지털카메라를 구하고 있는데, 구하는대로 간단한 조립기와 사용기를 올리예정입니다. 돼지털 카메라를 구한다는 조건하에서입니다.
이종섭 / 03-05-17 20:55/ 신고
윈도우98에서는 레이드0모드로 해서 두개의 하드디스크 사용이

불가능 하나욥 ? ^_^;;

윈2000과 엑스피에서만 대부분 하셔가주공..궁금함.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8/26] 엔비디아, 영상 검색과 요약 위한 블루프린트 출시..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개발 가속화  
[08/26] 엔비디아,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용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지원 확대  
[08/26] 엔비디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으로 대만 제조업체 산업용 AI 가속화  
[08/26]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연구용 슈퍼컴퓨터 ‘ABCI-Q’ 지원  
[08/26] 엔비디아, 물리 AI 위한 클라우드-로봇 컴퓨팅 플랫폼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08/26] 엔비디아, AI 플랫폼 ‘DGX 클라우드 렙톤’ 출시  
[08/26]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08/26]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08/26]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08/26] 엔비디아, RTX PRO 서버로 AI 팩토리 구축 가속화  
[08/26] AI 시대 선도를 위한 노력,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 연설 정리  
[08/26] 엔비디아, 세미커스텀 AI 인프라 구축 지원하는 ‘NV링크 퓨전’ 출시  
[08/26] 넥슨, ‘2025 던파로ON: Summer’에서 하반기 ‘던파’ 대규모 업데이트 공개  
[08/26] 아스크텍, ATX 3.1-PCIe Gen 5.1 지원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GT시리즈' 출시  
[08/26] 벤틀리모터스코리아,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4세대 ‘더 뉴 컨티넨탈 GT’ 고객 인도 개시  
[08/26] 넥슨,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08/26] 에이슬립-경동나비엔, AI가 자동 온도 조절하는 매트 출시  
[08/26] 슈퍼마이크로, 차세대 직접 수냉식 솔루션 DLC-2 공개  
[08/26] 인텔 공인대리점 3사, ‘나를 자랑해줄래?’ 프로모션 실시  
[08/26] 고성능에 AI 경험까지 결합된 팔방미인 노트북 ‘MSI 벤처’, 레드닷 디자인 수상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