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ATi RD790, 기가바이트 GA-MA790-DQ6

2007-10-04 00:00
김찬호 前 기자 mercut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RD790의 등장

AMD와 ATi의 합병으로 그래픽카드-메인보드-프로세서의 라인업을 단단하게 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누리게 된지 1년이 넘었다. 하지만, RD580(Xpress 3200)이후 AMD 플랫폼을 사용하는 ATi 칩셋은 오래도록 침묵을 유지한 채 후속 제품에 대한 무수한 루머만 쏟아내었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에 AMD Athlon 64 X2 3800+와 그래픽 내장 코어 690G의 조합만을 봤을때,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발 늦게 뛰어든 nVIDIA 7050과 7025가 그 여파를 어느정도 줄였다 해도, AM2 플랫폼의 또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게 해준 메인스트림 라인업으로 엔트리레벨 그래픽카드 시장을 긴장하게 만든 사건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메인보드 라인업을 가지고 있는 인텔의 입장에서는 차세대 라인업인 3시리즈를 위협할 새로운 기대주가 될 수 있기 때문에, AMD 플랫폼애 목마름을 느끼던 사용자들에게는 하나의 희소식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제품이 아닐 수 없다.

AMD RD790은 한편으로 AM2+ 소켓을 이용하는 Native 쿼드코어 Phenom의 공식 지원 제품으로 볼 수 있다. AM2+는 SPP의 추가와 HT3.0을 통해 16GB/s로의 속도 상승 및 Cool'n'Quite 2.0 기능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AM2 지원 프로세서도 사용할 수 있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기가바이트의 호화스팩 DQ6를 이용한 GA-MA790-DQ6를 통해 RD790을 살펴보자.

 

레이아웃 구성의 이해를 돕기위해 무소음 쿨링 시스템인 사일런트 파이프와 CPU 쿨러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의 GA-MA790-DQ6는 화려한 스팩으로 중무장 되어있다. AMD 쿼드코어를 사용할 수 있는 AM2+ 소켓 외에도 네 개의 PCI-Express 슬롯으로 쿼드 크로스파이어 구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AM2+ 소켓을 사용한 GA-MA790-DQ6는 리테일용 쿼드코어 Phenom 외에도 하위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AM2 소켓을 사용하는 AMD 프로세서라면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단, AM2 지원 프로세서를 사용할 경우 AM2+의 HT3.0 등 다양한 기술은 사용할 수 없다.

 

네 개의 DIMM 슬롯은 DDR2-1066 메모리를 듀얼채널로 구성해 사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 슬롯 주변에는 24핀 전원 공급 포트와 IDE, FDD 포트가 자리잡고 있다.

 

전원부-노스브릿지(RD790)-사우스브릿지(SB600)은 히트파이프를 사용한 무소음 쿨링시스템 '사일런트 파이프'를 통해 발열을 낮추어주며, 후면부에도 방열판이 위치하고 있어, 기가바이트가 주장하는 Quad Cooling (전원부-노스브릿지-사우스브릿지-CPU)이 가능하다.

 

확장 슬롯은 두 개의 PCI 슬롯과 하나의 PCI-Express X1 슬롯, 네 개의 PCI-Express X16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중앙에 위치한 주황색 슬롯은 X8로 작동하는 X16크기의 슬롯이기 때문에, 네 개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할 경우 x8-x8-x8-x8로 쿼드 Cross Fire로 작동하게 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CrossFire로 구성할 경우 하늘색 슬롯을 이용해 x16-x16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PCIe 2.0 규격 41Lane 구성), 부족할 수 있는 전원을 보충하기 위해 PCI 슬롯 하단에는 4핀 전원 공급포트도 위치하고 있다.


▲ 주황색 슬롯은 접점부가 존재하지 않아 8배속으로 작동됨을 알 수 있다.

 

확장 포트가 위치한 왼쪽 하단부에는 SATAII 포트 및 케이스와 연결하는 전면패널 해더, 패러렐 포트 헤더 및 USB 포트 두 개의 물리적 바이오스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네 개로 부족할 수 있는 SATA 포트를 확장하기 위해 JMicron SATA 컨트롤러가 위치하고 있다.

 

GA-MA790-DQ6에 사용된 칩셋은 RD790으로 HT 3.0(16GB/s)을 통한 프로세서와의 연결, 두 개의 PCI-Express X16의 제어 및 기가비트 이더넷, 외장 SATA 포트 등의 제어를 담당하며, 사우스브릿지인 SB600은 10개의 USB 포트 및 네 개의 SATA 포트, 두 개의 PATA 포트, PCI 슬롯, 사운드 코덱의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기가바이트 DQ6 제품인 만큼 복수로 사용된 컨트롤러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JMicron 로고가 새겨진 SATA 컨트롤러를 통해 각각 두 개씩의 SATA 및 eSATA 포트를 추가 지원하며, 두 개의 기가비트 이더넷을 위해 Realtek RTL8111B를 두 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메인과 백업 두 개로 구성된 바이오스는 가상 바이오스까지 포함해 네 개의 바이오스로 바이러스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 놓고 있다.

 

사운드 지원은 DTS 전송이 가능한 8채널 코덱인 Realtek ALC889A를 사용하며, 백 패널에 한 개, 확장헤더에 두 개를 연결할 수 있는 IEEE 1394 지원을 위해 TI社의 TSB43AB23이 위치하고 있다.

 

백 패널은 키보드, 마우스 연결을 위한 PS/2 포트와 시리얼 포트, SPDIF 출력이 가능한 광/코엑시얼 단자가 위치하고 있으며, IEEE1392, 두 개의 기가비트 이더넷, 여섯개의 USB 2.0 포트, 두 개의 eSATA 포트 및 8.1채널 아날로그 사운드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제이씨현에서 제공된 GA-MA790-DQ6는 엔지니어링 샘플로 구성물은 IDE/FDD 케이블 SATA 케이블, eSATA로 확장할 수 있는 전원/데이터 브라켓 및 eSATA 전원 데이터 케이블과 드라이버/유틸리티 CD를 제공하고 있으나 실제로 판매되는 제품의 구성품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만 하기 바란다.

 

제품명

GIGABYTE GA-MA790-DQ6

지원 CPU

AMD AM2+ 및 AM2 규격의
Phenom/ Athlon 64 X2/ Athlon 64/ Athlon 64 FX/ Sempron

칩셋

AMD RD790 + SB600

메모리

DDR2-1066MHz까지 지원되는
듀얼 채널 지원 메모리 슬롯 4개

온보드 장치

Network - Realtek RTL8111B 10/100/1000M 이더넷 두 개
Sound - Realtek ALC889A 7.1채널 HD 오디오

확장 슬롯

PCI-Express x16 슬롯 2개 (PCIe 2.0)
PCI-Express x16 크기 x8 슬롯 2개
PCI-Express x1 슬롯 1개 / PCI 슬롯 2개

I/O

S-ATA II 8(eSATA 포함)포트 / IDE 커넥터 1개(2개 장치 지원)
USB 2.0 포트 10개 (백패널 6개 + 확장 포트 4개)

제조사/유통사

GIGABYTE (http://www.gigayte.com.tw)
제이씨현시스템 (http://www.jchyun.co.kr)

 
이 기사의 의견 보기
whiteday100 (ID) / 07-10-04 1:41/ 신고
AMD용 보드로 이런 고급형이 나오다니!!
엄청 멋지군요.
곧 리뷰가 나오는 건가요?
joel83 (ID) joel8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2:57/ 신고
SB600만 제외하면 완전 매력적인 보드네요.
슬슬 피넘 갈아탈 준비를 해야하는데...
redcurse (ID) redcu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3:03/ 신고
보드는 멋진데 사용할 cpu가 없다는게..
뭔가 있어보이지만 왠지 장식품 같다는 여운이..
heaye (ID) / 07-10-04 4:32/ 신고
기가바이트의 전원부품질에 대한 집착은 정말 강박관념 수준인거 같습니다.;
lsblord (ID) / 07-10-04 6:29/ 신고
요즘엔 보드 후면부에도 방열판 붙은거 자주보이네요..워낙에 컬러풀해서...튜닝케이스에다 써야겠네요..
~샤방샤방~
ksw82 (ID) ksw8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8:38/ 신고
오, 오랫만에 AMD 보드 중에서 솔깃해지면서 당기는 보드가 나오는군요. 게다가 이전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AM2 CPU도 장착 가능하게 되나 봅니다.

메인 시스템을 뭔가 바꾸고 싶지만 마땅한 게 없다 했는데, 일단 보드만 이걸로 바꿔놓고 나중에 CPU 교체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군요...^^;
deny (ID) / 07-10-04 9:11/ 신고
꽤 비싸 보이네요...
가격 생각만 드네요..
bmw375 (ID) bmw37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9:45/ 신고
쿼드 크로스 파이어를 구성하게 될 경우 그래픽 카드끼리 너무 근접해서 발열 해소가 문제될 듯 하군요. 일반 사용자야 크로스 파이어 기술 자체도 잘 사용하지 않아서 별 문제 없겠지만 기껏 제공하는 기능을 잘 사용할 수 있을지 염려되는 것은 아쉽습니다.
blasty (ID) blast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0:34/ 신고
인텔에 대항할 AMD의 기병이로군요. 보기만해도 군침이 흐르는 스펙들이 멋집니다. 하지만 돈주고 쓰기엔 성능이 저에겐 과분하겠네요.ㅜㅜ
kss8569 (ID) kss8569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1:30/ 신고
꼭굳이 쿼드까지쓸필요가있을가요..
ainomusume (ID) ainomusum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1:33/ 신고
ㅎㅎ...며칠전에 754에서 am2로 겨우 갈아탔는데...ㅜㅠ
가격은 좀 나가겠네요...
ho5945 (ID) ho5945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1:33/ 신고
가격이 200불 넘어갈듯..--; 근데 요건 노스브릿지랑 사우스브릿지가 통합되지 않았네요.. 이제부터 나오는 신제품들은 전부 통합되는줄 알았는데... 워낙 스펙이 엄청나서 발열을 못견디는건가? 그리고 전원부에서 놀랐습니다.--;; 빽빽히 들어차 있는 저 전원부...크흑! 돈은 없지만 역시 갖고싶긴 하네요...
hermes88 (ID) / 07-10-04 14:17/ 신고
후면부에도 방열판이 위치한다는 사실이 참 노력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더구나 4개의 크로스파이어는.... 과연 누가 얼마나 사용을 할까 하는 의구심...
또... 개발 소문도 없던 SB800의 정체는 무엇인지...
bluemun (ID) bluemun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7:06/ 신고
DQ6의 쿨링 솔루션도 멋지지만 PCI-Express슬롯 4개가 줄 지어 있는 모습이 대단하네요. 지금까지 이런 메인보드는 없었죠 ^^;
mercutio (ID) mercutio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7:42/ 신고
앗! 오타를 지금확인했습니다.
다이어그램에도 SB600이라고 나와있는 내용을..-_-;

내용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godanhan (ID) / 07-10-04 19:28/ 신고
쿼드코어에 쿼드 크파면 정말 환상이겠군요. ㅎㅎ
pg1313 (ID) pg131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19:34/ 신고
엄청난 괴물이네요..ㅎㅎ
HDMI 만 있으면 금상첨화인데..^^
온보드 그래픽이 없는 제품이니 어쩔수 없지만..
blackchh (ID) / 07-10-04 22:23/ 신고
PCI-Express X16가 네개나 되다니 대단하군요. 거기다가 비록 8x로 동작을 하지만 쿼드크파면 엄청난 성능을 이끌어낼수가 있겠군요. 포스가 느켜지네요.
ohye701 (ID) ohye701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23:01/ 신고
Jmicron칩셋은 제겐 악몽과 같은 칩셋입니다.ㅡㅡ;
AMD는 늘 느끼지만 SATA 포트가 4개밖에 없는게 늘 아쉽습니다. 한 6개정도 달아주면 좋겠는데
milkblue (ID) milkblu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23:05/ 신고
쿼드CF 나 나을지, 다이어그램의 트리플CF(CF+피직스)조합이 나을 지.. 고급형 보드 답게 꽉찬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격도 동급의 인텔 것에 비해서는 저렴하게 나올테니... 기대됩니다.
bsbday (ID)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4 23:08/ 신고
호오.. 상당히 고급스러운 보드군요.
pcie슬롯이 4개나 되고.. 거기에 cpu하위호환까지 되다니.. 모처럼 물건이 나온듯 하군요.
기가바이트와 amd의 조합이 상당히 멋진 녀석을 만들어냈네요.
비록 베니스3200을 사용중이라 눈으로만 구경하지만.. 상당히 탐나는 보드네요
catlove (ID) catlov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5 8:06/ 신고
레이아웃이 마음에 드네요.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중에 상당히 고급형에 속할것 같네요
yewtree923 (ID) yewtree923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5 19:36/ 신고
전원부에 칩셋 대단합니다 ㅎㅎ 현제 판매중인
AMD 보드와 정말 비교가 되네요;; 실제 사용에
있어서 별다른 버그만 없다면 꽤나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듯합니다.
worse (ID) wors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7 9:08/ 신고
레이아웃이 별로네요. 하이엔드급 보드이긴 하지만 개인적으로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는 별로 쓰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더군요
moonchild (ID) moonchil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7 17:42/ 신고
쿨러의 포스가 느껴지는 군요. 기가바이트만의 메리트가 있는 보드 같아요
sky0734 (ID) sky0734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07 20:39/ 신고
보드 레이아웃에서 포스가 느껴지네요.
happygump (ID) / 07-10-07 21:12/ 신고
기가바이트 제품이라 그런지 쿨러들이 멋지네요.
성능이 어떨지 궁금하기도 하고
jus9430 (ID) / 07-10-08 11:10/ 신고
기가바이트 보드들은 리비전놀이를 잘하죠.

저 보드 초창기에 구입해봐야 리비전 1.1 -> 2.0 -> 3.3으로 갈겁니다. 기가보드들은 항상 뒤늦게 끝물을 타야 제대로 된 보드를 구입하는걸로 유명하죠.
ljhhjw (ID) ljhhjw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07-10-28 7:36/ 신고
익스프레스 16배속이 4개나 있으니 굉장히 낳설게 느껴지는군요 기대되는 보드입니다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10/04] 엔비디아, 영상 검색과 요약 위한 블루프린트 출시..영상 분석 AI 에이전트 개발 가속화  
[10/04] 엔비디아,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용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지원 확대  
[10/04] 엔비디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으로 대만 제조업체 산업용 AI 가속화  
[10/04]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연구용 슈퍼컴퓨터 ‘ABCI-Q’ 지원  
[10/04] 엔비디아, 물리 AI 위한 클라우드-로봇 컴퓨팅 플랫폼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10/04] 엔비디아, AI 플랫폼 ‘DGX 클라우드 렙톤’ 출시  
[10/04]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10/04]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10/04]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10/04] 엔비디아, RTX PRO 서버로 AI 팩토리 구축 가속화  
[10/04] AI 시대 선도를 위한 노력,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 연설 정리  
[10/04] 엔비디아, 세미커스텀 AI 인프라 구축 지원하는 ‘NV링크 퓨전’ 출시  
[10/04] 넥슨, ‘2025 던파로ON: Summer’에서 하반기 ‘던파’ 대규모 업데이트 공개  
[10/04] 아스크텍, ATX 3.1-PCIe Gen 5.1 지원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GT시리즈' 출시  
[10/04] 벤틀리모터스코리아,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4세대 ‘더 뉴 컨티넨탈 GT’ 고객 인도 개시  
[10/04] 넥슨,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10/04] 에이슬립-경동나비엔, AI가 자동 온도 조절하는 매트 출시  
[10/04] 슈퍼마이크로, 차세대 직접 수냉식 솔루션 DLC-2 공개  
[10/04] 인텔 공인대리점 3사, ‘나를 자랑해줄래?’ 프로모션 실시  
[10/04] 고성능에 AI 경험까지 결합된 팔방미인 노트북 ‘MSI 벤처’, 레드닷 디자인 수상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