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뉴스 홈  

온라인 게임 전면 무료화, "뻥 치시네"

2006-02-08 10:23
이수원 수석기자 swlee@bodnara.co.kr

 

아이템은 유료 판매…전면 무료 대신 부분 유료가 적당

 

2006/02/06-18:38

 

최근 온라인게임 업체들의 "전면 무료화" 선언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오픈 베타테스트 진행 후 유료화에 돌입할 때면 업체들마다 "전면 무료화 선언, 게임 무료로 마음껏 즐기십시오"라며 유저들을 유혹하고 있다.

 

'전면(全面)'이란 말 그대로 모든 면이다. '무료(無料)'란 말 그대로 값을 받지 않거나 값을 치르지 않는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둘을 합친 전면 무료란 모든 면에서 값을 받지 않겠다는 의미인 셈.

 

하지만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게임 업체들의 전면 무료화 게임들은 사실상 특정 게임 아이템을 판매하는 부분 유료화로 볼 수 있어 게이머들을 우롱하는 행위가 아니냐는 불만이 나오고 있다.

 

 

NHN은 지난 해 12월 아크로드 포유 캠페인을 통해 아크로드 전면 무료화를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1월 은근슬쩍 칸트라 상점을 오픈, 아이템 판매를 시작했다.

 

또 게임하이에서 개발한 '데카론' 역시 지난 해 말 '전면 무료화'를 선언했지만 얼마전 게임 내 아이템을 추가하면서 슬그머니 아이템 판매를 시작했다.

 

이외에도 '프리스톤테일' '천상비' '메틴' '크로노스' 등이 일제히 '전면 무료화'를 선언하고 게임 아이템을 판매하고 있어 '전면 무료화'는 곧 '부분 유료화'를 의미하는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하면 게임은 무료로 즐길 수 있지만 보다 재미있고 나은 게임 플레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요금을 지불하고 아이템을 구입해야만 하는 구조인 셈이다.

 

 

넥슨의 인기 레이싱게임 카트라이더를 즐긴다는 한 유저는 "비록 게임을 즐기는 것은 무료이지만 다른 게이머들과의 경쟁에서 이기려면 더 좋은 카트를 사야 하고, 내 카트를 예쁘게 꾸미려면 최소한 풍선이라도 하나 달아놓아야 하기 때문에 요금을 지불하고 아이템들을 살 수 밖에 없다"라고 하소연했다.

 

이와 관련해 한 게임업체 관계자는 "요즘 같은 온라인게임 환경에서 월정액제라는 것은 정말 위험한 도박이다"라며 "업체들도 매출을 올려야 하기 때문에 게임은 무료로 제공하면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라며 어쩔 수 없는 환경을 탓하기도 했다.

 

 

이런 현실을 반영해 업계에서도 아이템을 판매하는 온라인게임의 경우 '전면 무료화'라고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부분 유료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으로 게임업체들이 유저들을 현혹하는 듯한 전면 무료화라는 단어 대신 당당하게 부분 유료화라는 단어를 앞으로 내놓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백현숙 기자 coreawoman@chosun.com]

 

 

기사의 저작권은 게임조선에 있습니다. 허락없이 무단으로 기사 내용 전제및 다운로드 링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보드나라는 게임조선과 컨텐츠 제공계약을 체결,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dbalsskdrns (ID) / 06-02-08 10:59/ 신고
좋은 글이네요. 뻥 좀 그만쳐!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11:25/ 신고
뻥.뻥뻥뻥뻥뻥
virus606 (ID) / 06-02-08 12:20/ 신고
무료서비스와 무료화의 차이를 잘구분해야합니다.

무료서비스는 말그대로 무료서비스를 제공한다는것이고

무료화는 완전공짜라는거죠..

사실땅파먹고사는것도아닌데 무료화는 조금억지스러운면이있긴합니다.
ironkil (ID) / 06-02-08 13:49/ 신고
여하간 실사용자에게는 돈받을 능력 안되면서 애꿋은 PC방한테만 유료화하는 ㅇㅇㅊ 정책은 없어지길. 실사용유저가 돈내기를 거부하는 겜이라면 피시방한테도 받으면 안되죠
notebe (ID) / 06-02-08 14:19/ 신고
부분유료화가 맞는 말 같네요.
pc방에 돈 받으려면 pc방에 주는 혜택같은게 있어야 하는데(경험치 추가라던지) 없는 게임이 더 많지요....
valkyrie (ID)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15:33/ 신고
흐음... 온라인 게임에는 관심이 없다보니...;;;;
metdol (ID) metdol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15:42/ 신고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아닌가 싶군요 그나마 전면 유료화 보다는 나은듯 한데..
myloveu00 (ID) myloveu00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16:39/ 신고
부분유료화 게임 해보면 고랩되면 유료게임 못지 않게 지출이 생기죠.
^^
droiyan7 (ID) / 06-02-08 17:25/ 신고
게임업체에서 무료서비스와 무료화의 차이를 전혀 구별못하고 그냥 '무료화'도 아닌 '전면 무료화'운운이나 해대는데 우리가 구별해줘야 될 필요가 뭐가 있나요?

그리고 함량미달게임 무료운운으로 사람 모아서 유로아이템으로 한명이라도 낚아보려는 게임업체측 잘못도 있죠.
월정액제라는 것은 정말 위험한 도박이다? '오픈베타 테스트'가 아닌 '오픈베타 서비스'나
"아직도 게임 돈내고 하냐"따위 광고로 무료에 맛들일대로 들인 오베족,공짜족 양산해놓은 게임업체 책임도 크죠.

해외온라인 시장은 패키지 사고, 월정액 요금 따로 내고, 확팩 나오면 확팩 패키지 따로 또 꼬박꼬박 사야 되도 장사 잘만하는 게임들 많습니다. 국내에는 그거 다 합친것보다 더 비싼 월정액요금 쳐받으면서도 장사 잘하는 게임도 있고요. 걔들은 다 뭘까요?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18:45/ 신고
꼭 이동통신 사업자를 보는 느낌..
핸드폰은 공짜, 사용료는 무지 비싼..
10억 매출에 순이익 2조인, 생산품없는 기업도 있으니..국민들 주머니돈은 모두 내돈 이라는 심보
근데, 거리에서 사람들이 핸드폰사용하는 거 보면 이동통신 사업자 주식 사고 싶은 생각은 또 무엇인지-0-
masasi (ID) masasi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8 22:33/ 신고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템 안산다고 플레이 불가능한것도 아니기에 별로 상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ldj43 (ID) ldj4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9 2:42/ 신고
과대광고 문제는 게임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분야에 걸쳐서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라서 새삼스러울것도 없는 느낌입니다. ^^;
shc572 (ID) shc57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9 8:11/ 신고
원래 다그런거죠 뭐..
어쩔 수 있나요..
자기들도 땅파서 장사하는 것도 아니고..
하지만.. 부분유료라고 하던가..
이런말이 있어야 하는데..
완전무료라고 뻥을 치니..>.<
mtb31 (ID) mtb3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09 9:18/ 신고
무료라고한뒤 물약을 유료바꾸는...
유저의 뒷통수치를 치는 게임이
상당수있죠;;아이템을 유료화 그게 더무섭습니다 ㅜ.ㅡ
aspire01 (ID) / 06-02-10 13:06/ 신고
제발 과대광고와 허위광고는 없어지기를..
rbear (ID) rbe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10 15:04/ 신고
무료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미치는 상술이 점점 많아지니..
솔직하게 월정액 받는 것이 오히려 더 나을 수도...
moonwolf (ID) moonwolf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11 11:24/ 신고
역시 세상엔 꽁짜란 없는 법인가봅니다. ㅠ.ㅠ
css75 (ID) / 06-02-12 12:39/ 신고
개발자들도 먹구살아야지... 무슨 자선사업가두 아니구...
별것도 아닌데..태클이시넴... 세상 피곤하시겠다...
금 게임조선두 광고내려야겠넴...
다 이런업체들의 수익이 있어야 게임조선도 클수있는건데...
역시 조선다운 기자양반
kuki63 (ID) / 06-02-12 17:48/ 신고
돈없으면 렙업하기도 힘든 세상...에휴~
kado (ID) kad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13 11:37/ 신고
아이템 파는게 좀 심하긴 하지요
게임의 진행여부를 허망하게
만드는 요인
머라하진 않지만 좀 가려가면서
해야 지속여부가 판결 나겟지요
newstar (ID) newstar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14 19:00/ 신고
제목 참 속시원하네요.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6-02-23 15:24/ 신고
아이템 산업이 더 많이남겠지요
고의적으로 아이템 생성해서 판매하는 업체들까지 있을 정도니..
jenadu (ID) / 06-03-05 1:46/ 신고
무료가 무료가 아니라는..
ryangedu (ID) / 06-03-05 2:38/ 신고
제목이 대박이요~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2/08] 에이수스, ‘컴퓨텍스 2025’서 AI 대중화 위한 차세대 혁신 기술 및 몰입형 게이밍 제품 대거 공개  
[02/08]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키우기>, 신규 캐릭터 '방랑 무사 멜리오다스' 등 업데이트 진행  
[02/08] 서린컴퓨터,리안리 비전 시리즈 기반 완제품 PC 한정 특가 판매  
[02/08] 디앤디, GAINWARD 지포스 RTX 5060 고스트 D7 8GB 출시  
[02/08] 직접 경험하는 차세대 게이밍! MSI x NVIDIA 지포스 RTX 50 체험존 플레이엑스포에서 운영  
[02/08] 오버워치 2 x 스트리트 파이터 6 콜라보레이션 내일(21일) 시작  
[02/08] 제이씨현, 24형 144Hz 게이밍 모니터 출시 기념 99,000원 특가 행사 진행  
[02/08] ‘디자인을 말하고 기술로 증명한다’ 마이크로닉스, 컴퓨텍스 2025 전시회 참가  
[02/08] 제이씨현, GIGABYTE GeForce RTX 5060 시리즈 공식 출시  
[02/08] 차세대 성능의 기준, MSI 지포스 RTX 5060 시리즈 그래픽카드 출시  
[02/08] 엔비디아, 블랙웰·쿠다-X로 반도체 설계 제조 가속화  
[02/08] 커세어, 컴퓨텍스서 엔비디아 최신 GPU 최적화 PC 케이스 및 쿨링 솔루션 공개  
[02/08] HP 게이밍 노트북 오멘 16 쿠팡 사전예약 시작 프로모션  
[02/08] 슈퍼마이크로, 혁신적인 데이터센터 빌딩 블록 솔루션 공개  
[02/08] 웨스턴디지털, 컴퓨텍스 2025서 스토리지 생태계 협업 강화 발표  
[02/08] 파나소닉,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루믹스 S1M2, S1M2E 2종 및 신형 줌 렌즈 S-E2460 출시  
[02/08] 인텔, 컴퓨텍스에서 AI·워크스테이션용 최신 GPU 공개  
[02/08] 뱅앤올룹슨, 샤를 르클레르와 협업한 ‘베오플레이 H100 샤를 르클레르 리미티드 에디션’ 한정 출시  
[02/08] 델, 엔터프라이즈 AI 혁신 위해 '델 AI 팩토리'에 광범위한 인프라 솔루션과 서비스 추가  
[02/08]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5 개막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