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menu
PC 리뷰 홈  

지포스 GTX 560 Ti SLi vs 라데온 HD 6950 1GB CF, 멀티 GPU 승부

2011-03-28 19:00
권경욱 前 기자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press@bodnara.co.kr


GTX 560 Ti vs HD 6950 1GB CF, 멀티 GPU 효율은 누가?

지포스 GTX 560 Ti와 라데온 HD 6950 1GB는 엔비디아 (NVIDIA)와 AMD의 퍼포먼스 시장을 대표하는 제품들로 각각의 제품들은 지난 1부와 2부를 통해 살펴본 것처럼 서로 비슷한 가격대에 우열을 가리기 힘든 개성들과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제품 선택시 각자가 가진 특징들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소개해드린 바 있다.

 

[1부/ 게임 성능] 지포스 GTX 560 Ti vs 라데온 HD 6950 1GB

[2부/ 성능과 부가기능] 지포스 GTX 560 Ti vs 라데온 HD 6950 1GB

이번 3부에서는 1부와 2부에서의 결과와 함께 고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엔비디아와 AMD가 제공하는 멀티 GPU 기술인 SLi와 CrossFire X를 이용한 성능을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보통 높은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하이엔드 또는 플래그십 카드를 선택하거나 가격대 성능비를 고려해 멀티 GPU 구성을 선호하기도 한다. 성능이 낮은 단계의 제품들은 하나로는 상위 제품에 견줄 수 있는 성능을 내기 어렵지만, 2개를 멀티 GPU 구성할 경우 상위 제품에 근접하거나 뛰어넘는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는 만큼 상위 제품과 비교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다.

 

[팩토리 오버클럭 적용, 컬러풀 지포스 GTX 560 Ti iGame D5 1GB Shark]

지난 1부와 2부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지포스 GTX 560 Ti는 경쟁제품인 라데온 HD 6950 1GB보다 빠른 등장과 함께 공정의 안정화를 바탕으로 경쟁 제품과 비슷한 가격대에서 처음부터 오버클럭이 이루어진 팩토리 오버클럭 제품들이 상당히 많은 수가 포진되고 있다.

그와 비교해 라데온 HD 6950 1GB는 상대적으로 늦은 출시가 이루어졌고 비교적 높은 동작클럭이 적용되어 팩토리 오버클럭 버전의 수 역시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번 멀티 GPU 성능은 이를 고려해 지포스 GTX 560 Ti와 라데온 HD 6950 1GB의 레퍼런스 클럭을 기준으로 한 멀티 GPU 성능을 바탕으로 성능의 우열을 가려보았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 기사의 의견 보기
주동성 bsbday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28 19:58/ 신고
그래픽카드의 멀티 구성시 1+1은 2가 아니다 라는게 정설이였는데..
190%가 넘는 효율을 보여주는 게임들도 있는걸 보니.. 조만간 1+1=2가 되는 때가 오지 않을까 싶네요.

n당쪽의 아이들시 클럭은 놀라울 정도네요 ''a AMD도 조금만 더 낮춰준다면 아이들시 전력소모를 n당보다 더 줄일 수 있을듯 한데.. 조금 아쉽군요 ㅋ

피직스 쪽의 경우 AMD쪽은 지원안하는걸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꺼라고 생각되는데.. 굳이 AMD쪽 카드를 포함해서 테스트 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AMD쪽의 피직스 상황은 '안봐도 비디오' 라고 표현해도 될듯한데.. 개인적으론 시간낭비가 아닐까 싶습니다.

좋은 기사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덧-
마지막 표에서 6950 CF로 표기되어야 할 곳이 560 sli로 표시되어 있네요 ''a
viper2 viper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28 20:15/ 신고
표의 내용은 수정했습니다.^^
마프티 psywind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28 20:00/ 신고
6800대 제품이 워낙에 크파효율이 좋았는데 6900번대는 전체적으로 좀...
허접프로그래머 valkyrie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28 21:20/ 신고
두 카드가 쉽게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성능을 보여주는 군요. 자신이 즐기는 게임에 맞는 그래픽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겠습니다.
미르미르 kumi012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3-30 0:25/ 신고
멀티로 쓸 정도의 시스템이라면.. 햐.. 엄청난 그래픽을 보여주겠네요.
아는남자 / 11-03-30 7:44/ 신고
560Ti가 선택폭이 넓어서 좋지만 560이나 6950 가격이 30만원 전후이니 빨리 다음세대가 등장해 가격좀 떨어졌으면 하네요. 지금의 460처럼요.
끓여만든배 / 11-03-31 3:35/ 신고
두 제품 모두 성능이 좋은 제품이라서 선택은 유저의 몫이 될 듯...
폭탄매도 actium님의 미디어로그 가기  / 11-04-03 13:26/ 신고
멀티 GPU가 잘 되는 게임 또는 소프트웨어가 있고 안그런 것도 있는 것 같네요. 소모전력 대비 성능은 그다지...옵션타협이 현실적으로 나은 선택일 수 있겠네요.
게이머 / 11-04-03 14:23/ 신고
이미 시장에서 사장되가는 피직스 관련 벤치는 무의미 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유저들은 피직스가 표준처럼 알고 AMD성능은 형편없다고 착각할 여지가 있기때문입니다. 게다가 비굑 대상이 560 Ti가 아니라 오버클럭된 560Ti 로군요.
슬래쉬 / 11-04-04 10:10/ 신고
좋은 리뷰 잘봤습니다.
어디선가 본거 같은데 amd도 이제 sli를 사용할거라고 했던거 같은데..
ㅃ / 11-06-19 6:43/ 신고
-On Mobile Mode -
피직스 벤치는 왜? 하는거죠? 한쪽은 아에 지원을 안하는데 뭘 비교하겠다는 건지요? 라데온이 최악의 프레임이 나오는 이유를 모르는 사람이 보면 착각하게되지요. 업계 표준도 아닌 물리엔진인데다가.. 다이렉트 컴퓨트나, OpenCL기반으로 GPU가속 게임 물리엔진이 표준처럼 나오면 그때 비교하는게 맞구요. 피직스 벤치는 지포스끼리만 해야죠. 아이피니티 지원도 안하는 지포스 같다 놓고 라데온과 비교하면서 모티터에 화면 안나온다고 무슨 큰 결함있는 것 처럼 보여주는 리뷰쓰는거랑 뭐가 다른지??? 피직스 자체를 지원안하는 카드랑 비교를 한다는게 말이되나요?
참나 / 11-07-03 2:46/ 신고
AMD 의 경우 aplication profile 이라고 크로스파이어용 드라이버가 따로 제공됩니다. 그거도 설치하셨는지요? 게임도 지포스용으로 제작된 로플2도 들어가고 벤치가 전체적으로 편향된 시각으로 만들어진거 같네요. 아니면 본인이 지식이 무지하시던지 둘중에 하나겟지요. 탐스하드웨어 벤치에서는 듀얼 GPU성능이 HD570보다도 각혹 높게 나오는게 HD 6950인데 여기 사이트는 반대로 되있네. 어이없다.
참나 / 11-07-03 2:50/ 신고
그래서 누군가가 무식한게 죄라고 한겁니다. 벤치하시는게 업이신데 공부좀 더 하시고 벤치만드십시요.
참나 / 11-07-03 2:53/ 신고
본인이 작성하신 이 벤치를 특정 제조사가 퍼다가 제품홍보에 이용하고잇잖아요.
http://cafe.naver.com/colorfultechnolog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4292&
닉네임 lock
비회원

보드나라 많이 본 뉴스
보드나라 많이 본 기사

보드나라 최신 기사
[03/28] 파나소닉, 풀프레임 미러리스 카메라 루믹스 S1M2, S1M2E 2종 및 신형 줌 렌즈 S-E2460 출시  
[03/28] 인텔, 컴퓨텍스에서 AI·워크스테이션용 최신 GPU 공개  
[03/28] 뱅앤올룹슨, 샤를 르클레르와 협업한 ‘베오플레이 H100 샤를 르클레르 리미티드 에디션’ 한정 출시  
[03/28] 델, 엔터프라이즈 AI 혁신 위해 '델 AI 팩토리'에 광범위한 인프라 솔루션과 서비스 추가  
[03/28]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5 개막  
[03/28] 엔비디아,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용 옴니버스 블루프린트 지원 확대  
[03/28] 엔비디아,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으로 대만 제조업체 산업용 AI 가속화  
[03/28] 엔비디아,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연구용 슈퍼컴퓨터 ‘ABCI-Q’ 지원  
[03/28] 엔비디아, 물리 AI 위한 클라우드-로봇 컴퓨팅 플랫폼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03/28] 엔비디아, AI 플랫폼 ‘DGX 클라우드 렙톤’ 출시  
[03/28] 엔비디아, AI 데이터 플랫폼으로 스토리지 선도기업 AI 인프라 구축 지원  
[03/28] 삼성전자 2025년형 OLED TV, 엔비디아 지싱크 호환 인증  
[03/28] 엔비디아,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DGX 스파크, ‘DGX 스테이션’ 공개  
[03/28] 엔비디아, RTX PRO 서버로 AI 팩토리 구축 가속화  
[03/28] AI 시대 선도를 위한 노력,엔비디아 컴퓨텍스 기조 연설 정리  
[03/28] 엔비디아, 세미커스텀 AI 인프라 구축 지원하는 ‘NV링크 퓨전’ 출시  
[03/28] 넥슨, ‘2025 던파로ON: Summer’에서 하반기 ‘던파’ 대규모 업데이트 공개  
[03/28] 아스크텍, ATX 3.1-PCIe Gen 5.1 지원 '써멀테이크 터프파워 GT시리즈' 출시  
[03/28] 벤틀리모터스코리아,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4세대 ‘더 뉴 컨티넨탈 GT’ 고객 인도 개시  
[03/28] 넥슨,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9일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시작  
로그인 | 이 페이지의 PC버전
Copyright NexGen Research Corp. 2010